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옛시가지 재개발·건축 줄줄이 무산

덕풍·신장동 중심 20개 사업 보금자리주택 분양가격에 밀려 대부분 정비구역 해제 추진

하남시 옛시가지의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이 대부분 무산되고 있다.

지난 2009년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사업에 따라 미사강변도시(546만㎡)와 이듬해 감일지구(170만㎡) 등을 잇달아 지정한데다 시가 지역현안인 1ㆍ2지구사업을 추진하면서 제1종 지구단위 사업시행사와 재개발 조합들이 상대적으로 턱없이 낮은 LH의 보금자리주택 분양가격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하남시 등에 따르면 재개발ㆍ재건축 조합들은 지난 2009년부터 덕풍ㆍ신장동 등 옛시가지를 중심으로 지구단위계획구역 15개(30여만㎡)와 주택재개발사업 5개(45만여㎡) 등 모두 20개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들 구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법적 요건을 갖추고 같은 해 1월부터 추진위원회 등이 구성돼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이들 구역 대부분은 이미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됐다가 1~2년전부터 줄줄이 정비구역 지정ㆍ해제됐거나 해제절차를 밟고 있다. 덕풍동 413-3 일원 재개발 B구역이 지난 1일 정비구역 지정에서 해제됐다. 또한 지구단위계획구역 15개 중 이날 현재 4곳에서 사업이 추진중에 있지만 추가 행정절차 등의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개발구역 4곳 중 C구역(덕풍동285-31일원)도 최근 사업시행인가가 통과됐지만 나머지 3곳은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해당 조합원들의 전언이다.

이들 사업 자체가 지지부진한 것은 LH가 추진하는 이 지역 보금자리주택(105㎡ 미만)의 평균 분양가격이 970만~1천100만원대(일반분양 1천300만원선)인데 반해 제1종 지구단위사업 및 재개발사업 등은 토지 등의 매입가격이 평균 1천500만~1천600만원대에 형성돼 채산성을 따라잡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보금자리주택사업의 임대주택 분양비율이 35% 이상인 점과 재개발 사업 추진의 임대주택 비율이 17% 이상인 점도 이윤 극대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230%(18층 이하)의 용적률과 기반시설 과다 등으로 인한 추가분담금 우려로 조합원간 의견이 분분한 것도 사업 추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A부동산 관계자는 “정부가 이윤이 안되는 구시가지 개발은 외면하면서 서민 보금자리를 구실로 그린벨트지역을 헐값에 빼앗아 땅장사만 하고 있다”며 “이는 서민을 위한 일이 아니라 되레 서민들을 고사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