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아파트단지 노후상수도관 교체 가장우수

군포시가 맑은 수돗물 공급을 위해 아파트단지 노후 상수도관 개량사업을 적극 지원해 경기도내 자치단체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시와 경기도 수자원본부에 따르면 도 내 31개 시ㆍ군의 20년 이상 된 노후 소규모(60~130㎡ 이하) 주택 중 상수도관이 아연도 강관으로 설치돼 개량 지원 대상인 세대수는 총 93만5천875세대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지원이 이뤄진 사업량은 22.1% 불과하다. 특히 아파트단지 노후 상수도관 개량사업 시행률이 10% 미만인 시ㆍ군이 18곳에 이르고 평균 사업량 이상의 실적을 이뤄낸 도시는 군포를 포함해 6개 지자체에 불과하다. 하지만 시는 노후 주택 녹슨 상수도관 개량 실적이 89.8%에 이르고 있어 시민을 위한 맑은 수돗물 공급 노력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지난 2016년부터 녹슨 상수도관 개량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20개 공동주택 단지가 상수도관을 개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올해와 내년까지 15개 단지에서도 개량사업을 실시해 모두 35개의 공동주택 입주 시민들이 보다 맑은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한대희 시장은 깨끗한 수돗물을 생산해도 공급하는 관이 녹슬어있으면, 시민들의 수돗물 사용 만족도가 높을 수 없다며 시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후 수도관 개량 사업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문의:시청 건축과 군포=윤덕흥기자

군포 시승격 30년 맞아 새 상징물 찾기나서

군포시가 시(市) 승격 30주년을 맞아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가치를 반영하는 새 상징물 찾기에 나섰다. 현재 사용하는 심벌마크(City Identity)와 캐릭터 등 각종 상징물은 2003년 개발된 이후 15년 이상 사용된 것으로, 달라진 도시의 발전상이나 장기 지향 목표 등을 담아내지 못해 새로운 상징물 개발이 요구됐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시는 공공기관인 한국디자인진흥원에 군포시 상징물 변경개발 연구용역을 발주, 올해 말까지 CI와 BI(브랜드이미지) 그리고 캐릭터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새로운 CI와 BI를 합친 통합 도시브랜드에는 30년간 성장한 도시 가치와 새로운 군포 100년을 꿈꾸는 시의 정책비전을 표현하고, 캐릭터는 최신 디자인 기법을 적용해 지속가능한 사용 가능성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시는 이달 중 조직 내부와 시민사회단체, 시의회 등을 대상으로 현재의 상징물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상징물에 대한 기대 등을 조사해 용역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 CI 개발과 관련해 다음 달까지 시민 공모로 슬로건(slogan, 구호)을 선정해 결과를 반영하고, 시민에게 설명회와 신규 상징물 안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는 등 시민 참여를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한대희 시장은 시 승격 이후 30년간 많은 발전을 한 군포를 아직도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라며 시의 브랜드와 가치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군포의 현재와 미래를 나타낼 상징물 변경ㆍ개발 사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군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전기료 폭탄”

군포시 산하기관인 군포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상당수 기업들이 공장등록이 불가능해 일반용 전기를 사용하며 비싼 전기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군포시의회 성복임 의원은 12일 군포시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진흥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30개 기업이 창업보육센터로 지정되지 않아 산업용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일반용 전기를 사용하며 요금 폭탄을 맞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 기업은 초기 창업기업인데도 시와 진흥원으로부터 정책적 보호와 지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싼 전기료를 납부하고 있는 꼴이 됐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1월 개원한 군포산업진흥원은 지상 6층 지하 2층에 용도가 업무시설로 일반용 전기가 인입되어 있고 5층과 6층은 창업보육센터로 공개모집을 통해 30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일반적으로 창업보육센터로 지정되면 공장등록이 가능해 산업용 전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센터 입주 기업들은 일반용 전기 요금을 내고 있다. 진흥원이 기업모집 당시 많은 기업의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창업보육센터 지정기준인 3년 이내가 아닌 7년이내 기업을 모집대상으로 확대해 창업보육센터 지정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A기업(계약면적 128㎡)은 지난 1월 관리비 78만여 원 중 전기 관련비용이 40여만 원을 납부하는 등 대부분 기업이 요금 폭탄을 맞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현재 벤처기업집적시설로 공장등록을 마친 곳은 1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곳 창업보육센터는 전기식냉난방시스템을 겨울철과 여름철이면 전기료 폭탄이 불가피하다고 불평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장등록은 벤처기업집적시설로 지정받으면 가능하다고 답했으며, 진흥원측은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