통일신라~조선 망라, 하남서 대규모 유물 발견

하남시 교산동 광주향교 주변에서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건물지 등 다수의 유구와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9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와 한양대 박물관은 지난해 8월부터 최근까지 교산동 227-1 주변 광주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호) 경관광장 조성공사 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A구역에서 고려~조선시대의 건물지와 담장, 석축시설 등 유구 20기를 발굴했다. 또 B구역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의 주거지와 건물지, 담장, 암거, 배수시설, 도로시설, 기단시설, 석축시설 등 22기를 찾아냈다. 이들 유구의 성격으로 미뤄 시와 박물관측은 이곳을 관아터와 같은 공공 건물지로 추정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주거지 7기가 확인된데다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유구(건물지ㆍ석축 등)와 관(官), 광주객사(廣州客舍) 등의 명문와, 기와, 전돌, 자기 등 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됐기 때문이다. 통일신라시대 주거지는 주로 방형의 형태로 일부가 중복돼 있는 양상이며, 그동안 출토된 유물은 극히 드문 것으로 학계에 알려져 있다. 게다가 A구역의 유구 배치와 유물을 볼 때, 남측의 담장에서 북측의 석축시설로 외곽 경계를 확장하는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여러 유구를 확인했다며 특히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관청 등의 중요 건축물이 조성된 공간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구의 손상이 없도록 성토 등의 보존대책을 세운 뒤 경관광장 공사 완료후 유적 안내판 등을 설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광주향교 주변 1만5천584㎡에다 총 사업비 13억원을 투입, 오는 12월 준공을 목표로 전통ㆍ어울림광장과 파고라 정자 등이 배치된 경관광장(시민 쉼터)을 조성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하남시 옛시가지 재개발·건축 줄줄이 무산

하남시 옛시가지의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이 대부분 무산되고 있다. 지난 2009년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사업에 따라 미사강변도시(546만㎡)와 이듬해 감일지구(170만㎡) 등을 잇달아 지정한데다 시가 지역현안인 1ㆍ2지구사업을 추진하면서 제1종 지구단위 사업시행사와 재개발 조합들이 상대적으로 턱없이 낮은 LH의 보금자리주택 분양가격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하남시 등에 따르면 재개발ㆍ재건축 조합들은 지난 2009년부터 덕풍ㆍ신장동 등 옛시가지를 중심으로 지구단위계획구역 15개(30여만㎡)와 주택재개발사업 5개(45만여㎡) 등 모두 20개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들 구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법적 요건을 갖추고 같은 해 1월부터 추진위원회 등이 구성돼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이들 구역 대부분은 이미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됐다가 1~2년전부터 줄줄이 정비구역 지정ㆍ해제됐거나 해제절차를 밟고 있다. 덕풍동 413-3 일원 재개발 B구역이 지난 1일 정비구역 지정에서 해제됐다. 또한 지구단위계획구역 15개 중 이날 현재 4곳에서 사업이 추진중에 있지만 추가 행정절차 등의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개발구역 4곳 중 C구역(덕풍동285-31일원)도 최근 사업시행인가가 통과됐지만 나머지 3곳은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해당 조합원들의 전언이다. 