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북택지’ 20번째 공개입찰… 역시 임자 없었다

용인도시공사가 용인시청 주변에 추진 중인 역북택지개발사업과 관련해 또 다시 토지매각에 실패하면서 부도 위험에 직면했다. 9일 용인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용인시와 도시공사는 선납할인율을 7%에서 8%로 높여 공급가액을 조성원가(3.3㎡당 760만원) 이하로 낮추는 초강수를 두며 이날 20번째 공개입찰을 벌였다. 그러나 단 한곳의 업체도 응찰하지 않아 또 다시 토지매각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공사는 오는 24일 만기 도래하는 지방채 200억원을 상환할 길이 막막해졌다.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시의회 채무보증을 통해 은행에서 2천700억원을 차입한 도시공사는 채무비율마저 초과돼 추가 대출도 불가능하다. 게다가 다음달 중순 또 다시 200억원이 만기 도래하는데다 금융이자 및 직원급여 등으로 당장 600억원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자금을 마련할 뾰족한 수가 없어 국내 공기업 사상 최초로 부도가 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부도를 막을 수 있는 대책으로는 토지를 헐값에라도 판매해 당장 만기 도래하는 지방채를 상환하거나 이달 중 열리는 시의회 임시회에서 채무보증을 받아 다시 빚을 내는 방법 뿐이다. 하지만 시의회의 채무보증 동의여부 역시 현재로써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마련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땅을 팔아 빚을 갚는 것이라며 그러나 일단 시의회 채무동의를 통해 자금을 대출받아 부도를 막고 추후 토지매각에 나서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 환승할인 ‘눈앞’

용인경전철 통합 환승할인이 곧 시행될 전망이다. 용인시는 6일 용인경전철에 대한 수도권 통합 환승할인이 국토교통부의 중재로 별도의 손실보전 없이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공문을 통해 별도의 손실보전 없이 환승할인을 시행하고 운임수입 배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공동 용역을 실시하라며 도시철도 운영기관과 합의를 통해 환승시스템을 조기 구축하라고 통보했다. 이번 국토교통부 중재결과 통보를 받은 용인시는 경전철과 분당선 간 운임수입금 배분 문제에 대한 공동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어 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교통카드 시스템 개선회의를 개최해 환승 적용일자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중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조속히 환승할인 시행일자를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경기도와 용인시는 경전철 환승할인을 놓고 코레일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지난해 12월 국토부에 중재를 요청했다. 코레일은 중전철과 경전철간 운임수입 정산배분 원칙을 새로 만들어 손실분을 용인경전철 측이 부담해야 한다고 요구한 반면 용인시는 기존 전철처럼 용인경전철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운임수입을 정산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부도위기 용인도시公 ‘책임회피’ 급급

용인도시공사 이사회가 용인도시공사의 부도를 막기위해 용인시가 고육지책으로 제안한 역북지구 할인매각안을 부결시켜 놓고 모든 책임을 용인시 탓으로 돌려 책임을 회피하려해 빈축을 사고 있다. 6일 용인도시공사와 용인시 등에 따르면 용인도시공사 이사회는 지난 4일 이사회를 열고 시가 제안한 역북지구 도시개발사업 구역 내 미분양 주택용지 반값 할인 매각안을 부결시켰다. 시가 제안한 반값 할인 매각안은 조성원가(3.3㎡당 760만원) 수준에 공급하되 기존 8%의 토지선납 할인율을 2배 이상 높여 3.3㎡당 300만원대에 공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조성원가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매각대상은 앞서 지난달 공개경쟁 입찰에서 매각에 실패한 B블록 5만5천636㎡(1천284억원), C블록 5만7천850㎡(1천335억원), D블록 2만7천280㎡(629억원) 등이다. 시는 반값 할인 매각으로 1천600억원의 손실금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도시공사의 부도를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이 같은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도시공사 이사회는 이날 할인매각에 따른 손실책임 부분을 놓고 이사들 간 논쟁을 벌이다 결국 시의 안건을 부결처리했다. 오히려 역북지구 사업과 관련해 시장에게 책임을 물으며 모든 책임을 시의 탓으로만 떠넘기려한 것으로 알려져 비난여론이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3.3㎡당 300만원선이 업체들이 반응하는 가격대로 도시공사에 할인 매각안을 제시했지만 협의가 안됐다며 도시공사가 부도위기에 놓이면 시 재정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대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공사는 당장 오는 24일과 다음달 28일 역북지구 사업 과정에서 발행해 만기 도래한 공사채 400억원을 막지 못하면 부도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