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반월·인천 화학물질관리 위반 780건 적발

한강유역환경청과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등은 지난 한 해 동안 시화·반월 국가산업단지와 인천지역 화학물질 취급업체 481곳에 대해 합동 점검한 결과 198곳(중복 적발 제외) 780건을 적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 지역은 각각 화학사고 공동전담구역과 환경관리 취약지역 등으로 관리하는 곳이다. 합동 점검 결과 사업장 24곳은 화학물질관리법·위험물안전관리법 등 관련 법령에 근거해 고발 조치하고 157곳 385건은 과태료 부과 처분, 93곳 371건은 시정·경고 등 행정처분을 각각 내렸다. 이 가운데 76곳은 중복 적발됐다. 지난해 적발 건수는 지난 2015년 229건보다 3.4배 늘었다. 내용별로는 안전시설 미비(44.5%)가 가장 많았고, 취급자 준수사항 미이행(29.4%), 메뉴얼·관리대장 등 서류 미비치(23.1%), 기타(3.0%) 등의 순이었다. 준수사항 미이행의 경우, 지난 2015년 1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이 화학물질관리법으로 바뀌면서 유해화학물질 관리자 교육을 받고 유예기간 이내에 선임을 마쳐야 하는데도 이를 이행하지 않아 151곳이 일괄 처분을 받았다. 한편,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올해부터 영세 사업장에 대해선 인력 사정을 감안, 협업 기관별 점검시간을 조율하는 등 유연한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하남=강영호기자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 연평균 5.7%향상… 평균속도 86㎞/h

전국 주요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인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가 연 평균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속도 역시 꾸준히 향상돼 지난 2015년 평균 통행속도는 86㎞로 집계됐다.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교통개선 방향 설정을 위해 총 주행거리와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 이동성ㆍ정시성 등 교통운영에 관한 지표를 산출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러나 고속도로 이용 차량대수와 주행거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총 주행거리’는 2015년 746억6천만대-㎞로 2011년 599억1천800만대-㎞에 비해 24.6%(연 평균 5.7%) 늘었다.하지만 같은 기간 서울~부산 간 통행시간이 5시간 13분에서 4시간 51분으로 22분, 서울~광주간은 3시간 58분에서 3시간 40분으로 18분 줄어드는 등 주요 도시 간 소요시간은 줄었다.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는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를 합산한 것으로 단위는 ‘대-㎞’를 사용한다. 전체 고속도로 이용자의 총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여객지표’와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화물물동량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물류지표’도 증가했다. 2015년 여객지표와 물류지표는 전년보다 각각 7.1%, 7.4%가 증가했다. 고속도로의 통행속도 역시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다만, 정시성의 경우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권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평균 주행속도는 지난 2013년 시간당 83.32㎞ 2015년 86㎞로 3.2% 높아졌으며 고속도로 이용차량 중 시간당 평균 80㎞로 주행한 차량의 비율도 2014년 67.7%에서 2015년 69.8%로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고속도로는 전체 차량 중 통행시간이 오래 걸린 상위 5%의 경우 평균 통행시간의 1.84배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 정시성이 가장 좋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국토면적당 고속도로 연장은 OECD 33개국 중 5위, 국토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4위, 국토자동차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2위로 조사됐다. 하남=강영호기자

한강청, 설 연휴 오염 취약지역 특별단속

한강유역환경청이 설 연휴기간 오염물질 불법 배출 등의 환경오염행위 취약시설지역에 대한 특별 단속은 물론 24시간 상황실 운영 등 환경오염 특별감시를 펼친다. 18일 한강청에 따르면 시민의 일상과 직결된 공공처리시설과 환경오염 우려지역 등은 한강청장을 비롯한 모든 간부 공무원이 직접 방문, 운영현황 점검과 안전사고 예방 등을 당부할 예정이다. 설 연휴기간 이전(1단계ㆍ오는 26일)에는 폐수다량 배출업소,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등 환경오염 취약 사업장 스스로 자율점검을 시행토록 유도한다. 오ㆍ폐수 배출업소와 고농도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환경기초시설 등을 대상으로 집중 감시ㆍ단속활동을 벌인다. 설 연휴기간(2단계ㆍ오는 27~30일)에는 ‘환경오염사고 대비 상황실’을 24시간 운영, 오염사고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이 기간 동안 환경부와 시ㆍ도 등 유관기관과의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해 환경오염사고 시 업무 공조를 강화한다. 설 연휴기간 이후(3단계ㆍ오는 31일~내달 7일)에는 특별감시 기간 중 적발된 업소 등을 대상으로 시설과 공정 진단 등 ‘중소기업 환경기술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한강청은 설 연휴 특별감시 기간 중에 적발된 폐수 무단방류, 유해화학물질 불법처리, 지정폐기물 불법매립 등 고의적 환경오염행위에 대해서는 강력 조치할 방침이다. 하남=강영호기자

하남 미사 강변초교 학부모들 “교실늘려 과밀학급 해결해달라”

하남시 미사 강변도시 내 미사 강변초등학교 학부모들이 급격한 학생 수 증가에 따른 학급과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교실증축 등 교육환경개선을 해당 교육지원청에 요구하고 나섰다. 17일 미사 강변초교 학교운영위원회와 학부모 등에 따르면 이 학교 학교운영위원회와 학부모 20여 명은 최근 광주하남교육지원청을 방문, 학급과밀 문제 등 현안사항을 건의했다.이 자리에서 학부모들은 “정원 900명(30학급)을 예측해 지난 2014년 9월 개교했지만, 현재 1천380명으로 16개 학급이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신학기부터는 평균정원이 38명에 달해 교장실을 임의변경하는 방법으로 특별실 7개실을 개조, 임시방편으로 37학급을 운영하는 등 교육환경이 열악해 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게다가 2~3년 후 이 학교의 학구에 포함된 단독주택(미사 2동 22통)ㆍ상가주택(55통)의 인구유입에 따른 학생 수는 학급당 45~46명에 달해 교실부족 사태는 불 보듯 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광주하남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정원 예측과 학구 조정 등이 빗나가는 초유의 일이 발생해 당혹스럽다”며 “조만간 학부모들과 모임을 갖고 21개 교실을 신축(증)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설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