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천현ㆍ교산일대 ‘친환경복합단지’ 백지화

하남시 천현교산동 일원 개발제한구역에 물류유통단지와 연구단지를 갖춘 친환경복합단지 조성 사업이 소요재원 부족 등으로 무산됐다. 이에 따라 지난 2011년 3월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 지정이 해제돼 건축허가 및 신고, 토지형질 변경 등 각종 건축행위 등이 가능해 졌다. 16일 하남시와 경기도보(제4835호)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1년 3월31일 교산동 283 등 이 일대 친환경복합단지 120만303㎡의 개발행위 허가 제한지역으로 고시했던 것을 이날 해제 고시했다. 이 사업이 무산된 결정적 이유는 민간 투자자 참여 부재와 자금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앞서 시와 사업시행사인 하남도시개발공사는 SPC(특수목적회사) 설립해 민간사업자를 파트너로 해 친환경복합단지를 조성하려 했으나 지난해 5월과 지난달 30일 두 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 공모를 했지만 사업자 참여가 없어 최종 유찰됐다. 시 관계자는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의 변경, 결정에 따라 친환경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도시관리 계획을 수립키 위해 개발행위 허가를 제한했으나 소요재원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사업추진이 불투명, 행위제한 만료일(2014년 3월31일) 이전에 행위제한을 해제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천현교산지구에다 유통시설 13만㎡과 물류시설 16만㎡, 지원시설 15만㎡, 주거시설 24만㎡, 상업시설 2만㎡ 등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 미사동 버섯골 ‘GB 해제’ 철회

하남시 미사동 541의 69 일원 버섯골 취락지구(6만5천202㎡)가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 과정에서 불법 용도변경 문제 등으로 해제가 철회됐다. 이에 따라 이 일대는 종전대로 개발제한구역 내 집단취락지구로 관리된다. 13일 시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의 협의 과정에서 축사를 불법 용도변경했는가 하면 버섯재배사 등을 개인주택 등으로 사용하는 등 위법행위가 불거졌다. 특히, 국토부는 위법 행위에 대한 원상복구와 지정 전 나대지에 대한 주택호수 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들어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변경 결정(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시는 지난 10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도시관리계획계획변경 철회 공고를 냈다. 앞서 시는 지난해 8월 개발제한구역내 10호 이상인 취락지구에 대해 이축으로 20호 이상이 됐을 경우 개발제한구역에서 추가 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한 개발제한구역 조정지침을 근거로 버섯골을 적용 대상에 포함,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변경 결정(안)을 입안해 주민공람을 거쳐 자연녹지에서 제1종일반주거로 변경하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추진했다. 시 관계자는 각종 위법행위에 따라 해제 절차가 철회됐지만 불법행위에 대한 원상복구와 나대지에 대한 개발(주택신축 등) 등 여건이 향상되면 다시 해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도시개발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전략적 업무제휴

하남시도시개발공사(이하 도개공)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서민 주거안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일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따라 도개공이 공급하는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입주가구는 보증료 인하와 보증절차 간소화 등의 혜택을 보게 될 전망이다. 2일 도개공에 따르면 이날 두 기관은 주택공급과 주택금융 활성화를 위해 주택공급계획, 주택금융상품 및 국내외 주택금융동향 등에 관한 상호 정보교류를 긴밀히 하기로 했다. 특히, 업무제휴에 따라 도개공이 공급하는 주택의 입주민이 대출이 필요한 경우 금융기관 단독으로 집단승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보증수수료도 중도금보증 이용 시 25%, 전세자금 이용 시 50%가량 할인될 전망이다. 도개공 관계자는 실물경기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이번 제휴를 추진하게 됐다며 이를 계기로 하남지역 공공주택의 공급과 대출, 보증에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한편, 도개공은 신장동 에코타운 아파트1,607가구와 풍산 아이파크 아파트 1,051가구를 공급한데 이어 9월 현재 위례지구 에코&캐슬 공동주택 1,673가구를 공급완료, 전체 4,331가구의 아파트를 관리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