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바이어가 3일이내에 대답이 없으면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해 거래처로 상대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지방자치단체의 해외 교류 사업이 활발한 요즘, 한 공무원이 국제업무를 담당하며 몸으로 체험한 사항들을 모아 책으로 발간해 화제가 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오영학 경제투자전문위원(53).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 6년, 경기도 국제업무 실무 책임 7년 등 13년간 국제업무만을 담당해온 그가 펴낸 책은 다름아닌 ‘세계화시대의 생활상식’. 이 책은 외자 유치, 해외 수출망 개척 등으로 외국 나들이가 잦은 공무원 및 기업체 직원은 물론 일반인들 역시 읽어두면 득이 되는 필독서로 평가되고 있다. 113쪽 분량의 이 책에는 ▲국제지역간 자매결연과 교류협력 ▲교류사업 추진전략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자매결연지역 대표단 방문 의전 ▲국가간 외교 공식 문서 등 교류 협력에 관한 내용들이 총 망라돼 있다. 특히 사람을 소개하는 법부터 숙녀에 대한 에티켓 등 국제 생활 예절을 비롯해 출국전 사전 준비, 공항에서 주의할 점, 비행기내 에티켓, 쇼핑 요령 등 해외여행에 대한 각종 상식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 해외 여행시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사례,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과 상거래시 유의 및 참고할 사항도 소개하고 있다. 오 위원은 “세계화시대에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가 다양하고 역동적인 물결을 이루어 나가고 있다”며 “어찌보면 모두가 아는 극히 평범한 사항일 수도 있지만 해외 여행시 조금이나마 보탬이 됐으면 하는 생각에 이 책을 펴게 됐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화성군청 공무원들이 환경미화원으로 근무하던중 최근 지병으로 숨진 동료직원의 자녀들을 위해 성금을 모아 전달, 세밑을 훈훈하게 해주고 있다. 우호태 화성군수는 지난 15일 봉담읍사무소에서 고 김병관씨의 아들 별균군(삼일공업고등학교 1년)에게 군청직원들이 모금한 성금 361만원을 전달하고 꿋꿋이 살아가 달라고 당부했다. 또 엄익성 봉답읍장도 읍직원들이 모은 성금 225만원을 전달하고 고군을 위로했다. 지난 98년 어머니가 지병으로 숨진후 어렵게 살아오던 김군은 최근 아버지마저 숨지자 동생 성희·초롱양과 함께 300만원짜리 셋방에서 근근히 연명해 나가고 있어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고군은 “군수님을 비롯한 여러분들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두 동생들과 열심히 살아가겠습니다”라고 말했다. 도움을 주고자하는 분은 농협계좌(207170-56-049071 김별균)로 보내주면 된다. /화성=강인묵기자 imkang@.kgib.co.kr
한국에서 활동중인 아메리칸 우먼스클럽 한국지사 회원들이 보육원을 방문, 원생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눠줘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대사관 부인을 비롯, 경영자 및 학자 부인 등 250명으로 구성된 이들 회원들은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2천만여원을 모은뒤 이중 850만여원의 성금과 함께 잠바, 운동화, 인형 등을 구입해 지난 16일 파주시 소재 파주보육원 (원장 김정현)을 방문, 원생들에게 전해주었다. 특히 부인회 회장 린 콕존씨를 비롯한 ASE코리아 짐스틸슨 사장과 캐씨 스틸슨부인 등 6명의 임원은 몇일전 파주보육원을 미리 찾아 원생들이 무엇을 갖고 싶어 하는지 사전에 파악한 뒤 크리스마스 카드까지 만들어 오는 세심함을 보여주었다. 