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인천 맨홀 사망사고’ 당일 신호수 증언, “5월에도 안전장비 없이 작업했다”

산소마스크 등 없이 투입... 작업 1분만에 의식 잃어

지난 6일 오후 인천 계양구 병방동 도로 맨홀. 이곳에서 작업자들이 가스 중독 추정으로 의식을 잃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났다. 경기일보 DB
지난 6일 오후 인천 계양구 병방동 도로 맨홀. 이곳에서 작업자들이 가스 중독 추정으로 의식을 잃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났다. 경기일보DB

 

‘인천 맨홀 작업자 사망’ 사고가 ‘인재(人災)’라는 지적(경기일보 6일자 웹 등)이 나오는 가운데, 사고 당시 작업자들이 지난 5월에도 안전 장비 없이 맨홀 밑 작업을 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사고 당일 신호수로 일한 A씨(25)는 8일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5월12일에도 이번에 사고 당한 작업자들 멤버 그대로 작업을 했다”고 밝혔다.

 

A씨는 이번 사고로 숨진 B씨(52)가 5월 작업 당시에도 산소마스크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기억했다. 그는 “인천에 살지 않다 보니 5월에 작업한 위치가 인천 어디인진 기억나지 않지만, 작업자들 구성과 작업 내용은 같았다”며 “이번 사고로 숨진 분은 그때도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했다”고 했다.

 

A씨는 맨홀 공간이 좁아 2명이 작업을 함께하기 어려운 구조라 B씨 혼자 작업을 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번에 작업한 맨홀은 사람 1명이 들어가기도 버거울 정도로 좁아 B씨가 혼자 작업한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A씨는 B씨가 맨홀에 들어간 지 1분 만에 의식을 잃은 점 등으로 미뤄 가스 중독이 의심된다고도 말했다. 그는 “작업은 오전 7시30분 정도에 시작했고, B씨가 도로에 있는 맨홀을 차례대로 들어갔다”며 “사고가 난 맨홀은 8~9번째 들어간 곳이었다”고 했다. 이어 “B씨는 사고가 일어난 맨홀에 들어가 작업한 지 1분도 채 안 돼서 의식을 잃었다”며 “앞선 작업에선 멀쩡했는데, 가스중독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덧붙였다.

 

이밖에 A씨는 “신호수 역할이라 작업자들과 거리가 있던 데다 B씨가 능숙하게 작업을 해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못했다”며 “사고가 난 뒤에는 너무 무서워 맨홀 밑을 쳐다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역시 B씨 시신을 부검하고 “가스 중독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1차 구두 소견을 이날 경찰에 전달했다. 국과수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가스에 중독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아 추가 감정이 필요하다”며 “사망 원인과 연결될 만한 외상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일 오전 9시22분께 인천 계양구 도로 맨홀 밑에서 재하청 업체 소속 작업자 B씨가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을 하다 가스중독 추정으로 사망했고, 재하청 업체 대표 C씨(48)는 B씨를 구하려다 의식을 잃고 구조돼 치료를 받고 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이 후진국형 산업재해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 안전 관리를 정비하고, 사전 지도 감독을 강화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강력하게 주문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맨홀 사망… 인천환경공단 관리부실 ‘인재(人災)’

https://kyeonggi.com/article/20250707580354

 

인천 맨홀 실종 작업자 발견...1일 만에 찾아

https://kyeonggi.com/article/20250707580070

 

[단독] 인천 맨홀서 50대 작업자 1명 실종 수색 중...1명은 호흡 회복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706580030#_PA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