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옆에 마을버스 차고지가 웬말”

용인시가 원아 220여명이 다니는 대형 어린이집 인근에 마을버스 차고지 신축 허가를 내주자 교사와 학부모들이 아이들의 안전을 완전히 짓밟은 행정절차라며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어린이집으로 통하는 유일한 진출입로를 마을버스 회사와 같이 사용할 경우 사고 발생은 불을 보듯 뻔하다는 입장이다. 29일 용인시와 다나어린이집 관계자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말 도시계획심의위원회를 거쳐 지난 7일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64-29번지(대지면적 973㎡)에 강남여객이 낸 차고 시설을 허가했다. 이곳에는 84㎡규모의 사무실 및 운전자 대기실(가건설물) 1동과 버스 5대를 주차할 수 있는 차고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그러나 용인시가 내준 이번 차고지 허가에 대해 차고지와 맞닿은 어린이집 교사와 학부모들이 사고위험 및 매연과 소음피해를 우려하며 불안해하고 있다. 또 차고지가 들어서면 43번 국도에서 어린이집을 연결하는 폭 4~5m짜리 유일한 진출입로에서 아이들의 안전이 위협받는다고 반발하고 있다. 어린이집 관계자는 어린이집 바로 옆에 그것도 어린이집 유일한 진출입로를 같이 사용해야 하는데도 마을버스 차고지 허가를 내줬다는 게 한심스럽고 화가 난다면서 어린이들의 안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이번 허가는 원천 무효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용인시는 도시계획심의위원회를 통과한데다 적법한 절차에 따라 허가를 내주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계획심의위원회를 통과했고,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아 허가를 승인했다며 마을버스 업체 측에서 새벽과 심야시간에만 버스가 드나든다고 했으며, 안전에 신경쓴다고 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재정자립도·자주도 ‘껑충’ 도내 상위권으로 ‘컴백’

용인시의 지난해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가 1년새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는 자치단체의 재정 건전성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재정자립도는 지방자치단체 재원조달의 자립성을 나타내 높을수록 재정능력이 높다는 것이며 재정자주도는 자치단체의 실질적인 재원활용능력을 나타낸다. 28일 용인시에 따르면 지난해 용인시의 재정자립도는 60.52%로 도내 31개 시ㆍ군 중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45.26%) 순위 26위보다 크게 오른 것이다. 또 지난해 재정자주도는 74.42%로 전년(57.21%) 31위에서 무려 순위를 27계단 끌어올려 4위를 기록했다. 이번 재정자립도 및 재정자주도 향상으로 앞으로 시정 운영에 탄력을 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시는 경전철 채무의 경우 내년 1천402억원의 채무를 상환해 채무비율을 대폭 낮춘 뒤 2016년까지 채무관리계획 이행을 모두 마무리하면 빠르게 재정 건전성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 외 채무 전액은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차질없이 상환해 재정 운영을 안정궤도에 올린다는 복안이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심사 등의 사전 절차를 철저히 이행하는 등 건전 재정 기반 확보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시의 2014년 재정 규모는 1조8천176억원(2014년 제3회 추경반영)이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향우회, ‘갈곡마을 느티나무 문화제’ 개최

지역에 풍요와 행운을 내려주소서. 수령 350년 느티나무 밑에서 마을 화합과 번영을 기원하는 축제가 열린다.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향우회는 11월 2일 오후 3시 마을 공원에서 갈곡마을 느티나무 문화제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문화제는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고사를 시작으로 민속놀이, 두레 한마당, 축하공연 등 순으로 진행된다. 또 지난 수십 년간 마을의 변천사를 담은 사진전과 먹거리 장터도 함께 열린다. 김령 김씨 집성촌인 갈곡마을은 1990년대말 택지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아파트단지로 변모했으나 마을 한가운데 거목으로 자란 느티나무가 군락을 이뤄 주민휴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1988년 이중 350년생 느티나무를 경기도 보호수로 지정했고 용인시는 2007년 느티나무 군락지 일대 1천691㎡를 공원으로 지정, 주민 쉼터로 꾸몄다. 갈곡향우회는 2006년부터 느티나무 문화제를 열고 있고 회원들이 소장한 옛 사진들을 수집, 마을 역사를 기록한 책자를 발간하기도 했다. 갈곡향우회 김대성 회장은 수백 년 된 느티나무를 마을의 상징으로 삼아 화합과 번영을 기원하는 소박한 마을 잔치를 열고 있다며 토박이들과 새식구들이 함께 즐기는 전통문화행사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