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평택시 2024년 행정타운 착공에 구도심 슬럼화 우려…지역사회 술렁

평택시 행정타운의 고덕국제도시 이전 관련 구도심 슬럼화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들로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시는 앞서 지난 23일 행정타운을 고덕국제도시로 옮겨 오는 2024년 착공한다는 내용의 고덕국제도시 개발계획 재수립안(본보 24일자 10면)을 발표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시청사가 고덕국제도시로 이전하면 시청사 인근은 물론 구도심 전체가 슬럼화될 수 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시청 부근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A씨(45)는 시청 이전은 진작에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착공시기가 구체적으로 나오니 걱정부터 앞선다며 지금 운영하는 가게를 고덕국제도시로 옮겨야 하는 건 아닌지 벌써 고민하게 된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또 다른 상인 B씨도 타지역도 공공기관이 옮겨지면 상권이 붕괴돼 상인들이 버티지 못하고 줄줄이 폐업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시는 시청 건물 전체의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타운 이전에 따른 부동산가격 및 임대시장 하락 등도 점쳐지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 C씨는 시청이 이전하면 구도심 슬럼화가 급속히 진행될 수 있고 그 여파로 부동산가격 하락 및 상가 공실률 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구도심 붕괴는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걱정하는 상권 붕괴 및 구도심 슬럼화 등의 심각성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다며 시민ㆍ전문가 등과 함께 시청건물 활용방안 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다음달 컨설팅 용역을 발주한 뒤 오는 8월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LIMAC)에 행정타운 이전건립 타당성 분석을 신청할 계획이다. 행정타운은 연면적 6만7천여㎡에 시청과 시의회 등이 들어선다. 평택=최해영기자

평택시 축산과 직원들, AI방역 최일선서 사투…확산 방지 총력

시민의 안전은 물론 가금농가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평택시 축산과 직원들이 주말까지 반납한 채 살처분 현장작업 등 AI가 언제 어떻게 뚫릴지 모르는 비상상황에서 방역전쟁을 치르고 있다. 시는 앞서 지난해 11월26일 전북 정읍 가금농장에서 올겨울 들어 첫 AI가 발생하자 같은해 12월4일 평택시 농업기술센터에 AI 재난상황실을 설치ㆍ운영 중이다. 24일 현재 평택에선 지난해 12월29일 청북읍을 시작으로 지난 11일 팽성읍, 지난 17일 고덕읍 산란계농장에서 AI가 발생, 해당 농장과 인근 가금농장의 산란계가 살처분됐다. 지금껏 살처분된 산란계는 모두 77만2천여마리에 이른다. 지역 내 가금농가는 대부분 영세 농가다. 축산과 직원들은 가금농가들이 피ㆍ땀으로 일군 농장을 반드시 지키고자 휴일도 반납한 채 근무에 임하고 있다. 시는 AI 유입 차단을 위해 방역수준을 대폭 강화했다. 먼저 가금농장과 시 공무원 1대 1 매칭을 통한 전담관제를 도입, AI 바이러스 유입방지를 더욱 철저하게 이행하도록 했다. 광역방제기 4대와 살수차 1대, 드론 4대, 소독 차량 4대 등을 동원해 철새도래지와 가금농장을 집중 소독하는 한편 철새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 대해선 산책과 낚시 등도 통제하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팽성대교 인근에 400m, 청북 백봉리 마을 인근에 200m 원형철조망을 설치하고 시민들이 하천변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선제적 방역을 위해 농장초소 4곳, 하천변 통제초소 2곳(궁안교적봉교) 등과 팽성읍 석근리 일원에 총사업비 7억8천여만원을 들여 신축한 거점 세척소독시설 등 거점 소독소 2곳을 운영 중이다. 안중지역에 최신 소독시설 설치도 검토 중이다. 허윤강 평택시 축산과장은 시는 팽성읍에 거점소독시설을 신축한 데 이어 안중에도 최신 소독시설 설치를 검토 중이다.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 AI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평택=최해영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