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화학약품 공장서 황화수소 마신 50대 작업자 '중태'

평택시의 한 화학약품 제조 공장에서 독성 물질에 노출된 50대 근로자가 뇌사 상태에 빠졌다. 22일 평택경찰서에 따르면 전날 오전 9시 45분께 평택시 모곡동의 한 화학약품 공장에서 작업자 A(50대) 씨가 황화수소를 마셔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그는 현재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로, 병원으로부터 뇌사 추정 소견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는 수유화나트륨과 사황화나트륨이 포함된 약품 제조에 쓰인 폐수를 중화조(화학폐수의 산도를 중화하기 위한 탱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약품을 담았던 장비를 물로 세척하면서 황화수소 가스가 발생했는데, A씨가 이 폐수가 담긴 중화조의 잔량 확인을 위해 맨홀 뚜껑을 열었다가 가스를 들이마신 것으로 추정된다. 황화수소 안전 수치는 15ppm인데, 사고 당시 맨홀에서는 기준의 20배에 달하는 293ppm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맨홀 뚜껑을 열어 잔량을 확인하는 건 작업 내용에 포함된 것이고 현장에는 안전관리자도 동석해 있었지만, 방독면을 착용하지 않았다며 현장 안전관리 위반사항이 확인될 경우 규정에 따라 처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평택시 내달까지 군용비행장 소음피해 보상금 관련 주민 의견 청취

평택시가 다음달 10일까지 K-55 평택오산비행장 등 군용비행장 소음대책지역 지정(안)에 대한 주민 의견을 청취한다. 국방부는 앞서 K-55 평택오산비행장과 K-6 캠프험프리스 주변 지역에 대한 소음 영향도 조사를 마쳤다. 군용비행장ㆍ군사격장 소음방지 및 피해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음대책지역으로 지정되면 보상금을 받는다. 1종(95웨클 이상)은 월 6만원(1인 기준), 2종(90웨클 이상 95미만 웨클)은 월 4만5천원, 3종(80웨클 이상 90웨클 미만)은 월 3만원 등이다. 단 보상금은 전입시기, 사업장 근무지 위치 등에 따라 줄어들 수 있다. 소음지역 대상 여부는 군용비행장 소음지역 조회시스템에 접속해 주소를 입력한 후 조회하면 된다. 대상 여부에 대한 이의나 문의는 국방부 소음지역 조회 홈페이지 Q&A 게시판에 남기면 국방부가 답변한다. 국방부는 의견 청취를 마친 뒤 오는 12월 중으로 소음대책 대상 지역을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정장선 시장은 군용비행장 소음으로 피해를 본 주민들은 의견수렴기간에 소음대책지역 해당 여부 등을 반드시 확인하고 조사 결과(안)에 이의가 있으면 해당 홈페이지에 의견을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평택=최해영기자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된 개발계획 비현실적”…평택항 활성화 좌담회

해양수산부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된 평택항 개발계획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평택시가 6일 평택대 ICT공학관에서 개최한 평택항 활성화 좌담회에서 정현재ㆍ홍상태 평택대 교수는 각각 평택항 관련 주요 이슈 및 현황과 항만기본계획과 평택항 개발방향 등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이처럼 지적했다. 이동현 평택대 교수 사회로 이어진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항만이 발전하기 위해선 평택항 배후단지 개발시기 단축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행정지원, 하역처리의 효율성 증대방안 등의 발전대책들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김동관 한국해외직구기업협회장과 박기철 평택항활성화 촉진협의회 부회장 등은 세관이 인천항의 경우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민간통관장을 허가했으나 평택항은 이를 가로막고 있다며 평택항 활성화를 위해선 민간이 주도할 수 있는 민간통관장 설치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평택시 관계자는 평택항 발전을 위해 제시된 의견들은 제4차 항만배후단지 종합개발계획과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등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좌담회에는 평택항 내 각 분야 전문가 등 11명이 패널로 참석, 열띤 토론을 벌여 평택항 발전에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평택=최해영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