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그대로… 구산성당, 새 부지 안착

근대 건축물인 하남시 망월동 옛 구산 성당이 원형 그대로 옮겨져 안착됐다.구산 성당은 앞으로 기초보강공사와 원형복원 작업 등을 거쳐 문화재 등록이 추진된다. 구산 성당 원형이동 보존작업을 시공한 티엠새한은 구산 성당 건축물을 원래 위치에서 220m 떨어진 새 성당 부지 안으로 옮기는 작업을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원형 이동작업은 철근 파이프 레일 위에 건축물을 올려 하루 12m가량 옮기는 과정을 거쳤다. 지난해 12월 4일 시작했으나 혹한기 작업 중단 등으로 2개월이 걸렸다. 새 성당 부지 안으로 자리를 옮긴 구산 성당은 앞으로 4∼5개월 동안 기초 보강, 종탑과 내부 복원 등의 후속 공정을 거쳐 근대 건축물 등록으로 이어진다. 한편, 구산 성당은 지난 1986년 공소(公所)로 시작, 지난 1979년 본당으로 승격했다. 종교 박해를 견디며 공소 설립 120년 만인 지난 1956년 교우촌 신자들이 직접 손으로 면적 199㎡의 공소 건물을 세웠다. 지난해 공소 설립 180년, 공소 건축 60년이 됐다. 소박하면서 기품 있는 외관 덕분에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각광받았다.우리나라 최초 서양인 신부인 피에르 모방 신부가 은신하기도 했고, 최초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 성인이 거쳐 가기도 했다. 지난 2009년 미사지구 택지개발지구에 포함돼 철거 위기를 맞았지만, 지난해 9월 철거 직전 논란 끝에 원형으로 이동 보존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났다. 하남=강영호기자

하남시-美 리틀락시와 ‘상징조형물’ 교환

하남시가 국제 자매도시인 미국 아칸소주 리틀락시와 상징조형물을 교환한다. 9일 시에 따르면 미국을 방문하고 있는 이종수 하남시장 권한대행(부시장)은 지난 8일(현지시각) 리틀락시와 국제 자매도시간 상징조형물 교환에 대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시는 앞서, 국제 자매도시와 조형물 교환을 통해 우의를 다지고 국제교류와 협력 등을 강화하며 대한민국의 미래인 하남의 위상과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자매도시 간 상징물 교환사업을 추진해 왔다. 리틀락시와는 지난 1992년 자매도시 결연을 맺고 그동안 11차례 방문과 10차례 방한이 진행됐고 양 도시 간 청소년 문화교류(홈스테이 등)도 활발하게 이뤄져 왔다. 이번 방문에는 국승현 하남시 국제화 추진협의회 부회장(햇발병원 원장)과 김갑철 위원 등이 동행했다. 이 시장 권한대행은 “올해 안에 조형물을 상호 설치하고 국제교류 활성화에 더욱 노력하겠다”면서 “앞으로 국제 자매도시 간 교류가 활발히 이뤄져 문화ㆍ체육분야 민간인 교류 활성화와 지역 기업의 해외진출로 세계 속의 하남으로 성장되는 시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한편, 시는 국제자매도시인 중국 산둥성(山東省) 루산(乳山)시와 말레이시아 샤알람시와도 상징 조형물 교환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