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의 꿈터·시민들의 사랑터… 도서관으로 오세요”

시민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놀이공간이 부족한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놀이터가 되는 곳, 부부싸움에 신경줄 곤두섰을 때 화해의 노하우도 가르쳐 주는 곳, 여름엔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엔 따뜻한 온기를 느낄 수 있는 곳. 어디일까? 바로 우리 주변에서 존재하며 지식과 꿈, 희망과 용기를 선물하는 도서관이 정답. 이 중 지난 1996년부터 18여 년간 하남지역 공공도서관 직원으로 시민들에게 꿈터, 쉼터, 사랑터를 제공코자 노력하고 있는 차미화 하남시립도서관 나룰도서관 팀장(52여)은 도서관 지기로 일일 평균 2천여 명의 시민과 만나고 있다. 차 팀장은 현재 하남시립도서관 산하 신장나룰도서관을 동시에 맡아 관리감독하고 있다. 몸이 열 개라도 모자를 형편. 차 팀장은 MS사의 초대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오늘날 나를 있게 한 것은 어린 시절 우리 마을 도서관이었다며 지역 도서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지요. 저 또한 시민들이 힘들고 지칠 때 도서관에서 마음의 여유와 힐링을 찾고 새 삶의 희망을 안고 갈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차 팀장은 전국단위 사업인 북스타트(Book start) 사업을 지역실정에 맞춘 특성화 사업으로 활성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생애주기에 맞춘 인문학 ▲찾아가는 인문학 도서관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등 테마도서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꾀하는 것. 이밖에 신장도서관과 협력해 운영한 각종 토론회, 독서회 운영, 독서 인프라를 위한 작은 도서관 지원강화 사업 시행, 공공도서관 통합대출반납서비스 등 이용자 성향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등 책과 함께하는 삶을 나누고자 여러모로 활동을 멈추지 않고 있다. 이런 공로 등을 인정받아 그는 지난 2009년 12월 하남시장 표창 등을 수상했다. 차 팀장은 신장과 나룰, 두 곳의 시립도서관이 시민들의 쉼터로 거듭나고자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며 꿈을 꾸는 아이들이 놀러 오는 곳, 쉼을 얻고 소통하는 공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황산~서울 상일 교차로 지하차도 설치 ‘LH案 확정’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광역교통 개선 대책으로 추진 중인 황산~서울 상일 교차로 간 지하차도의 설치 구간(안)사업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계획(안)대로 최종 확정됐다. 이에 따라 이 구간 광역교통 개선 대책을 둘러싸고 경기도하남시~서울시강동구, LH 등 해당 기관들 사이에 이견과 반목이 일단락됐다. 23일 LH 하남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국토부 공공주택통합심의위원회는 지난 20일 LH의 변경(안)을 원안대로 수용, 황산~상일교차로 평면 확장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이날 확정된 광역교통 개선 대책(안)은 하남시 덕풍동 공영사 입구황산시계 0.81㎞는 지하차도를 개설하고 이후 구간부터 서울 강동구 생태공원 입구까지 3.74㎞는 10차로에서 12차로로 평면차도를 확장하는 것으로 최종 확정됐다. LH 하남사업본부의 최종 변경(안)이 그대로 인용돼 수용된 것이다. 광역교통계획 확정에 따라 LH는 오는 12월까지 공영사 입구황산시계간 0.81㎞ 구간에 대한 설계를 완료환 뒤, 내년 하반기까지 지하차도 건설을 완료할 예정이다. 또, 하남시 황산서울 상일동 생태공원(교차로) 간 3.74㎞의 평면차도 확장은 토지보상 등 물리적 시간이 필요한 만큼, 오는 2016년 말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이와는 별도로 공공주택통합심의위원회는 당초 서우 강동역하남 미사역까지만 사업 구간을 정했던 미사강변도시 철도계획을 강동역미사강변도시 경계까지 연장하는 것을 승인, 의결했다. 통합심의위 의결에 따라 철도계획은 내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하게 된다. 한편, 황산~서울 상일 교차로 간 지하차도의 설치 구간을 놓고 그동안 경기도하남시, 사업시행사인 LH가 현격한 입장차이를 보이며 장외 신경전을 펼쳐 왔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 “우회도 절실” LH “수용불가”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광역교통 개선 대책으로 추진 중인 황산~서울 상일 교차로 간 지하차도의 설치 구간에 따른 통합심의위원회를 앞두고 해당 지자체와 사업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팽팽한 장외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17일 하남시, LH 하남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하남시 황산~서울 상일 구간 광역도로와 관련, 2년여의 공방끝에 경기도하남시~서울시강동구 중재안이 국토부에 제출돼 오는 20일 공공주택특별법에 따른 통합심의위원회가 국토부에서 열릴 예정이다. 당초 황산교차로(1.5㎞)를 입체화 하고 미사강변도시지구에서 서울 천호동 생태통로 4거리 전까지 우회도로 4차로를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됐으나 감사원 등 관계기관 재협의 결과, 하남 황산에서 상일IC 전방까지 입체화(2.57㎞)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통합심의 결과후 LH는 지하4차로 건설을 지상 4차로 확포장으로 변경해 황산교차로와 상일IC(나들목) 구간의 입체화 공사를 내년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그러나 양 시도 간에 걸치게 되는 지하차도의 유지관리 및 유지비용 부담 등으로 두 기관 사이에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이상민 LH하남사업본부 차장은 그동안 서울시 구간까지 지하차도를 고집하던 경기도와 하남시가 미사지구 입주예정자들과 서울시의 반대로 지하4차로가 지상4차로로 변경되자 기존 계획을 철회하고 황산에서 9호선 연장역인 보훈병원까지 우회도로 설치를 주장하고 있다면서 이는 광역교통 개선 비용을 부담하는 미사 입주예정자의 교통대책이 아니고 기존 하남시 일방의 교통대책이어서 수용이 불가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서울시 경계부의 교통혼잡을 이유로 지하차도 건설을 반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서울로 출퇴근하는 미사지구 입주예정 주민의 교통혼잡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