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서 ‘생거진천 사거용인’ 의미 규명하기 위한 학술세미나 개최

용인에서 오래전부터 내려온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의 유래와 의미는?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살아서는 진천, 죽어서는 용인이라는 말로 용인에서 오래전부터 구전돼 온 말이다. 그러나 이 성어가 어떻게 유래하였는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어 그 근원에 대한 설도 분분한 상황이다.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유래와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학술세미나가 열려 주목된다. 용인문화원은 오는 6일 오후 2시 용인문화예술원 3층 국제회의실에서 평도공 최유경(崔有慶ㆍ1343-1413) 선생 조명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주인공은 바로 고려말 선초 문신인 최유경 선생. 그의 출생지는 진천이지만 그의 묘는 기흥구 공세동 자봉산 기슭에 있다. 최유경의 큰아들 최사위(崔士威)는 생전에는 진천에서 부친을 모셨고, 사후에도 부친의 묘소 아래 여막(廬幕)을 짓고 3년간 시묘를 하다가 자신이 죽으면 그 자리에 묘소를 마련하라고 유언, 죽어서도 부친을 가까이 모시겠다는 지극한 효성을 보였다. 이에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성어는 살아서나 죽어서나 부친을 모시고자 했던 최씨 가문 자손의 효행심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것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겠다는 것이다. 용인문화원 김장환 사무국장은 최유경 선생의 삶과 발자취를 조명하고, 그의 큰아들 최사위로 이어지는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유래를 조명, 시민에게 효 문화를 고취시키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용인 여성회관 골프연습장 설치 대립각

골프의 대중화 선도화와 여성회관의 수익창출을 위해 골프연습장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시 여성회관에 골프연습장 설치가 웬 말이냐? 인근 골프연습장 영업에도 손해를 끼치게 된다. 용인시여성회관내 실내 골프연습장 설치 여부를 둘러싸고 시와 시의회가 대립각을 세우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4일 용인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위치한 용인여성회관 1층(209.58㎡)에 10타석과 퍼팅장을 갖춘 실내 골프연습장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달 18일까지 이같은 내용의 용인시 여성회관 운영조례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 하고, 이번 달 조례규칙심의회와 시의회에 상정키로 했다. 시는 수지구 지역 주민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골프연습장 시설을 제공하고, 나아가 시의 세외수입 증대와 수익구조 창출을 위해 반드시 여성회관에 골프연습장을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시는 헬스장과 수영장, 스쿼시장 등이 마련된 여성회관에 실내골프연습장을 설치ㆍ운영해 연간 2천만 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용인시의회 일부 의원들은 여성회관 내 골프연습장 설치에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 이에 앞서 최근 용인여성회관을 관리하는 시 평생교육과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미연 의원(새)은 여성회관 내 골프연습장 설치 반대 의견을 강하게 피력했다. 지 의원은 시 여성회관에 골프연습장 설치가 말이 되느냐?라며 비교적 싼 값의 골프연습장이 생기면 인근 골프연습장 영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라며 설치 반대 의견을 분명히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운영이 어려운 여성회관 내 골프연습장 설치로 주민들의 욕구충족은 물론 시의 세외수입 증대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0% 이상이 설치를 찬성했다고 추진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용인=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이천~오산 고속道 환경평가 ‘空청회’

