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 적용한 연구결과 발표

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을 적용한 다기관 비교연구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서창희 교수팀은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5년동안 국내 5개 대학병원에 479명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WHO가 발표한 골밀도 기준과 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을 각각 적용했다. 그 결과 골다공증성 골절위험군이 각각 226명(47.2%, 골밀도 수치를 포함한 FRAX), 292명(61%, 골밀도 수치를 제외한 FRAX), 160명(33.4%, WHO 기준)으로, 33%~61%로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WHO 기준 대비 FRAX 기준으로 보면, 약 28%의 환자가 골다공증성 골절위험군에서 누락되어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711.9, 성별은 여성이 426명(88.9%)이고, 353명(82.9%)은 폐경후였으며, 골절 경험이 있는 환자는 81명(16.9%)이다. 기존의 WHO 기준은 골밀도 검사결과로 평가되고, FRAX는 골밀도 검사 외 다양한 임상적 위험요소들(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골절병력, 알코올 섭취, 흡연유무, 스테로이드제제 복용 유무, 류마티스 관절염 유무, 이차성 골다공증의 유무)을 고려해 향후 10년 내 골절위험도를 계산하여 간단하게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창희 교수는 FRAX 기준은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주요 위험요인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비교적 예측이 정확하다. 이에 현재 미국, 영국, 일본 등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FRAX 기준을 실제로 국내 환자들에게 적용했을 때 약 28%의 환자가 골절위험군에서 빠져 치료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특히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미리 적극적으로 치료해 골절 등 2차적인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지난 2018년 12월, Journal of Clinical Medicine(JCM, 임상의학저널)에 Prevalence and Fracture Risk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 Multicenter Comparative Study of the FRAX and WHO Criteria(류머티스관절염 환자에서 골다공증 발병과 골절의 위험 : FRAX와 WHO 기준의 다기관 비교연구)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송시연기자

의료법인 효자병원, 용인시 처인구보건소와 치매검진(감별검사)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의료법인 효자병원이 용인시 처인구보건소와 치매검진(감별검사)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용인시민들의 치매 예방 관리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유기적인 치매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처인구 지역주민의 치매예방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지난 12일 진행됐다. 협약으로 처인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는 지역내 치매환자 조기발견등록 및 관리 연계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지역사회 어르신의 치매예방을 위한 교육 및 치매가족서비스 등 치매환자를 비롯한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는데 앞장설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법인 효자병원은 처인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치매진단검사 결과 원인에 대한 감별검사가 필요한 이를 대상으로 감별검사를 진행하고, 지역주민에 대한 치매진단검사 및 교육상담자문, 그 밖의 치매예방 및 검진에 필요한 사항을 상호협력할 예정이다. 효자병원 관계자는 처인구보건소와의 협약으로 노인의료복지의 연계체계를 조성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용인시민들이 치매 걱정 없이, 건강한 노년을 맞이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료법인 효자병원은 치매전문치료병동 및 보건복지부지정 치매임상연구센터를 갖춘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요양병원이다. 지난해 4월 용인시 기흥구보건소와 치매예방관리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맺은 이후 치매 진단검사 및 예방교육을 위한 전문협력의사를 파견하는 등의 연계업무를 진행 중에 있다. 송시연기자

아스피린 장기복용하면 폐암 발생↓

저용량 아스피린을 5년 이상 장기복용하면 폐암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천은미 교수팀과 직업환경의학과 하은희 교수팀은 20022015년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아스피린 복용에 따른 폐암 발생의 예방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92010년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4084세 1천296만9천400명을 대상으로 폐암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폐암 발생 환자는 6만3천40명, 평균 나이는 66.4세로 이후 2002년부터 2010년까지 100㎎ 이하의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복용 기간에 따라 대상자를 전혀 복용하지 않은 그룹(1천98만7천417명), 12년 복용그룹(75만992명), 34년 복용그룹(50만6천945명), 56년 복용그룹(37만1천62명), 78년 복용그룹(24만528명), 9년 이상 복용그룹(11만2천456명)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성별과 비만,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장기 복용그룹에서 폐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피린 56년 복용그룹에서는 폐암 발생 위험이 4% 감소했다. 78년 복용그룹과 9년 이상 복용그룹에서는 각각 폐암 발생 위험이 6%, 1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세 이상에서 저용량 아스피린을 56년, 78년, 9년 이상 복용한 그룹에서 각각 폐암 발생 위험이 각각 5%, 7%, 13%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다만 65세 미만의 연령에서는 복용 기간에 따라 폐암 발생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천 교수는 저용량 아스피린은 뇌, 심혈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라며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폐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로 권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아메리칸 메디컬 어소시에이션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경기지역암센터, ‘2018년도 지역암센터 우수사업기관’ 선정

