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인천도개公, 검단産團 조성 ‘가시밭길’

인천시가 검단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높은 분양가 등 사업성 악화로 LH와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 등이 사업 참여에 난색을 표명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2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총 사업비 3조6천43억원으로 서구 오류동 일대 5.94㎢에 공장 2천560곳(추정)이 입주할 검단 산업단지 123단계 조성사업을 오는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그러나 검단 산업단지 2단계 조성사업의 경우 개발시 분양가가 3.3㎡ 당 550만원에 육박하는데다, 도로(10㎞)와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비도 900억원에 달해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어 사실상 산업단지로 개발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시행자조차 정해지지 않았다.검단 산업단지 2단계 조성사업 예정 부지에는 이미 공장 361곳이 64만1천㎡를 차지하고 있어, 사업비 가운데 보상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 다른 산업단지들보다 고가의 분양가가 불가피하다.검단 산업단지 3단계 조성사업도 검단신도시 등 주변 개발에 따른 이전 대상 공장 수용을 위해 1단계와 연계 개발이 필요하지만 LH나 도개공 등이 초기 사업비에 비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서로 참여를 미루고 있다.특히 지난해부터 분양에 들어간 검단 산업단지 조성사업 1단계는 미분양에 허덕이다 당초 3.3㎡ 당 304만원이던 분양가를 2차례 내려 3.3㎡ 당 236만원까지 낮췄지만, 전체 물량 가운데 64%만 분양됐을 뿐 여전히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들 검단 산업단지 23단계 조성사업은 모두 시가 지난 2009년 2월 국토해양부토부터 올해까지 확보한 공급 물량이어서, 올해까지 추진되지 않으면 국토해양부로부터 앞으로 산업단지 물량 배정시 불이익을 받게 돼 앞으로 지역 내 추가 산업단지 조성에 차질도 우려되고 있다.시 관계자는 검단 산업단지 2단계 조성사업은 기반시설비가 1천억원에 육박, 당장 지원이 어려운 만큼, 민간이 부분적으로 개발을 요구하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며 검단 산업단지 3단계 조성사업은 LH가 참여하지 않더라도 도개공을 통해 꼭 추진해야 하는 만큼, 연내 산업단지 조성계획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인천지역 인문계高 73% ‘학교생활기록부 고쳤다’

시교육청, 85곳 관리실태 점검 11곳 자체특감 실시 입학사정관제 확대 영향 학생들에 유리하게 정정인천지역 인문계고교 73%가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정한 것으로 밝혀졌다.인천시교육청은 지난 34월 3차례에 걸쳐 일반계 고교와 특목고 85곳을 대상으로 최근 3년 동안의 생활기록부 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이 가운데 73%인 62곳이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정했다고 2일 밝혔다.시 교육청은 이 가운데 51곳은 정정 내용이 다소 경미했지만, 나머지 11곳은 고친 정도나 횟수 등이 많아 자체 특별 감사를 통해 위법부당 사항이 발견될 경우 사법기관에 고발하고 해당 학교와 교사 등을 엄중 처리할 방침이다.대표적으로 학교생활기록부 진로지도란에 장래 직업을 축산업에서 사회복지로 바꾸고 독서활동란은 원래 빈 칸이었는데 위인전을 감명 깊게 읽었다는 내용을 새로 추가한 사례가 수차례 적발됐다.행동특성종합의견란은 노력하고 꿈을 이루려는 의지가 강하다는 등 학생의 학업 의지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대부분 고쳐졌다.시교육청은 이같은 정정 사례를 막기 위해 매년 4월 모든 학교 생활기록부를 조사하고 해당 학년도 이전 정정은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정정이 불가피할 경우 학업성적관리위원회 심의를 받도록 하는 등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시 교육청 관계자는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에 따라 학교생활기록부를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고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주거환경사업 수년째 멈췄지만… LH에 기반시설비 매년 지급

인천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수년째 중단된 가운데, 각 구가 매년 기반시설 조성비 수백억원을 LH에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2일 LH와 각 구 등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이후 중단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가운데 남구 용마루지구와 부평구 십정2지구 등 2곳이 시행인가까지 마쳐 연차별 투자계획에 의해 기반시설비를 LH에 지급하고 있다.기반시설조성비는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공원이나 도로 등 공공시설 조성비를 구가 부담하는 비용으로 이들 구는 모두 국비 50%, 시비 25%, 구비 25% 등으로 581억원(용마루지구 301억원, 십정2지구 280억원)을 LH에 지급했다.남구는 올해도 58억원(국시비 포함)을 LH에 추가 지급할 계획이며, 부평구도 100억원을 추가로 지급할 계획이다.하지만 협약 당시와 달리 사업이 수년째 지연돼 재개시기마저 불확실한 상황에서 신규 사업을 엄두도 못낼 정도로 재정난이 심각한 두 지자체가 매년 수십억원을 LH에 지급하는 것은 불필요한 재정난만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이와 관련, LH 관계자는 기반시설조성비는 나중에 주민들을 위해 사용될 돈이라며 현재 LH가 보관해 이자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자까지 주민들을 위해 사용하겠다고 말했다.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중구자원봉사센터 박람회 “생활 속 녹색실천, 함께해요”

인천 중구자원봉사센터(센터)가 올해 처음으로 자원봉사박람회를 열고 환경을 살릴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소개했다. 센터는 최근 자유공원 광장에서 함께해요! 녹색물결을 슬로건으로 제1회 인천중구자원봉사박람회를 열었다.센터는 주민들이 손쉽게 환경보호운동에 동참하고 자원봉사활동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박람회를 마련했다.박람회는 그동안 센터와 센터 소속 자원봉사단체들이 추진해 왔던 환경 관련 자원봉사 프로그램들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주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누구라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특히 주부들도 집에서 동참할 수 있도록 쌀뜨물을 이용, 천연세제를 만드는 방법과 폐식용유를 활용, EM(미생물) 비누를 만드는 방법 등을 자세하게 소개했다.폐현수막을 리폼해 만든 시장바구니를 나눠 줬으며 참가자들이 직접 손수건에 천연염색을 해볼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채로운 친환경 자원봉사활동을 알리고 체험기회를 만들어 자원봉사활동을 장려했다.깨끗한 하천을 만들 수 있는 미생물 흙공 만들기, 발마사지 봉사, 장애인 체험, 수지침 봉사 등도 소개됐다.식전행사로는 고전무용과 밸리댄스, 하모니카, 섹소폰 연주, 난타, 현대무용 등 다양한 문화공연들을 선보였다.센터 관계자는 주민들이 환경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면서 우리 지역 환경문제는 우리 손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며 주민들 누구나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