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차량정체' 용인 국도 45호선에 공사 한창…주민들 분통

상습적인 차량정체 현상을 빚어왔던 이동읍 천리 국도 45호선 양옆으로 공사가 진행되면서 운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면 공사 진출입로에 들어서는 화물차와 일부 차들이 한 데 뒤엉키며 교통지옥을 방불케 하고 있다. 25일 본보 취재 결과 처인구 이동읍 천리 874-1번지 일원 도로 양옆으로 주유소와 공장이 각각 2021년, 2013년에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지난 2019년에는 진출입로 개설을 위한 도로점용 공사가 완료된 상태다. 이런 가운데 공사가 본격화되자 밤낮 가릴 것 없는 차량 정체로 주민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일전부터 해당 도로는 국도 45호선과 국도 42호선에서 진입하는 차들이 맞물리는 곳으로, 평소 수㎞ 거리에 이르는 정체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던 곳이다. 상황이 이렇자 주민들은 도로를 확장시키기는 커녕 오히려 건축허가를 내줘 지난해부터 정체현상이 더욱 극심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해당 도로를 사이에 두고 원천교부터 대촌교차로까지 출퇴근 시간이면 약 1㎞ 거리를 지나는데 20여분의 시간이 소요됐다. 더구나 공사기간, 건축 목적 및 규모 등의 내용을 담은 공사현황판이 없어 운전자들은 차량 정체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주민 A씨는 도로가 꽉 막히면 확장할 생각을 해야지 오히려 건축허가를 내줘 병목현상이 가중되고 있다며 아무리 법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주민들의 입장을 한번이라도 고려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용인시도 이 같은 점을 우려해 지난해 건축허가 주체인 수원국토관리사무소에 교통환경영향평가를 제안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수원국토관리사무소 관계자는 구체적인 공사규모나 기간 등은 개인정보라 밝히기 어렵다며 다만 여러 요건을 따져 건축 허가를 내준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경찰, 용인 처인구청 등 압수수색…공무원 투기 수사

용인동부경찰서는 23일 공무원들의 땅 투기 혐의 관련 수사 진행을 위해 용인시 처인구청과 원삼면사무소 등 6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번 압수수색은 용인시 소속 공무원 3명이 반도체클러스터 일대 토지를 내부정보를 이용해 매입한 정황을 확인한 용인시가 지난달 18일 수사 의뢰한 데 따른 것이다. 경찰은 이들 공무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하고 있으며, 최근 이들의 자택과 사무실에서 관련 자료를 확보해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공무원들과 연관된 다른 인물들이 추가로 드러났으며, 이들은 공무원이 아닌 일반인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압수수색은 수사관 13명이 동원돼 처인구청, 원삼면사무소와 이들 일반인의 자택, 사무실에서 이뤄지고 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용인 처인구 원삼면 독성고당죽능리 일원 416만㎡에 차세대 메모리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SK하이닉스는 이곳에 약 122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생산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경찰은 반도체클러스터 예정지 안팎의 땅을 내부정보를 이용, 가족 회사 명의 등으로 매입해 투기한 혐의로 경기도청 전 간부 공무원을 구속한 바 있다. 용인=김현수기자

용인 폭우로 무너진 옹벽 방치 8개월째…복구 하세월

영동고속도로 용인 신갈분기점과 맞닿은 물류창고의 옹벽이 붕괴된지 8개월이 지나도록 복구가 이뤄지지 않아 장마철 추가붕괴가 우려된다. 추가 붕괴될 경우 신갈분기점 고속도로까지 돌과 흙이 내려갈 가능성이 커 고속도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우려된다. 20일 한국도로공사(도공)에 따르면 지난해 8월 2일 당시 강우량 119㎜에 이르는 폭우가 내리면서 영동고속도로 신갈분기점 연결로 인근 A물류 물류창고 옹벽 연장 45m, 높이 10m가 무너졌다. 옹벽과 고속도로 사이는 불과 20여m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고속도로가 일시 통제됐고, 도공의 긴급조치로 토사유출 방지시설인 암파쇄 방호시설을 설치했다. 해당 옹벽은 지난 2017년 7월에도 폭우로 붕괴됐던 곳이다. 도공 측은 A물류가 수해 당시 도공이 설치한 천막 등 임시가설물에 대해서만 지급했을 뿐, 추가 붕괴를 우려해 설치한 1억2천만원 상당의 암파쇄 방호시설에 대해선 보상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공은 고속도로 이용객 안전을 위해 붕괴된 옹벽 복구와 보상비 지급을 A물류에 9차례 요청했으나 8개월이 넘도록 방치되고 있다. 용인시도 경찰에 고발하고 행정대집행을 요구한 상태다. 지자체 행정대집행 요청 없이 도공이 직접 복구할 경우 형사처벌이 수반되며 비용회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당 토지가 용인 플랫폼시티에 편입된 녹지지대로, A물류가 복구가 아닌 추후 토지 매각을 염두에 두고 있어 원상복구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도공 관계자는 곧 다가올 장마에 추가 붕괴로 인한 인명사고가 우려된다며 차선책으로 복구를 진행하고 추후 공사비를 사업주로부터 받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는 중재자 역할로 실질적으로 개입할 권한이 없다. 다만 사업주에게 원상복구를 재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A물류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플랫폼시티에 포함돼 12월부터 보상이 진행된다. 이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옹벽복구작업은 다소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방수포로 덮어 놓았고, 복구작업을 진행하다 비라도 내리면 추가 유실 위험마저 따른다고 말했다. 이어 도로공사가 요청한 보상비는 전부 지불했다. 도공 측에 오류가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용인=김현수기자

전자영 시의원 "기흥 수상골프연습장 계약연장 압박설 밝혀라"

기흥호수공원 수상골프연습장 계약 연장을 둘러싼 정치권의 압박 논란에 대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자영 용인시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20일 제254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기흥호수공원은 도비와 시비 56억원을 들여 공원화를 추진 중이지만 수상골프연습장 건물로 인해 둘레길이 단절되고 말았다며 2000년 5월부터 시작된 수상골프연습장의 수상한 영업 과정은 언론을 통해 수차례 보도됐으나 한국농어촌공사 평택지사는 임대차 계약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20여 년 넘게 영업을 보장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시가 2009년 건축법 위반으로 사업자에게 원상복구 명령을 내렸고, 이후 불법건축물이 추가로 적발돼 이행강제금 부과를 예고했으나 방화 가능성이 있는 화재가 두 차례나 발생했다며 지금까지 대표자만 몇 차례 바뀌었을 뿐 골프연습장 운영은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고 했다. 전 의원은 기흥호수 수상골프장은 오는 7월 31일 임대차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계약갱신을 요구하는 정치권의 압박이 있다는 얘기가 은연중에 퍼지고 있다며 용인시장에게 사익을 대변하는 정치권이 어디인지, 누구인지 파악해 빈틈없이 대처해달라고 요청해야 한다. 또 한국농어촌공사가 농업용 목적 외 사업이라는 조항을 들어 관행적으로 수익만 챙기는 시대착오적 발상을 막을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용인=김현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