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생명을 길러온 것이 바로 우리 쌀이다. 경기도 김포, 고양, 여주 등 곳곳에서 발견된 탄화미는 지금으로부터 약 3천4천년 전에, 충청남도 부여는 약 2천600년 전, 경상남도 김해는 약 1천900년 전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우리나라 벼농사는 한강유역 경기도에서 시작되어 한반도 남부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농사 기술도 다른 지역보다 훨씬 더 발달했다. 이런 이유로 경기지역에서 나는 쌀은 밥을 하면 윤기가 자르르 흐르고 쫄깃쫄깃하니 단맛이 난다는 경기미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경기도가 올해 쌀 생산량을 41만t으로 정하고 쌀 안정생산에 모든 행정력, 재정력, 지도력을 집중 지원한다. 41만t은 지난해 쌀 생산량 40만7천t 보다 0.7% 늘어난 양이다. 이에 따라 도는 △친환경 토양개량제 및 유기질비료, 못자리용 상토, 병충해 공동방제 등의 농업필수 영농자재 지원 확대 △노동력 절감을 위한 들녘별 경영체 육성, 농기계 임대센터 운영 △벼 수확 후 관리 및 안전가공을 위한 미곡종합처리장 시설 현대화 △경기미의 브랜드 제고와 부정유통 방지대책 등 생산부터 가공ㆍ유통관리까지 총 10개 사업에 550억8천만 원을 투입한다. 증산대책은 1단계(34월) 영농자재 공급, 2단계(45월) 못자리 설치 및 모내기, 3단계(69월) 병해충 방제 및 재배관리, 4단계(911월) 벼 적기수확 건조 등 총 4단계로 생육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우선 1단계로 도는 화학비료와 농약사용으로 산성화된 논의 지력을 유지ㆍ개선하기 위해 368억원을 투자해 토양개량제 5만8천톤과 유기질비료 36만1천t 등 총 41만7천톤을 모내기 전인 4월까지 도내 11만 농가에 공급한다. 2단계로는 농촌인력의 고령화ㆍ부녀화에 따른 노동력부족 해소와 안전 육묘생산을 위해서는 53억 원을 투자해 못자리용 상토 95만1천포(포당 40ℓ)를 시ㆍ군별 영농단체에 지원할 계획이다. 못자리용 상토 공급 사업은 무분별한 산 흙 채취를 방지할 수 있어 산림환경 보호 효과도 높으며 육묘 시 토양오염과 병해충을 사전 예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단계 적기 병충해 방제를 위해서는 시ㆍ군별 자체예산 73억 원을 확보해 병충해 예방 및 돌발 병해충 발생 시 항공방제 등 광역 공동방제를 추진한다. 농기계 구입이 어려운 농가를 대상으로 한 농기계 공동임대사업도 추진한다.
도는 올해 20억 원을 지원해 화성시와 연천군에 농기계 임대센터를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다. 공동 임대센터에서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파종기 등 농기계를 보유하고 일일 1만 원 내외로 저렴한 가격에 임대를 해주게 된다. 지난해에는 도내 1만1360농가가 임대농기계를 이용한 바 있다. 4단계로는 벼 수확 후 관리 및 안전가공을 위해서는 31억4천만 원을 투자해 파주ㆍ여주통합RPC와 안성협성농산RPC 등 3개소에 미곡처리장 건조ㆍ저장시설을 확충하고, 18억4천만 원을 투자해 평택, 김포, 안성 등 쌀 주산지 7개 시ㆍ군 11개소에 우수농산물 인증시설을 보강할 계획이다. 유통단계에서는 다른 지방의 쌀이 경기미로 둔갑하거나 섞어 판매하는 행위를 NGO단체와 합동으로 단속을 실시하고, 부정유통 행위신고 포상제를 운영해 신고자에게 최고 500만 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러한 경기도의 지원정책이 내실 있게 추진되고,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적기에 모내기와 비배관리를 잘하여 알찬 결실을 맺어 농가소득증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문제열 경기도 친환경정책 팀장
오피니언
문제열
2014-04-27 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