이들 사업 자체가 지지부진한 것은 LH가 추진하는 이 지역 보금자리주택(105㎡ 미만)의 평균 분양가격이 970만~1천100만원대(일반분양 1천300만원선)인데 반해 제1종 지구단위사업 및 재개발사업 등은 토지 등의 매입가격이 평균 1천500만~1천600만원대에 형성돼 채산성을 따라잡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보금자리주택사업의 임대주택 분양비율이 35% 이상인 점과 재개발 사업 추진의 임대주택 비율이 17% 이상인 점도 이윤 극대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230%(18층 이하)의 용적률과 기반시설 과다 등으로 인한 추가분담금 우려로 조합원간 의견이 분분한 것도 사업 추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A부동산 관계자는 정부가 이윤이 안되는 구시가지 개발은 외면하면서 서민 보금자리를 구실로 그린벨트지역을 헐값에 빼앗아 땅장사만 하고 있다며 이는 서민을 위한 일이 아니라 되레 서민들을 고사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하남=강영호기자

한강·검단산 ‘천혜의 자연’ 강남과 인접 ‘편리한 교통’

하남시가 수도권 최적의 주거 환경도시로 각광받고 있다. 서울 송파ㆍ강동구 등과 인접한데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제1ㆍ2중부고속도로 등 사통팔달 교통망이 구축돼 있기 때문. 여기에다 검단산과 한강 등 쾌적한 자연환경의 조망까지 갖췄다. 또, 하남위례길 같은 매력적인 4개의 둘레길과 한강변 자전거길, 하남유니온파크 등은 여가 생활을 만끽할 수 있는 또다른 덤이다. 특히 최근 하남지역이 최적의 주거도시로 각광받고 있는 배경에는 서울지하철 5호선 하남연장 사업과 국내 최대 야외형 복합쇼핑몰로 평가받는 하남유니온스퀘어 조성이 큰 몫을 하고 있다. 이 같은 개발 호재를 등에 업고 하남시 전역에는 매머드급 주거지구가 사업의 속도를 내고 있다. 모든 사업이 완료되는 오는 2018년 하반기쯤이면 명실공히 36만 자족도시로 새롭게 태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시는 기반시설은 물론 교육,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친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 감일 공공주택지구, 지역현안 1ㆍ2지구 등이 그 중심에 서 있다. 수도권 동부 지역의 지도를 새롭게 바꿔놓을 만한 규모다. 하남시에 들어서고 있는 대형 주거사업을 들여다봤다. ■ 미사강변도시 _ 546만3천㎡ 규모 3만7천가구 들어서 경기 동부권의 핵심 주거지로 손꼽히고 있다. 하남시 망월동풍산동선동덕풍동 일대에 그린벨트를 해제해 조성하는 546만3천㎡ 규모의 신도시급 사업 지구다. 보금자리 주택 2만6천여 가구를 비롯해 총 3만7천여 가구가 들어선다. 계획된 인구는 9만6천명이다. 지난 2009년 6월 보금자리 시범지구로 지정된 지 5년여만인 지난해 6월 입주가 시작돼 현재까지 3천990여 세대가 입주를 완료했다. 한강변에 위치한데다 그린벨트 지역을 풀어 조성된 개발지구인 만큼 쾌적한 주거환경을 자랑하고 있다. 지구 한가운데 들어서는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도시 곳곳의 숲과 공원을 연결하는 폭 10300m, 총 길이 10㎞의 녹지축도 조성된다. 올림픽대로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서울~춘천간 고속도로를 이용해 잠실ㆍ강남 또는 시 외곽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오는 2018년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면 강남권으로의 대중교통망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 위례신도시 _ 하남 139만㎡ 규모 2만4천898명 수용 오는 2017년 12월 완공 예정인 위례신도시는 하남시(학암ㆍ감이동 139만㎡), 성남시(창곡ㆍ복정동 280만㎡), 서울 송파구(거여ㆍ장지동 257만㎡) 등 3개 지자체에 걸쳐 677만4천여㎡ 규모로 조성 중이다. 계획인구는 10만7천275명으로 하남 2만4천898명, 송파 4만656명, 성남 4만1천721명을 예상하고 있다. 하남 위례신도시는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광진구, 서쪽으로는 탄천을 경계로 강남구와 인접하고 있다. 또 동으로는 강동구ㆍ남한산성을 배경으로 하남시, 남쪽으로는 성남시와 접해있다. 강남지역 주택수요에 대응하고자 미래지향적 웰빙 신도시로 개발되고 있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정비 및 보존으로 시민들에게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 환경도 좋다. KTX 수서역이 내년 개통될 예정이다. 또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송파IC와 송파대로, 동부간선도로, 분당~수서 간 도시 고속화도로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신도시 남쪽에는 지하철 8호선 복정역과 산성역 사이에 우남역이 2017년 개통될 예정이다. 