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에서 오래전부터 내려온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의 유래와 의미는?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살아서는 진천, 죽어서는 용인’이라는 말로 용인에서 오래전부터 구전돼 온 말이다. 그러나 이 성어가 어떻게 유래하였는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어 그 근원에 대한 설도 분분한 상황이다.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유래와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학술세미나가 열려 주목된다.
용인문화원은 오는 6일 오후 2시 용인문화예술원 3층 국제회의실에서 ‘평도공 최유경(崔有慶ㆍ1343-1413) 선생 조명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주인공은 바로 고려말 선초 문신인 최유경 선생. 그의 출생지는 진천이지만 그의 묘는 기흥구 공세동 자봉산 기슭에 있다.
최유경의 큰아들 최사위(崔士威)는 생전에는 진천에서 부친을 모셨고, 사후에도 부친의 묘소 아래 여막(廬幕)을 짓고 3년간 시묘를 하다가 자신이 죽으면 그 자리에 묘소를 마련하라고 유언, 죽어서도 부친을 가까이 모시겠다는 지극한 효성을 보였다.
이에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성어는 살아서나 죽어서나 부친을 모시고자 했던 최씨 가문 자손의 효행심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것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겠다는 것이다.
용인문화원 김장환 사무국장은 “최유경 선생의 삶과 발자취를 조명하고, 그의 큰아들 최사위로 이어지는 생거진천 사거용인의 유래를 조명, 시민에게 효 문화를 고취시키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khj@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