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스미싱 범죄예방

얼마 전에 경찰관인 필자의 핸드폰에 낯익은 문자 메시지가 떴다. ‘고객님 택배 도착예정. 물품번호 확인해주세요.http://goo.gl/JNt88x.택배확인’.

문자 메시지를 받자마자 의심없이 확인 버튼을 눌렀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와 함께 설치 메시지가 떴다. 그때서야 스미싱 문자임을 눈치 채고 재빨리 삭제했다. 하마터면 스미싱에 넘어 갈 뻔했던 순간이었다. 평소에 스마트폰 보안설정을 강화해 알 수 없는 출처의 어플 설치를 차단했기 때문에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요즘 문자 스미싱은 날로 진화해 간다. 유형도 날로 진화해 택배도착 확인, 통신요금 이용확인, 데이터 사용 초과요금 청구서 확인, 상품결재 사용내용 확인, 무인단속장비 적발 확인 등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문자 메시지를 클릭하면 소액결제가 될 수 있으니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스미싱 범죄의 예방을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URL클릭에 주의를 해야 하고,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사의 스팸필터링 서비스에 가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미싱 예방어플을 설치하여 스미싱 문자를 감시하고, 휴대폰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여 출처가 불분명한 어플은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통신사에 문의하여 사용 중인 휴대폰의 소액결재를 차단 및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조철현 인천지방경찰청 제2기동대 경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