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수지구 신봉동 2만2천㎡ 근린공원 주민 개방

용인특례시 수지구 신봉동 광교산 기슭에 2만2천여㎡ 규모의 제80호 근린공원이 조성 후 개방됐다. 이에 따라 신봉동 일원 주민들에게도 자연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녹지공간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27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수지구 신봉동 218-7번지 일원 광교산 기슭에 2만2천여㎡ 규모의 제80호 근린공원을 조성한 뒤 주민들에게 개방했다. 해당 근린공원은 광교산 기슭 힐스테이트아파트와 인접한 곳에 위치했다. 시가 신봉구역 도시개발사업 조합과 위·수탁 협약을 체결한 뒤 해당 조합으로부터 조성비(152억원)를 받아 공사를 시행했다. 제80호 근린공원은 광교산 일대 녹지를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2만2천829㎡ 규모에 물놀이시설, 멀티코트, 운동시설, 야생화원 등을 조성했다. 물놀이시설 설치와 관련해 아파트 주민 간 찬반 의견이 갈렸으나 시가 주민협의체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 평상시에는 놀이터로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워터슬라이드, 워터터널 등을 갖춘 물놀이시설로 이용하기로 했다. 멀티코트는 배드민턴이나 족구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됐고, 공원 곳곳에 앉아서 쉴 수 있는 파고라, 등의자, 산책로 등도 설치했다. 공원에는 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느티나무, 메타세쿼이아, 대왕참나무, 이팝나무 등 다양한 수종 930그루도 심었다. 이상일 시장은 “주민들이 원하는 물놀이 시설을 설치할 수 있어 뜻깊다”며 “제80호 근린공원이 신봉동 주민들의 새로운 힐링 쉼터로, 도심 속 녹지 공간으로 큰 사랑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체육회장 당선인 인터뷰] 오광환 용인특례시체육회장 “체육인 위한 맞춤 행정 전력투구”

민선 2기 용인특례시체육회장 선거에서 승리한 오광환 당선인(65· 전 기흥구체육회장)은 “체육회를 위해 혼신을 다할 생각이다. 용인 체육인들에게 꼭 필요한 행정을 반드시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오 당선인은 지난 22일 치러진 용인시체육회장 선거에서 87표를 얻어 왕항윤(83표), 김도준(57표), 이한규(22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오 당선인은 “뜨거운 지지와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준 용인시 체육인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용인 체육에 남다른 열정을 가진 훌륭한 후보자들과 좋은 경쟁을 할 수 있어서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오 당선인은 다섯가지 공약 실천을 통해 체육인의 이익을 반드시 이끌어 내겠다고 했다. 그는 “종목단체, 읍·면·동체육회와 기업간 일대일 매칭 사업 후원,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강좌 개설과 강습 프로그램 보급, 시민들을 위한 공공체육시설 할인 정책을 펼치겠다”며 “엘리트체육 활성화를 위한 장학금 지급과 상해보험 가입 등을 통해 우수선수 육성과 보호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오 당선인은 “지역 내 군부대시설, 연수원 체육시설 등을 용인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 용인시와 협의해서 개방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또 타 특례시에 비해 체육 예산이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시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부족한 예산을 반드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공공시설 정치적 이용?”…용인시 공공시설 개방 조례 개정 논란

용인특례시의회 공공시설 개방·사용에 관한 조례 개정안이 통과된 것과 관련, 공공시설을 정치적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22일 열린 제269회 용인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용인시 공공시설 개방 및 사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통과됐다. 이 안건은 지난 20일 자치행정위원회에서 부결됐지만, 본회의에 다시 상정돼 찬성 17, 반대 15표로 최종 가결됐다. 민주당 시의원 전원이 찬성표를 던졌다. 더불어민주당 장정순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은 정치·종교 등의 목적으로 공공시설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한 기존 조례에서 공직선거법 등 법령에서 허용되지 않는 정치적 행위나 선거운동,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의 업적 홍보, 당원 모집 등의 경우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사실상 사용 제한 기준을 완화하면서 공공시설을 정치적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치적 목적으로는 공공시설 사용이 원천적으로 금지돼 있었지만 일부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 사용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준 것이란 이유에서다. 국민의힘 이창식 의원은 “사용허가 제외대상으로 열거한 선거운동, 후보자의 업적 홍보 행위, 당원 모집을 제외하고 모든 정치적인 행위와 집회는 공공시설 개방의 사용허가 대상이 된다. 공공시설에서 정치인이 주최하는 집회·교육 등이 열리면 소속 정당의 정책 등이 표출될 여지가 매우 크다”며 “그렇게 되면 용인시는 불필요한 정치적 논쟁에 휩싸이게 되고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의무까지 의심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일 시장은 민주당 소속 시의원 17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재의(再議) 요구를 시사했다. 이 시장은 의회에서 조례안이 이송되면 20일 이내에 재의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의회는 내년 2월에 예정된 임시회에서 조례안을 재의에 부치게 된다. 이 시장은 “이 개정조례안이 ‘지방자치단체 전체의 이익’과 ‘공공가치’의 범위에 부합하는 것인지, 특정 정치인이나 정파의 목적 달성 속셈에 부합하는 것인지에 대해 용인시의회가 다시 심사숙고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용인특례시 신성장전략국 신설 등 조직개편안 통과

용인특례시 민선 8기 첫 조직개편안이 용인특례시의회 상임위 심의를 통과했다. 새 조직개편안이 22일 본회의를 통과되면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지난 20일 열린 용인시의회 제269회 임시회 제1차 자치행정위원회 회의에는 ‘용인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안건으로 올라왔다. 기존 ‘2실 6국 1단 53과 221팀’인 행정조직을 ‘2실 7국 1단 57과 231팀’으로 개편하는 내용으로, 이상일 시장의 핵심 공약인 반도체 산업 육성과 관련한 ‘신성장전략국’ 신설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안건은 지난달 23일 '신성장전략국의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이유로 시의회 자치행정위 의원들에게 부결됐다. 이에 따라 시는 기획조정실 산하로 배치했던 법무담당관, 청년담당관을 원래 제1부시장 직속기구로 두는 수정안을 의회에 다시 제출했다. 이어 의회를 적극 설득한 끝에 상임위 심의 통과를 결국 이끌어냈다. 한편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되는 신성장전략국에는 신성장전략과, 반도체1·2과, 4차산업융합과, 물류화물과 등 5개 과가 배치된다. 자치행정실은 기획조정실(8개과)로, 교육문화국은 교육문화체육관광국으로 재편된다. 조직개편과 함께 시청 총인원은 3천236명에서 65명 늘어난 3천301명으로 조정된다. 처인구청에는 대민협력관(4∙5급)이 신설된다. 이 기구는 집단민원 해결을 위한 의견 수렴과 갈등관리 조정 역할을 수행한다. 용인=김경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