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 체납차량 번호판 야간 영치

오산시는 올해 말까지 지방세 2건 이상, 차량관련 과태료 30만원 이상 차량에 대해 야간과 휴일에 번호판 집중 영치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번호판 영치는 체납액 최소화를 통해 건전한 지방재정을 확보하고 조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된다. 번호판 영치대상은 자동차세 등 지방세 2건 이상이 체납됐거나 2011년 7월6일 이후 부과된 자동차 관련 과태료 중 30만원 이상 체납 내역이 있는 체납자 차량이다. 또, 타 지역 지방세 체납차량, 명의도용 차량(일명 대포차), 의무보험 미가입차량, 정기검사 미시행 차량도 영치대상에 포함된다. 특히, 고액체납 차량에 대해서는 해당 차량 바퀴에 봉인장치(일명 자동차 족쇄)를 채워 차량 이동을 못하게 함으로서 강력한 체납 징수활동을 벌인다. 시는 징수과 직원 8명을 체납차량 번호판 영치 전담반 2개조로 편성, 평일에는 주 2일 야간(19시~22시), 휴일에는 월 2회(10시~18시) 불시에 대상 차량에 대한 집중 번호판 영치를 실시한다. 한편, 시는 올해 10월말 기준으로 지방세 체납액 139억원, 자동차세 체납액 35억원, 차량 세외수입 과태료 체납액 112억원 등 총 286억원의 지방세 및 차량 관련 과태료 등 세금이 체납됐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원룸단지, 상가 등 차량 밀집지역에 대한 번호판 영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오산시, 아동학대예방 간담회 개최

오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센터장 강성옥)는 지난 12일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경찰관계자, 어린이집 교사 등 지역사회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물심양면 노력하는 각 기관의 종사자와 자원봉사자, 일반 시민 등 40여 명이 참여했다. 간담회에서는 기관별로 대표자가 각 기관에서 행해지는 아동학대예방 활동과 피학대 아동 및 가정을 위한 치료개입 사례를 발표하며 정보를 공유했다. 특히, 일반시민들이 스스로 구성한 아동학대예방 자조 모임 아동행복지킴이는 간담회장에서 아동학대 반대 서명운동과 함께 아동학대 예방사업 홍보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현재 오산시에서는 드림스타트센터와 무한돌봄지원센터 등 긴급지원을 포함한 사례관리기관이 있어 위기가정에 대한 개입이 이뤄지고 있으나 전문기관보다는 활동이 미흡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봉사 참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건강가정지원센터 관계자는 센터에서는 건강한 가정, 행복한 세상을 위해 다양한 가족복지 사업을 펼쳐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관계기관 관계자들과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강화로 아동학대예방뿐만 아니라 사후문제 해결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오산시, ‘2013 오산학생토론축제’ 성료

오산시가 지난 9일 오산중고등학교에서 개최한 2013 오산학생토론축제가 성황리에 폐막했다. 이번 토론축제는 오산시와 오산중학교, 오산토론연구회, 오산초등중등토론연구회가 주관하고 오산고등학교, 우송대학교 슬브릿지 국제대학 후원으로 개최됐다. 토론은 월드카페 토론, 영화토론, 제2회 오산 학생토론대회의 3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월드카페 토론에는 초등학생 4~6학년 72명, 영화토론에 중학생 58명, 오산학생 토론대회에 초중고 68개 팀 204명 등 관내 초중고생 334명이 참여해 열띤 토론의 장을 펼쳤다. 월드카페 토론은 10개의 테이블에 각각 다른 토론 주제를 갖고 테이블을 옮겨 다니며 부여된 주제에 대한 토론과 발표로 진행됐다. 영화토론은 참가자들이 영화를 감상하고 주제별로 영화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으며 오산 학생 토론대회는 3:3 의회식 토론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학생 토론 축제는 기존의 익숙한 대립토론 방식뿐만 아니라 월드카페와 영화토론 등의 포맷을 마련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토론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한국토론협회장과 세계토론협회 이사를 맡은 조슈아 박 교수가 심사위원장을 맡아 참가 학생과 교사로부터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였다는 평을 받았다. 곽상욱 시장은 국제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이고 성공적인 리더가 되려고 토론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학생들이 토론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