위례신도시 내 하남권역 A3-7 블록 위례엠코타운 982세대가 오는 11월 중순부터 첫 입주를 시작한다. 입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키 위해 시는 지난 4월16일 가칭 위례동 주민센터 기공식을 열고 세 지자체 중 처음으로 정식 주민센터 건립을 시작했다. 한편 하남도시공사는 지난 2011년 A3-8블록을 매입했다. 이후 2013년 8월 1천673세대의 에코앤캐슬 아파트 착공에 들어갔으며, 전 세대 분양을 완료했다. ■ 지역현안사업 1지구 _ 풍산동 일원 1천310가구 공급 하남시 풍산동 일원 15만5천713㎡ 규모의 도시개발사업 지구다. 민관공동사업으로 진행, SPC 하남마블링시티 개발주식회사가 사업시행자다. 그간 토지보상 문제로 사업이 다소 지연됐으나 곧 해결될 것으로 보여 올해 안에 실시계획승인을 받아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1천310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며 계획인구는 3천275명이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등 최적의 교통여건을 갖췄다. 특히 1지구 지원시설 용지에는 서울자동차부품상가의 이전을 진행 중에 있다. 주거지로서 뿐만 아니라 자족기능 확보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자동차부품상가는 친환경 건축물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지역의 또 다른 랜드마크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지역현안사업 2지구 _ 물류ㆍ유통ㆍ주택지 등 복합단지 하남시 신장ㆍ창우동 일원 56만8천57㎡ 규모로 하남도시공사가 물류ㆍ유통단지와 주택지 등이 혼합된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있다. 2천962세대가 공급되며 계획인구는 7천701명 선이다. 특히 이곳 물류유통 용지 11만7990㎡에 들어서는 것이 복합쇼핑몰 하남유니온스퀘어다. 연면적 44만426㎡ 규모로 공사비 1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총 사업비의 30%를 외국인투자로 유치해 추진한 사업으로 지자체 외국인투자 유치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을 비롯해 명품관, 쇼핑몰, 영화관, 키즈파크, 스파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7천여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또 2지구에 연접해 있는 하남유니온파크 또한 눈여겨볼만하다. 시가 사업비 2천730억원을 투자해 지난해 4월 준공한 친환경기초시설이다. 유니온파크는 어린이 물놀이장, 생태연못, 야외무대, 각종 체육시설 등이 조성돼 있어 최적의 여가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105m 전망대 유니온타워는 미사리 조정경기장을 비롯해 한강과 검단산, 예봉산 등 자연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관광객과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2지구 내 공동주택용지는 임대주택단지 A-1(4만2천175㎡)과 일반주택용지 B-1(4만3천541㎡), C-1블록(4만2천14㎡) 3개 용지로 구성돼 있다. 일반주택용지는 모두 분양이 완료됐으며 C-1블록 아파트의 경우 지난 27일부터 분양에 들어갔다. 2지구 부지조성 공사는 올해 말 준공 예정이다. ■ 감일 공공주택지구 _ 168만8천㎡ 규모 1만2천907가구 수용 하남시 감일동 일원 168만8천㎡ 규모로 조성된다. 1만2천907세대가 공급되며 계획인구는 3만3천409명이다. 이 지구 서남쪽 반경 2㎞ 내에 지하철 5호선 올림픽공원ㆍ방이ㆍ오금역 및 지하철 9호선 3단계 구간 종점인 오륜역(예정)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지구와 접해있는 제2외곽순환도로를 이용한 수도권 접근성도 좋다. 감일지구는 동서로 흐르는 능안천변을 따라 상업ㆍ주거ㆍ업무기능이 어우러진 복합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추진 중이다. LH는 감일지구를 민간과 공동 개발할 계획을 수립, 지난 3월 사업설명회를 개최했으며 민간사업자 공모를 시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부지조성 착공에 들어갔으며 오는 2018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