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장애인단체총연합회 수사 착수

하남시장애인단체총연합회가 보조금을 부정수급했는가 하면 기부금을 유용한 사실이 잇달아 드러나 사법당국이 수사에 착수했다. 24일 하남시와 시 장애인단체총연합회 등에 따르면 시는 성인 장애인들의 평생학습 지원 명목으로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한 해 평균 660여만원의 보조금을 이 단체에 지원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 단체 간부 A씨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보조강사와 활동보조원 2~3명을 허위등록한 뒤 과다지급하는 방법 등으로 강사비 170여만원을 부정수급했다. 또 이 간부는 올해 보조금지원을 신청할 때의 보조강사 1명과 활동보조원 2명을 채용하겠다는 계획서와는 달리, 활동보조원 3명만 채용한데다 이들이 초과 근무한 것처럼 계획서와 근무상황부를 꾸며 인건비 명목으로 97만원을 부정수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6월 이 단체에 대해 자체감사를 벌여 간부 A씨를 같은 달 해고한 뒤 지난 20일 경찰에 수사의뢰했다. 이와는 별도로, 이 단체는 지난 2012년부터 최근까지 들어온 기부금(찬조금) 2천여만원을 수익을 올리겠다는 명목으로 개인한테 빌려줘 사채놀이를 했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 총연합회 관계자는 한 간부의 일탈행위로 단체에 대한 이미지가 크게 훼손됐다며 재발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감사가 진행되자 부정수급했던 대부분의 보조금은 현재 총연합회 등에 반납된 상태다며 앞으로 보조금 지급 단체 전반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다. 하남=강영호기자

[기자노트] 연공서열 타파한 ‘혁신인사’ 하남시 변화의 중심에 서다

하남시가 지난 20일 인사위원회를 갖고 직급별 승진 예정자 43명에 대한 명단과 인사일정 등을 사전예고하자 청사 안팎에서는 적잖이 설왕설래다. 공직 일부에서는 언제는 인사기준과 원칙이 있었느냐, 그나물에 그밥이겠지, 외부에서 누가 누구를 민다느니, 특정인ㆍ특정지역에서 누구를 밀고 있다 등의 부적절함과 파벌 등을 조장하는 말들이 공공연하게 쏟아졌다. 물론, 하남시뿐만 아니라 다른 일선 지자체도 인사 불만은 늘 있어 왔다. 공직사회의 인사시스템은 (승진대상자) 4배수에서 1명을 낙점(落點)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나머지 3명은 불만이 있을 수밖에 없다. 또, 당연시 돼 왔다. 그러나 이번 시의 승진예정자의 면면을 보면 종전과는 달리 눈에 띄는 대목이 있다. 공직내부에 만연한 연공서열을 과감히 타파하고 능력위주의 인사를 단행한데다 종전 행정직 위주의 승진인사 관행을 버리고 기술직렬을 크게 배려했다는 점이다. 실제, 시는 5급 승진예정자 9명 중 4명을 시설직(2명)과 사회복지직, 보건직에 안배했다. 또, 6급 승진인사 역시 직렬을 배려했다는 평가가 많다. 일선 지자체의 대부분 공직인사가 연공서열에다 행정직 위주의 승진인사였던 점에 비추어 보면 달라도 많이 다르다. 그래서인지 정작 시가 나팔(?)을 불자 이같은 불만의 목소리는 예전과 달리, 확연히 사그라들었다. 고무적인 일이다. 혁신적인 인사에 갈채를 보낸다. 예부터 사람을 잘 골라 써야 모든 일이 제대로 이뤄진다며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라 했다. 또, 인사를 앞두고는 항상 적재적소(適材適所)의 단어가 단골메뉴처럼 등장했다. 동그라미가 들어갈 자리에 네모꼴을 집어넣으면 그 조직이 제대로 굴러갈 턱이 없다. 모든 집단과 조직은 사람이 움직이게 돼 있다. 잘 움직일 사람을 뽑아야 그 조직이 발전하게 됨은 극히 자명한 일이다. 이참에 인사가 만사니, 적재적소니 하는 용어들이 일회용 면피성이 아닌 단골메뉴로 항상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하남=강영호 기자

녹조비상 팔당호에 ‘조류주의보’ 발령

한강유역환경청은 19일 팔당호의 조류 과다 번식에 따라 조류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류주의보 발령은 지난 2주간 조류 농도 분석결과 북한강 수계 삼봉지점에서 클로로필-a 29.4mg/㎥, 남조류 세포수 4천221cells/㎖으로 측정된 데 따른 것이다. 또 팔당댐 앞에서는 클로로필-a 55.8mg/㎥, 남조류 세포수 2만7천860cells/㎖로 조류주의보 기준을 초과했다. 한강청은 조류발생 원인에 대해 예년에 비해 적은 강우량과 간헐적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질소ㆍ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과다 유입된 것으로 분석했다. 게다가 최근 폭염에 따른 수온상승 등으로 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최적의 환경이 조성돼 조류가 급증한 것도 한 요인으로 꼽고 있다. 양평기상측정소에 따르면 양평군 평균기온(지난달 27일~8월17일 측정)은 27.0℃로 지난해 같은 기간 25.0℃에 비해 2℃ 정도 높았다. 앞서 한강청은 조류 확산과 농도증가에 대비해 지난 21일 경기도와 K-water(팔당권관리단), 한강물환경연구소 등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고 조류 주의보 발령에 따른 후속조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한강청은 팔당호 물을 공급받는 21개 정수장에 대한 수질검사를 강화하고 정수장별로 22일간 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 427t을 사전에 확보, 수질악화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팔당상류 지역 산업폐수와 개인하수, 가축분뇨 등 수질오염원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팔당호의 조류주의보 이상 발령은 지난 2013년을 제외한 네번째다. 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