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산업 ‘전자카드 도입’ 반발 확산

경륜과 경정, 경마 등 사행산업의 경주권 구입을 제한키 위해 도입 예정인 전자카드 도입을 앞두고 해당 종사자들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17일 공공레저산업노동조합연대 등에 따르면 노동조합연대 종사자들은 최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의 사행산업 건전발전 종합계획 관련 공청회장에서 전자카드 전면 도입 정책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는 사감위가 오는 2018년까지 모든 사행산업에 전자카드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에 대한 반대투쟁이다. 노동조합연대 측은 전자카드 발급을 위한 본인 인증이 건전 팬까지도 떠나게 하는 결과를 낳아 종국에는 종사자들의 생존권은 물론 기금 마련에도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다 전국 6천500개에 이르는 스포츠토토 판매 점주들의 반발도 심상치 않다. 이들 판매 점주들은 로또는 본인 인증없이 판매하면서 토토는 왜 본인 인증을 받아야 하냐며 이같은 사감위의 행위는 생존권에 직격탄을 날리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노동조합연대 측은 개인정보 인증 등에 부담을 느끼는 건전 레저팬들이 불법도박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정보유출 사태에서 보듯이 6천500개에 이르는 스포츠토토 판매점에 대한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사감위는 도박 중독의 폐해를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2018년까지 사행산업의 순매출 규모를 GDP 대비 0.58% 수준으로 관리하고 원칙적으로 영업장 수를 2013년 총량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시험 운영 중인 전자카드가 도박중독 완화와 구매상한액 준수에 효과가 있는 만큼 업종별 특성은 고려하겠지만 2018년까지 모든 사행산업으로 확대하겠다고 덧붙혔다. 한편, 전자카드는 경륜과 경정 등 배팅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본인 인증 후 한 장만 발급하는 경주권 구매용 카드로 한 사람이 무더기로 경주권을 구매하는 등의 폐단을 없애 건전한 레저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하는 제도 중의 하나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 2천634가구 아파트 사업 승인 예정

하남시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에 전용면적 89㎡114㎡의 중형 아파트 2천634가구에 대해 잇달아 사업승인이 신청돼 상반기 내에 줄 공급될 예정이다. 2일 하남시 등에 따르면 (주)대우건설은 최근 미사강변도시 A6 블록(대지면적 6만6천654㎡)에 1천66가구의 공동주택을 건설하겠다며 시에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이 시공사는 이 블록에 93㎡형 257가구와 101㎡형 805가구, 114㎡형 4가구(펜트하우스) 등 11개 동에 모두 1천66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며 층수는 지하 2층에 지상 27~29층 규모다. 이에 따라 시는 (주)대우가 제출한 사업계획을 검토한 뒤 이르면 오는 10일 안으로 사업승인을 내 줄 전망이다. 또한, 포스코 건설은 미사강변도시 A10 블록에 89㎡형 377가구와 98㎡형 386가구, 112㎡형 111가구 등 총 8개 동에 874가구에 대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오는 15일 안으로 신청할 계획이다. 이밖에 위례신도시에서는 신안건설이 A3-6B블록에 96㎡형 470가구와 101㎡형 224가구 등 총 694가구 공급을 위해 사업계획 승인 신청 채비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들 블록에 사업승인이 신청되면 관련 부서간 협의를 거쳐 별도의 하자가 없는 한 사업승인을 내 줄 방침이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새해 만복 기원합니다” 전통 지키고 福 전파 ‘외길’

새해에 집안 곳곳에 걸어 만복을 기원하는 복조리를 엮어 전통을 지키고 복을 전해주는 명인(장인)이 있다. 하남공예명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복조리 명인 임건영씨(67하남시 덕풍2동)가 그 주인공. 54년째 대나무로 복을 엮는 임씨의 인생 역시 복조리와 닮은꼴. 임씨는 지난 1960년 대나무가 무성한 충남 당진의 한 조그만 마을에 떠돌이 노인이 찾아들었다. 무명의 이 노인은 10살을 갓 넘긴 어린 임씨에게 복조리 만드는 법을 전수한 후 홀연 세상을 떠났다. 이후 임씨는 복조리 만드는 일을 평생의 업으로 삼고 일평생을 쏟아부었다. 한 편의 영화 같은 인생 시나리오를 마치 어제 일처럼 회상하는 임씨는 복조리 만드는 일이 순탄치만은 않았다고 털어놨다. 임씨는 고향의 대밭에서 햇대를 베어다가 껍질을 벗기고, 마디를 칼로 다듬고, 가르고, 속을 매끈하게 도려내고 말려서 묶어뒀다가 작업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준비된 재료를 사용해 복조리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5분 남짓. 명인의 손끝에서 5분 만에 떡 하니 모양새를 갖추는 복조리를 볼때마다 주위 사람들은 그저 신기할 따름으로 감탄사를 연발한다고. 그는 복조리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태극기와 대한민국 전도, 국화, 지게, 아기 흔들 침대 등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 오고 있다. 앞으로 독도를 작품으로 만들어 세상과 공유할 계획이다. 그가 복조리 명인으로 주목받기가 시작한 것은 5년 남짓. 하루도 거르지 않고 복조리를 만들어 왔지만 혼자 작업하다보니 명인이나 명장이 되는 길도 방법도 알 수 없었다. 우연한 기회에 생활의 달인과 스타킹 등의 TV 프로그램에 나가게 돼 유명세를 탔고, 여러 국전과 대전에 참가하면서 그의 진가가 주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임씨는 지난 2012년 대한민국전통미술대전에 참가해 한국예총회장상을 거머줬는가 하면 2010년과 2012년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도 두 차례 모두 입선했다. 현재 그는 작품 활동 외에도 수강생을 모집해 기술을 전수하고, 하남공예명인협회 구성원으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임씨는 세태와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설 풍속도 크게 달라졌지만, 예나 지금이나 만복을 기원하는 서민들의 심정에 변함이 없다며 요즘들어 새해 첫날에 복조리를 걸어 두는 풍습은 여간해서 찾아보기 힘들어 아쉬움이 앞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 GB 3.339㎢ 해제 시가지로 만든다

하남시가 개발제한구역 3.339㎢를 시가화 예정용지로 확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2020 도시기본계획이 승인돼 향후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도시개발을 점진적으로 펼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특히, 계획인구 33만3천명을 목표로 한 2020 도시기본계획은 개발제한구역 재조정 물량(3.339㎢)을 반영하지 않은 인구계획으로 이 물량을 개발할 경우, 실제 인구는 36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15일 시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달 20일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하남시 2020 도시기본계획 심의 결과를 지난 7일 구 시가지 정비방안 수립 등 조건부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달 안으로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착수와 동시에 기본계획수립 최종 보고서에 대해 공고에 부칠 예정이다. 개발제한구역 3.339㎢에 대한 시가화 예정용지가 확정됨에 따라 시는 천현교산지구와 하산곡지구 개발 물량인 40%를 제외한 60% 가용 물량에 대한 각종 개발계획 수립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한편, 시는 가용물량 60%는 당초 1도심 2부도심(풍산, 감북초이) 1지구(위례지구) 중심에서 1도심 2부도심 2지구(천현춘궁, 위례) 중심으로 변경된 생활권별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