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고장… 승객 ‘공포의 40분’

대한소방공제회 용인회관(소공빌딩)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지상 9층에서 고장을 일으킨 채 멈춰서 탑승객이 40여분 간 공포에 떨다 뒤늦게 구조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을 빚고 있다. 2일 소공빌딩 관리사무소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전 8시10분께 빌딩 내 9층에 있는 노인요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K씨(47여)가 탄 엘리베이터가 9층에 도착하자 마자 고장을 일으킨 채 멈춰섰다. K씨는 몇분이 지나도 엘리베이터가 움직이지 않자 침착하게 엘리베이터 벽면에 적힌 업체와 관리사무소 번호로 전화를 걸어 고장 사실을 신고했다. 하지만 관리사무소 측은 엘리베이터 업체 직원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말만 되풀이 했고 오전 8시23분에 업체 직원으로부터 K씨에게 전송된 문자메시지는 20분 뒤인 8시44분 방문 예정 뿐이었다. 결국, K씨는 엘리베이터에 갇힌 지 40여분이 지난 8시50여분께 업체 직원이 도착한 뒤에야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K씨는 현재 급성 불안장애를 보이며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이처럼 소방공무원의 복지증진을 위해 설립된 대한소방공제회가 운영하는 빌딩에서 엘리베이터 고장 사고가 발생하자 빌딩 내 입점업체 관계자들은 소방과 관련된 빌딩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이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특히, 관리사무소 측은 119에 신고도 하지 않는 등 대수롭지 않게 늑장 대처하는 등 안전불감증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빌딩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출근 시간대 발생한 사고라 엘리베이터 업체 직원이 오는데 시간이 많이 소비됐다며 한달에 한번 점검을 하는데다 엘리베이터 고장은 이번이 처음으로 앞으로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대한소방공제회는 지난 2008년 10월 용인시 기흥구 구갈로 64에 지하 2층~지상 10층(연면적 9천543㎡) 규모의 소공빌딩을 준공, 노인요양원과 학원, 상가 등을 임대관리하고 있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에너지 절약’ 예산으로 행복한 학교 만들어요

용인시 석현초등학교가 에너지 절약으로 마련한 예산을 시설과 생활지도, 체육, 진로교육 등에 투자해 학생과 교사 모두 행복만족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석현초는 교장실의 절반을 특별실로 꾸몄으며, 전기차단기 사용, 전구 끄기, 교실 4칸 크기의 도서실 칸막이 등 설치하고, 이용이 적을 때는 한쪽만 사용하는 시설구조조정을 추진해 지난해 10월부터 3월까지 590여만 원의 전기세를 절약했다. 또 자원절약 생활화를 위해 도우미 활동, 수돗물전기가스절약 등을 위한 연수, 토론학습 등을 가정까지 파급시켜 절약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석현초는 이러한 에너지 절약 실천으로 남은 예산을 안전지킴이 초소 설치, 샌드백 설치, 진로교육과 자존감 형성을 위한 롤모델 이름표 달기, 다양한 체육활동 등을 추진하는 데 뜻깊게 사용했다. 그 결과 석현초는 지난 2012년 경기도 그린스쿨 사업에서 경기도 동부지구 1위로 푸른 경기21상을 받은데 이어 지난해는 그린스쿨 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송해주 교장은 학생, 교직원, 학부모 모두가 환경보호 및 에너지 절약의 취지를 이해하고 실천해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역북 매각 불발… 용인도시公 부도위기

매입 조건을 대폭 완화한 역북지구 택지 매각이 결국 불발되면서 용인도시공사가 또다시 부도위기에 내몰렸다. 용인시와 용인도시공사는 지난 28일 역북지구 도시개발사업 택지 매각 입찰을 진행한 결과 단 한곳의 건설사도 접수하지 않았다고 30일 밝혔다. 공사는 곧바로 재공고를 내고 같은 조건으로 입찰을 벌일 예정이다. 공급금액은 B블록(5만5천636㎡) 1천284억원, C블록(5만7천850㎡) 1천335억원, D블록(2만7천280㎡) 629억원으로, 지난 1월 공고 때보다 각각 91억원, 106억원, 14억원을 할인했다. 특히, 토지대금을 5년 분할납부하지 않고 6월말까지 선납하면 할인율을 7%에서 8%로 높여 3.3㎡당 공급가액은 550만600만원으로 조성원가(3.3㎡당 760만원) 보다 훨씬 저렴하다. 시와 공사는 사업성이 충분한데다 입찰에 앞서 진행된 토지매각 설명회에서 30여곳의 건설사들이 참여해 큰 관심을 보여 응찰업체가 많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제 입찰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번 매각 무산으로 용인도시공사는 당장 4월24일과 5월28일 만기 도래한 각각 200억원씩 총 400억원의 공사채를 막지 못할 경우 부도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공사 관계자는 입찰 의향을 보인 건설사 상대로 응찰하지 않은 이유 등을 조사한 뒤 앞으로 대응방법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수의계약을 가능하게 하려고 바로 재공고할 예정이지만 매각이 성사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시청 주변 역북지구(41만7천㎡)는 토지보상가가 비교적 높게 책정돼 A블록(3만4천㎡)과 공공청사단독주택용지(2만2천㎡) 등 전체의 22.4%만 매각됐다. 공사는 토지리턴제 방식으로 C블록을 매각했다가 매수자가 리턴권을 행사하는 바람에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자금난을 겪고 있으며 부채는 4천20억원에 달한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