자주색코트를 선물로 받은 김정아양(16)은 “평소 선물을 받아보지 못해 아쉬움이 많았는데 이렇게 갖고 싶었던 선물을 받으니 너무나 좋아요”라며 “미국부인회 린 콕존회장을 비롯한 회원들에게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기계직=禹同紀 姜東求 韓德圓 鄭相溶 李敬守 趙奭勳 ▲전기직=朴根吾 愼鏞敏 崔乘萬 朴載正 李康河 ▲화공직=李東原 元庸準 辛建一 ▲농업직=李廷三 金俊京 尹曠壹 崔晶록 ▲임업직=朴恩植 李相益 鄭基泫 ▲수산직=金南雄 梁榮珍 朴承駿 ▲환경직=金永珉 金政煥 金高應 李京烈 ▲토목직=方炫夏 張主欽 吳元晩 ▲건축직=李知姸 李準培 李源宰 ▲전산직=愼智賢 金知郁 申成吉 李 鎭 홍성대 金正基 金京旴 辛承仁 ▲통신기술직=李昇哲 丘榮燮 南基永 全龍海 韓忠熙 ◇제6회 지방고등고시(기술직) 합격자 ▲기술직=朴廷勳(전북), 朴鐘一(경기)
경기·인천·서울·강원 지역 11개 교도소와 구치소 수용자 40여명이 수용생활 중 틈틈이 완성한 미술·서예작품을 일반인들에게 전시해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판매된 작품의 수익금을 불우한 동료 수용자들을 돕는데 사용할 계획이어서 세밑을 훈훈하게 해주고 있다. 인천구치소는 지난 13일부터 1개월동안 구치소 민원실 50여평의 가설전시장에 수도권과 강원지역 교도소 수용자 40명과 교도직원들의 유화·수채화·서예작품 70점을 전시하고 있다. 구치소측은 또 초청 작품으로 창제 노병렬 화백과 불교미술가 정태상 화백 등 유명화가의 수준 높은 작품들도 함께 전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교정기관들이 수용자 교화활동의 일환으로 운영해 온 서예반·미술반 등이 작은 결실을 맺은 것. ‘효경(孝經)’중 일부 덕목을 인용해 서예작품을 낸 인천구치소 김모씨(49)는 “수용생활 중 서예활동을 통해 내 자신을 되돌아 보면서 새삼 효의 중요성을 깨닫아 이 작품을 만들었다”며 “기성작가의 작품에는 크게 못미치지만 판매가 된다면 흔쾌히 불우한 동료 수용자를 돕는데 쓰겠다”고 말했다. 김명환 서울지방교정청장은 “정기적인 음악공연 등에 이어 미술활동은 수용자 정서함양에 큰 도움이 돼 앞으로도 이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시민들이 안전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소방안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태곤 수원중부소방서장(52)의 취임소감. 지난 76년 소방사로 첫발을 내디딘 후 부천·광명소방서 등을 거쳐 지난해 포천소방서장을 역임하는등 주로 도내에서 근무해 온 소방 베테랑. 외모에서 풍기듯 호방하며 강직하고 온건한 성격에 기획과 현장실무를 겸비한 실력파로 정평이 나있다. 부인 설분선씨(52)와 1남1녀. 취미는 등산/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
백발이 성성한 할머니들이 재활용품을 정성껏 모아 어려운 이웃들을 돕고 있어 세밑을 훈훈하게 해주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동두천시 보산동 할머니노인정(회장 현순섭·74) 회원 40여명. 할머니 회원들은 매주 화요일 모임을 갖고 자신들의 아픈 허리도 아랑곳 하지않고 마을에서 발생한 재활용품들을 수집하여 지난 한햇동안 모은 50여만원으로 지난 13일 보산동 관내 소년소녀 가장과 불우한 이웃 10가구에 백미1포대씩을 나눠 주었다. 또 할머니 회원들은 새벽이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집앞 골목길과 마을 거리 곳곳을 청소하고 있어 지역의 어른으로서 마을에 귀감이 되는 한편으로 노인들에 노익장을 유감없이과시하고 있어 인근 주민들로부터 맹렬 할머니들이라는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동두천=정선준기자 sjjung@kgib.co.kr
