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청, 설 연휴 환경오염행위 집중단속

한강유역환경청이 설 연휴를 대비해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체와 환경기초시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환경오염예방 특별감시에 나선다. 12일 한강청에 따르면 이번 환경오염예방 특별감시는 사업장에 대한 관리ㆍ감독이 소홀해지는 설 연휴를 전후해 오는 14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한다. 특별감시는 연휴 전 사전계도 및 집중점검, 연휴 중 취약지역 순찰과 상황실 운영, 연휴 후 기술지원 등 3단계로 추진한다. 연휴 전(오는 23일)에는 환경관리취약사업장을 대상으로 협조공문을 발송해 자율점검을 실시하는 등 환경오염예방을 유도하고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체 등 주요 감시대상시설을 집중 점검한다. 연휴 중(24~27일)에는 미세먼지 우심지역 및 주요 하천 등 취약지역에 대한 순찰을 실시하는 동시에 환경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연휴 후(28~31일)에는 특별감시기간 동안 적발된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시설운영ㆍ개선에 대한 전문가 기술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특별감시는 정부합동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 대응 특별대책에 따라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사업장 미세먼지 불법배출 집중점검과 연계할 방침이다. 한편, 한강청은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핫스팟)으로 지정해 관리중인 포천 소재 4개 산업단지와 광주 선동 공업지역에 대해 무인항공기(드론) 및 이동측정차량 등 첨단과학장비를 활용해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하남=강영호기자

광주하남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 8일 하남시청 대회의실에서 가져

광주하남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가 8일 하남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신년인사회에는 김상호 하남시장과 최채석 광주하남상공회의소 회장, 김규식 경기도 경제기획관, 이현재 국회의원, 기업인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새해 소원성취 여망을 담은 축하 떡을 자르며 기업의 번창 및 하남시가 수도권 중심도시로 비상하기를 기원했다. 김 시장은 신년사를 통해 경자년 새해 반칠환 시인의 새해의 첫 기적이라는 시를 함께 나누고자 한다며 황새는 날아서, 말은 뛰어서, 거북이는 걸어서, 굼벵이는 굴렀는데 한 날 한시 새해 첫날에 도착했다. 바위는 앉은 채로 도착해 있었다는 시를 읊었다. 이어 황새, 말, 거북이, 굼벵이가 모두 서로 다른 영역에서 저마다 방식으로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달렸다며 모든 분들도 마찬가지로 서로 격려하며 포기하지 않고 2019년을 달려왔고 경자년 새해 같은 출발선에 함께 섰음을 강조했다. 최채석 회장은 올해는 일자리지원 사업설명회와 경영 애로 사업 컨설팅 등 다양한 기업 지원 활성화로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든든한 발판을 마련하고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수도권 자동차연료 환경품질 세계 최고 수준

수도권에서 판매 중인 휘발유ㆍ경유의 환경품질등급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따르면 대기환경청은 2019년 하반기 경기도와 인천시 등 수도권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연료(휘발유ㆍ경유)의 환경품질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휘발유는 SK에너지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농협, 한국석유공사(알뜰주유소 공급) 등 6개사가 모두 별(★) 5개를 받았다. 경유 역시 6개사 모두 국제 최고 수준인 별 5개를 받았다. 휘발유의 경우, 지난 2018년 상반기에 일부 업체에서 별 4개 등급을 받았으나, 같은 해 하반기부터 별 5개로 품질이 향상,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경유는 2006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하반기까지 연속으로 평가대상 업체 모두 별 5개를 받았다. 평가항목을 세부 살펴보면 휘발유는 방향족화합물 등 총 6개 평가항목 중 오존 형성 물질을 증가시키는 올레핀 함량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증기압 2개 항목을 제외하고 업체 모두 별 5개 최고 등급을 받았다. 경유는 총 6개 평가항목 중 밀도(@15℃), 황함량, 윤활성, 세탄지수 등 4개 항목에서 대상 업체 모두 별 5개를 받았다. 다만,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방향족화합물은 모두 별 3~4개를 받았으며, 다고리방향족은 별 4개를 받았다. 한편, 자동차연료 환경품질등급 평가 제도는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소비자의 친환경 연료 구매를 유도하고 자동차연료 제조ㆍ공급사의 자율적인 환경품질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