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스마트 혁명이라 불릴 만큼 매우 빠른 사회적 변화가 전개되고 있으며, 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폰이 갖는 즉시성, 오락성, 사회성, 문화성으로 스마트폰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란 불가능하게 되었고, 언제부터인지 우리는 스마트폰 없이는 살아갈 수가 없어졌다. 전화, 문자뿐 아니라 채팅,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실시간 소통 그리고 사진, 음악, TV시청, 게임, 영화, 인터넷, 스케쥴 관리, 그림 등 온갖 일이 가능해지면서 다들 잠에서 깨어나면서 잠들 때까지 온종일 스마트폰을 끼고 산다.
어떤 기술이든 그 중심엔 사람 있어야 그러나 햇빛이 비치면 그림자가 생기듯이 스마트폰으로 인한 사회 변화가 항상 긍정적인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며, 부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 문제를 야기하는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먼저, 스마트폰 중독이다. 부모가 스마트폰을 압수했다는 이유로 자살을 택하는 청소년이 있을 정도로 스마트폰 중독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 버렸다. 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감과 공포감에 휩싸이게 되는 노모포비아(nomophobia)증상이 18~24세는 77%이고 25~34세는 68%라고 한다. 휴대폰이 없으면 불안함을 느끼고, 출근하다 집에 두고 온 휴대폰 때문에 되돌아가곤 하며, 휴대폰이 울린다고 자주 착각한다면 우리 스스로 노모포비아가 아닌지 의심해 봐야 한다. 다음의 역기능은 디지털 치매 현상이다. 똑똑하게 진화된 스마트폰은 사람들의 생각을 빼앗아버렸다. 휴대전화나 인터넷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의존한 나머지 기억력이나 계산 능력이 크게 떨어져 부모형제의 전화번호나 노래가사를 기억하지 못하고 내비게이션 없이는 길을 찾지 못한다. 또 하나의 역기능은 신종 디지털 질환이다.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이 거북목증후군, 목디스크, 안구건조증, 척추질환, 긴장성 두통, 소음성 난청, 손가락관절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보피로증후군 등 신종 디지털 질환을 발생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어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치매, 디지털 질환 같은 역기능을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해결책을 제안해 본다. 첫째, 정보다이어트 즉 디지털 단식이 필요하다. 습관적 사용이 아니라, 스마트폰이 아니면 안 되는 상황에서만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경기도교육청이 최근 경기사이버안심존을 실시하여 학부모가 스마트보안관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휴대폰에 설치하면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웹사이트를 차단ㆍ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둘째, 건전한 놀이문화가 필요하다. 무분별한 스마트폰 사용에는 건전한 놀이문화 부재에도 원인이 있다. 놀이는 우리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는 방법이다. 스마트폰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놀이를 찾아주어야 한다. 가족여행, 운동, 등산, 연극, 영화관람, 악기연주, 자전거 타기 등 각 가정에 맞는 놀이를 찾아 여가를 선용하면 스마트폰 역기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아이의 학교성적을 올리려고 스마트폰을 사주겠다는 약속은 절대 금물이다. 스마트폰을 받고나면 오히려 학습의욕이 떨어지는 비교육적인 선물이다. 불필요한 스마트폰은 사주지 않으며 스마트폰 구입시에는 부모와 학생이 사용에 관한 약속을 하고 유해 사이트 열람을 제한하는 필터링 서비스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
잘못 사용땐 애물단지나 흉기로 둔갑 어떤 기술이든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아무리 잘 만들어진 문명의 이기(利器)라도 잘못 사용하면 애물단지나 흉기(凶器)가 되고 마는 법이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무작정 방치할 경우 사회적 비용은 커질 수밖에 없다.
스마트폰이 우리의 삶을 정말 스마트하게 해주는가? 스마트폰을 하인이 아니라 주인으로 섬기고 있지 않은가? 다시 한 번 우리의 삶을 되돌아 봐야 한다. 스마트폰의 순기능은 살리고 역기능은 줄이는 스마트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정종민 성남교육지원청 교수 학습국장
오피니언
정종민
2014-03-25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