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국적 부패현상 이대로 둘 수 없다 새해를 맞아, 여러 언론기관이 올해에 있을 대선후보의 지지도, 국민이 바라보는 대통령상, 탄핵. 개헌전망등에 관해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그결과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여론조사 보도를 보면, 우리국민은 누가 대통령이되든, 어떤방향으로 개헌이되든, 깨끗한대동령, 정직한대통령, 공정한사회가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우리국민이 원하는 대통령상은 깨끗한대통령(33.2%), 국민을 생각하는대통령(14%), 경제대통령(12.2%, 중앙일보 보도) . 도덕적이고 정직한 대통령(39.9%), 경제적식견(18.2%), 소통능력(15.9%, MBC 보도), 이번 대선의 화두는 공정한사회(39.9%), 양극화해소(26.9%), 개헌추진(19.3%, 세계일보 보도)으로 우리사회가 공정한사회가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소위 “최순실게이트”로 온나라가 발칵 뒤집혀 있다. 대통령을 비롯한 장,차관등고위공직자, 국회의원, 판.검사 ,언론인, 변호사, 금융계, 기업인등 소위 사회지도층의 부정, 부패, 특권, 반칙이 연일 터져 나오고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지금 사회 각분야가 어디 할곳없이 썩지 않은곳이 없다. 한국은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2015년 국가별 부패 인식지수에서 OECD 34개 회원국중 27위로 하위권 이다. 부패는 경제성장과 혁신, 평등을 저해한다는 분석도 나와 있다. 국가전체가 뇌사상태에 빠진 부패 말기 공화국, 망국적 부패현실을 이대로 방치할수 없고, 부정부패를 청산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급선무이고 중요함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부패청산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는다. 역대 정권이 들어설때면 거창한 구호를 국민앞에 제시하며 바로 부국강병의 복지만능사회가될 듯이 국민을 현혹하고 정권말기가 되면 예외없이 비리, 부패, 반칙의 국정운영이 들통나서 온나라를 시끄럽게 해놓고도 반성은커녕 변명만 늘어놓고 있으니 분통이 터질일이 아닌가. 새해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국민여론, -깨끗한 대통령, 정직한 대통령, 공정한사회- 바로 이것으로 가는 지름길이 부정, 부패, 특권, 반칙을 청산하는 것이다. ■내부고발자 보호, 건전한 고발정신 함양해야 부정부패를 척결하는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부정부패는 대체로 은밀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사람이나 조직의 내부구성원이 아니고서는 알기가 어렵다. 그래서 조직의 구성원인 내부자가 부정부패를 고발하는 것이 부패청산을 위한 지름길이고,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다. 그런데 내부자가 고발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내부자가 고발할 경우 엄청난 불이익을 당할수 있고 심한 경우 배신자로 몰릴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 고발자를 보호하는 법률적장치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부정,부패,특권,반칙을 철저히 파헤치려면 내부고발자(호르라기를부는사람, WHISLE BLOWER)를 철저히 보호하여 부정부패현장을 항시감시,예방,처벌 할수있게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사회적으로도 건전한 고발정신을 함양하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제도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가에서는 모두가 완벽하게 법제화 되어있다. 예컨대, 내부고발자를 부당하게 해고하여 복직을 명하였음에도 이에 불응하는 경우, 향후10년간의 임금을 보상케 하고 있다.(미국). 우리나라에서는 공익신고자보호법이라는 법이있으나 그내용이 부실하여 적용대상과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고발자에 대한 보호조치나 피해구조도 유명무실하여 장식적 법률에 그치고 있다. 위법률에따라 내부고발자 보호조치를 인용한 것이 2015년말 현재67건 접수중 20건, 제보자노출로 인한 피해구조금은 7건신청 2건인용에 28만원에 불과하여 법집행의실효성이 전혀없고, 구조금예산도 2012년 1억원에서 2015년 1천만원으로 대폭 삭감된 실정으로, 정부가 이법을 실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심할 정도로, 있으나 마나한 법률이 되고 있다. 이렇케 부실한 법률을 시급히 정비하여 내실있게 전면 개정해야 한다. 정치적으로는 닦아오는 대통령선거에서 깨끗한 대통령을 뽑아야하고 부패,무능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도 도입도 추진되어야 한다. 새해에는 과거의 적폐를 훌훌 털어내고 정직과 공정이 바로선 나라,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나라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범관 변호사·전 서울검사장
오피니언
이범관
2017-01-09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