아주대병원 경기지역암센터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18년도 지역암센터 우수사업기관으로 선정됐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전년도 지역암센터 운영과 국가암관리사업 수행결과 등을 평가, 전국 지역암센터 12개 중 3개 기관을 우수기관으로 선정해 예산을 추가 지원하고 있다. 경기지역암센터는 효과적인 암관리사업 수행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선정됐다. 경기지역암센터는 2011년 지역암센터로 지정된 이후 지역사회 요구도 기반 맞춤형 암관리사업 추진을 위해 유관기관 연계망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물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암정보 제공을 강화해 지역주민의 암 관련 정보 접근성 향상 및 맞춤형 정보습득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또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암생존자를 위한 근거 중심의 암생존자통합지지서비스 개발 및 정립 등 암환자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도 경기지역 암관리계획 수립, 암예방, 국가암검진, 홍보사업, 국가암관리 정책 참여 등 지역주민의 건강증진과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전미선 경기지역암센터장은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한 암관리사업 추진을 통해 도내 건강수준 격차 완화에 기여하겠다면서 지역주민과 암생존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시연기자

안양윌스기념병원, 내시경 절제술의 비용 효율성 입증

내시경 디스크절제술이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에 비해 비용대비 효과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양윌스기념병원(병원장 이동찬)은 최근 척추센터 최경철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이 허리디스크 탈출증에 대한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과 내시경 디스크절제술의 비용 효율성을 비교ㆍ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외과분야 SCI급 국제학술지이자 척추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북미척추학회(NASS : North American Spine Society) 공식학술지 더 스파인 저널(The Spine Journal)에 실렸다. 최 원장이 발표한 이번 논문의 주제는 허리디스크 탈출증에 대한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과 내시경 디스크절제술의 비용 효율성(Cost-effectiveness of microdiscectomy versus endoscopic discectomy for lumbar disc herniation)으로 허리디스크 탈출증 환자에게서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과 세 가지 내시경 디스크절제술(TDR, IELD, UBED)과의 비용 효율성에 대한 연구다. 최 원장은 안양윌스기념병원에서 디스크절제술을 받은 20세부터 60세 사이의 환자 565명을 1년간 추적 관찰했다. 디스크절제술의 비용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과 관련된 비용, 수술 후 관리에 대한 비용, 수술로 인한 휴직으로 발생한 비용 등을 모두 계산하여 비교했다. 연구 결과 내시경 디스크절제술이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에 비해 수술 관련 비용, 수술적 관리에 대한 비용, 빠른 직장 복귀로 인한 급여 손실 등이 적어 비용대비 효과가 더 낫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세 가지 내시경 디스크 절세술(TDR, IELD, UBED) 간의 비용 효율성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경철 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동일한 척추 건강을 보장하는데 내시경 디스크절제술이 미세현미경 디스크절제술에 비해 약 3천800만 원(약 3만4천 달러)가량의 비용이 절약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를 통해 척추 내시경 수술은 최소 침습 접근법으로 환자의 정상적인 조직을 보존하는 것은 물론 의료비용도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세계 녹내장 주간(3월10일~16일)’ 맞아 전세계 3대 실명 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 바로알기

10일부터 16일은 세계 녹내장 주간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선정한 3대 실명 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세계녹내장협회(WGA)와 세계녹내장환자협회(WGPA)가 주관해 매년 3월 둘째 주에 전세계에서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한다. 세계 녹내장 주간을 맞아 녹내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실명 원인 2위인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녹내장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5년 76만7천342명에서 2017년 87만3천977명으로 3년 사이 10만명 가량 증가했다. 연령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60대가 23%로 가장 많았으며, 50대가 21.1%로 뒤를 이었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인 40대부터 큰 폭으로 증가해 40~70대가 전체 진료인원의 78.9%를 차지했다. 녹내장은 눈이나 전신질환과 직접 관련 없이 발생하는 원발 녹내장, 눈이나 전신질환과 직접 관계돼 발생하는 이차 녹내장, 전방각의 발달 이상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발육이상 녹내장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녹내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원발 녹내장은 다시 방수의 배출을 담당하는 전방각이 열려있는 개방각 녹내장과, 전방각이 좁아서 발생하는 폐쇄각 녹내장으로 나눠진다. 녹내장성 손상이 발견되면, 약물 치료, 레이저 치료 및 수술의 3가지 방법을 이용해 안압을 낮게, 그리고 안정되게 유지해야 한다. 개방각 녹내장의 경우 대부분 초기 치료는 약물로 시작한다. 그러나 약물 치료 후에도 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손상이 계속되는 경우 대개 수술을 다음 치료로 선택한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안압 하강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안압이 재상승하기도 한다. 폐쇄각 녹내장에서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응급 치료가 필요하다. 레이저 홍채 절개술, 백내장 수술을 이용하여 좁은 전방각을 넓히는 치료를 시행하며,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방법이 이용된다. 녹내장은 질환이 깊어지기까지 증상이 없으므로, 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해 안압 및 시신경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40세 이하에서는 5~10년마다, 40세 이상에서는 2~4년마다, 65세 이상에서는 1~2년마다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근시(특히 고도 근시), 당뇨, 녹내장의 가족력, 저혈압, 거짓비늘 증후군 등 녹내장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정상의 경우보다 검진 주기가 짧아, 40세 이하에서는 2~4년마다, 40세 이상에서는 1~3년마다, 65세 이상에서는 6개월~1년마다 검진 받아야 한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과 최진아 교수는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은 아직 의학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안압이 높거나 녹내장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근시와 원시 외에도 당뇨망막병증 등의 안과 질환이 있을 때에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15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본관 2층 루이제홀에서 녹내장 바로 알기 건강강좌가 열린다. 최진아 교수와 이지영 교수가 가 녹내장 질환과 치료법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며, 강의 후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녹내장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참가비는 무료다. 송시연기자 도움말=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과 최진아 교수