“역사속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인 극단에 다시 불씨를 지펴주신 시민들에게 감사할 따름입니다. 경기북부 연극부흥을 위해 이 한몸 바칠겁니다” 소극장 폐쇄 등의 경제난을 이겨내고 다시 극단을 일으킨 극단 ‘허리’대표 유준식씨(39). 지난 10년간 경기북부의 연극문화를 주도해 온 허리소극장이 재정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쇄된 것은 지난 9월. 그러나 연극에 대한 열정만으로 삶을 지탱해 오던 유씨와 단원들은 이대로 주저앉을 수 없었다. 월급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에까지 이르자 유대표는 한때 단원들에게 각자의 길을 가라고 말했으나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단원들은 유씨와 한배를 탔다. 유씨를 비롯한 단원들은 지난 8월 폐교된 동두천시 걸산분교를 임대해 공연예술수련장으로 개조, 연습에 몰두하며 재기를 꿈꿔 왔으며 지난 10월 말 드디어 의정부2동에 소극장을 열게됐다. 특히 지역예술문화를 이끈 극단 허리가 살아나야 한다는 지역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1천300여만원의 시민후원금이 접수되기도 했다. 이같은 주민들의 후원에 따라 극단 허리는 지난 8일 개관식을 갖고 오는 20일부터 개관 기념공연인 ‘밀레니엄 품바’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연극인생을 이어갈 예정이다. /의정부=조한민기자 hmcho@kgib.co.kr
인천 부평전화국은 12월중 우수사원으로 김정란씨 등 4명을 선정했다. ▲고객친철부문=김정란씨(37·고객서비스과):언제나 맑고 밝은 얼굴로 전화국을 찾는 내방고객에게 전화신청에서 요금납부 민원에 이르기까지 알기 쉽고 빠르게 처리, 친절한 전화국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통신시설 유지보수부문=이광수씨(32·품질관리과):초고속 인터넷의 고장 신고시 철저하고 신속한 시험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부서의 힘든일을 솔선수범하는등 동료들의 모범이 돼왔다. ▲전화고장 수리부문=이상민씨(39·고객시설과):전화고장으로 인한 민원 접수시 고장원인 및 대처방안을 고객에게 친절히 설명, 친절 전화국의 이미지 제고에 노력해 왔다. ▲데이타 시설부문=윤재상씨(34·교환전송과):계양구청의 초고속 국가망의 시범운영을 효과적으로 이뤄냄은 물론, 인터넷·PC방 등의 야간 고장접수 민원에도 전담 수리를 자처하는 등 활기찬 직장 분위기 조성에 노력한 점을 인정받았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내가 되고 싶었던 경찰관 아저씨들도 만나고 꽹과리공연도 보니 너무 신납니다” 정신·지체장애자 보호시설인 ‘소망의 집’(인천시 남동구 고잔동 311의4)에서 생활하고 있는 전만석군(20)에게 15일, 하루는 그 어느 날 보다 특별한 하루였다. 어릴적 꿈이었던 경찰아저씨도 만나고 아저씨들이 펼치는 사물놀이공연 구경까지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박종국 서장을 비롯한 인천 남부경찰서 직원 20여명은 연말을 맞아 정신·지체장애자와 노인성치매환자 100여명이 모여사는 ‘소망의 집’을 찾아 환자들과 어울리며 뜻 있는 하루를 보냈다. 남부서 소속 의무경찰들로 구성된 사물놀이패의 공연이 시작되자 표정관리와 신체거동이 불편한 정신·지체장애 환자들도 손뼉과 어깨춤 짓을 어렵게 추어대며 공연단에 화답을 보냈다. 7년째 ‘소망의 집’을 운영하고 있는 김기성목사(49)는 “감정전달이 불가능할 것 같은 치매환자들도 음악공연을 듣고 나면 혈압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등 음악공연이 환자들의 정신건강치료에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물놀이 공연에 이어 가진 거동불편 중환자들 목욕시간에는 경찰과 환자가 농담까지 주고받으며 어느 덧 한 식구가 되어 있었다. 수경 이근형군(21)은 “아프다고 엄살을 떠는 초로의 환자를 대하니 마치 집에 계신 아버지 같은 친근감이 느껴졌다”며 “기회가 되면 꼭 다시한번 오고싶다”고 말했다. 한편 남부경찰서 청소년자문원회는 이날 쌀과 라면 등 200만원 상당의 생필품을 ‘소망의 집’에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