이천~오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청회가 3일 용인시 처인구청 회의실에서 열린 가운데 공청회에 참석한 인근 주민들이 주최 측의 무성의한 태도를 강력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이천광주고속도로(주)가 공동으로 주관해 열린 이날 공청회에서 주민들은 주최 측이 초안도 공개하지 않은 채 부실하게 공청회를 진행했다고 반발했다. 주최 측은 사업개요를 간단히 담은 A4용지 한 장을 주민들에게 나눠준 뒤 동탄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용인을 통과하게 됐다는 간략한 말로 이천오산 고속도로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설명을 끝냈다. 이에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파괴를 우려하며 공청회장을 찾은 용인시 지곡동 주민 등 70여명의 시민들은 주최 측의 무성의한 태도에 즉각 반발했다. 주민 A씨는 사전설명도 없이 날림으로 공청회를 하느냐며 용인시민 불러놓고 용인 얘기는 단 한마디도 없었다고 비난을 쏟아냈다. 결국, 이날 공청회는 다음에 다시 실시하라는 주민의 제안을 주최 측이 받아들이면서 1시간 20여분만에 마무리됐다. 한편, 수도권 제2 외곽순환고속도로의 한 구간인 이천오산 고속도로(31.34㎞ㆍ왕복 4차선)는 화성시 동탄면 봉담동탄 고속도로 동탄JCT에서 광주시 도척면 양평이천 고속도로 곤지암JCT를 연결한다. 금호산업 등 2개사 컨소시엄인 오산광주고속도로(주)가 총 사업비 6천245억원을 들여 오는 2021년 완공하며, 봉담동탄ㆍ경부ㆍ중부고속도로와 만나고 건설 계획 중인 양평이천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그러나 화성시 중리마을, 용인시 지곡마을, 용인정신병원, 화운사, 군부대 등을 통과하는 이 도로는 주민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아직 최종 노선을 확정하지 못했다. 용인=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용인시, 여성가족부 선정 여성친화도시 지정

용인시가 여성가족부가 선정한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됐다. 여성가족부는 여성친화도시 지정을 신청한 지자체의 조성계획에 대한 심사를 거쳐 용인시 등 11개 지자체를 여성친화도시로 2일 최종 선정했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초 여성가족부와 협약을 맺고 앞으로 5년간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2014년에는 시민 공감대 조성과 기반 구축 등 준비단계를 거쳐 2018년까지 5년간 연차별 사업 추진과 모니터링, 평가 등을 통해 여성친화도시를 정착시켜 나갈 방침이다. 도시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일자리, 안전, 복지 등 시정 전반에 남녀가 동등하게 참여하는 양성 평등을 기반으로 여성은 물론 가족과 시민 전체의 행복을 확대 재생산하는 행복도시로 발전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올해에도 여성이 행복해야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여성친화도시 조성 조례 제정, 조성협의체 구성, 여성친화도시 워크숍 및 포럼 개최, 여성인재은행 도입 등 맘(Mom)이 행복한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해 왔다. 시 관계자는 도시정책에 여성의 의견을 고려하고 지역의 여성정책을 활성화해 여성뿐 아니라 시민 모두 행복한 여성친화도시를 발전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용인 보건소 때아닌 상납소동

용인의 한 보건소가 6급 이상 공직자간 생일 축하금이 전달 과정에서 국무총리실 감찰반에 금품이 오갔다는 진정으로 과장돼 한바탕 홍역을 치룬 것으로 알려졌다. 1일 용인 A보건소에 따르면 국무총리실 공직자 비리 감찰반이 지난달 27, 28일 이틀 동안 불시에 A 보건소에 들이닥쳐 보건소장과 보건행정과장, 6급 이상 팀장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지난달 보건소장인 B씨의 생일을 맞아 팀장급(6급) 이상 8명의 직원이 5만원씩 걷어 총 40여만원을 보건소장에게 건냈다는 진정 때문이다. 조사 결과, 이 보건소는 수년전부터 팀장급 이상 직원이 생일을 맞이할 경우, 생일 당사자를 제외한 나머지 팀장급 이상 직원이 선물 대신, 5만원씩 걷어 건네줬고 당사자는 식사를 대접하는 방식으로 생일 파티를 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A보건소 관계자는 몇 년전부터 생일을 맞은 직원에게 생일 축하금을 걷어 전달해 주는 보건소만의 관례였다라며 직원들 간에 서로 생일을 축하해 주자는 의미에서 진행된 것인데 안 좋은 모습으로 비쳐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A보건소 이 같은 보건소만의 전통문화가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폐지하기로 했다. 용인=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