한국병원홍보협회, 오는 3월15일 분당서울대병원서 '2019년도 제1차 세미나' 개최

한국병원홍보협회 2019년도 제1차 세미나가 오는 15일 분당서울대병원 대강당에서 열린다. 병원홍보, 트렌드와 변화에 반응하라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는 국내 병원홍보 및 마케팅 업무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병원홍보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다각적인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특히 홍보 및 마케팅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스킬을 향상하고, 병원 현장에서의 감각과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의학적법률적 지식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총 3개의 강의로 구성된 이번 세미나는 ▲트렌드 코리아 2019, 대한민국 소비트렌드의 흐름과 시사점(성신여자대학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이향은 교수) ▲홍보담당자가 알아야 할 언론 관계 법령 개관(법무법인 공도 신헌준 의료전문 변호사) ▲2019년 개정 노동법제도와 병원의 대응전략(노무법인 한수 박진호 공인노무사) 등 전문 강사진의 차별화된 강연을 펼친다. 이제혁 한국병원홍보협회 회장은 2019년도의 첫 세미나인 만큼 병원홍보와 관련된 업무는 물론 병원의 행정 직무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다방면의 전문 교육과정을 준비했다며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홍보 채널을 기획하고 각자가 가진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교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성남=문민석정민훈기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척추 수술로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13살 소녀 나린드라에게 새 삶 선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13살 소녀 나린드라(Razafinarindra)에게 새 삶을 선물했다. 나린드라는 결핵성 척추염으로 척추가 114도 휜 소녀다. 6살 때부터 척추가 휘기 시작했으나,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 현지 병원을 찾았지만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고, 더 좋은 병원을 알아볼 경제적 형편도 안 됐다. 등이 심하게 굽은 모습으로 평생을 살아야 한다는 좌절도 컸지만 육체ㆍ정신적 고통도 이어졌다. 조금만 오래 걸어도 통증이 찾아왔고 누워있는 것조차 힘들었다. 우물에서 물을 길러올 때면 극심한 통증이 찾아왔고, 할머니 같다고 놀리는 친구들의 말도 마음의 상처가 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11월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소속으로 해외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경외과 최일 교수와 뉴욕프레스비테리언병원 정형외과 김용정 교수에게 나린드라를 수술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두 교수는 수술을 선뜻 수락했고, 약 2주의 준비과정을 거쳐 지난 1월23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척추수술인 기형교정술 및 고정술에 성공했다. 수술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결핵균에 의해 녹아내린 척추뼈 5개를 제거한 뒤 척추를 바르게 펴고,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특수 장비를 이용해 제거된 척추뼈 자리를 채웠야 했다. 또 고름주머니 피부가 연결된 길은 물론 피부부터 추뼈 직전까지 있던 작은 구멍인 피부누공을 누공절제수술로 제거했다. 일부 부족한 피부를 메우기 위해 주변 피부를 당겨와 봉합하는 부분피판수술도 시행했다. 한 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7시간의 대수술이 끝났고, 나린드라는 정상적인 모양의 신체를 갖게 됐다. 수술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이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병원은 나린드라의 치료비 중 6천만원을 지원했고, 사회복지법인 기아대책에서도 200만원의 치료비를 보탰다. 힘든 수술을 이겨낸 나린드라는 평생 등이 굽은 채로 살아가야 할 줄 알았는데 이렇게 치료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린다며 몸이 완전히 회복되면 자전거를 타고 싶다고 기쁨을 전했다. 최 교수는 뼈가 완전히 붙고 근육과 신경들이 제자리를 찾아가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현재 걷기 훈련을 잘 받고 있으며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것으로 확인돼 빠른 회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