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그림책 박물관공원 공사현장 소음으로 주민들 불편 호소

군포시가 전국 최초로 추진 중인 그림책박물관공원 신축공사 현장(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굉음 등 소음으로 주민들이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29일 군포시에 따르면 그림책박물관공원은 지난 2017년 시가 경기도 창조오디션 공모에서 대상을 차지하면서 경기도 특별조정교부금 100억원과 시비 등을 더해 지난달 기공식을 열고 시청과 인접한 금정동 한얼공원 내 옛 군포배수지 3만8천371㎡에 지하 2층, 지상 1층 등의 규모로 신축 중이다. 이날 공사현장에선 굴삭기가 브레이커를 이용, 배수지 옆 언덕 암반을 제거하는 타공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현장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어떤 시설도 보이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군포시청과 산본중심상가, 아파트단지 등지에는 인근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굉음 등 소음이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피해를 겪고 있다. 특히 공사현장은 옛배수지 자리여서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아 수리산에 둘러쌓인 산본시가지로 소음이 여과 없이 퍼지면서 주민들의 고통을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주민 A씨는 공사현장 맞은편 상가 건물은 물론 아파트 동별 건물에 부딪쳐 반향된 소음으로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공사현장과 인접한 교육지원청과 장애인복지관 등에선 소음이 더욱 크게 들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공사현장 관계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펜스 등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현장을 방문해 점검한 뒤 소음 감소를 위한 적절힌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군포시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계획안 수립 공람중

군포시가 금정역 앞 일부 주거지역을 상업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하고 공원 등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폐지하며 신규 도로를 개설하는 등 도시관리계획 재정비계획안을 마련,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있다. 시는 이번 재정비계획안을 통해 2030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시가화용지 중 2종 일반주거지역인 산본동 98의1일원 3만4천516㎡를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하고 용도지역 상향에 따른 난개발방지와 체계적 개발 등을 위해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한다. 18년전 지정된 둔대동 반월공원 61만4천여㎡와 산본동 어린이공원 1천235㎡ 등이 각각 용도가 폐지되고 당동근린공원은 계획면적 41만여㎡ 중 7만6천여㎡가 공원용지에서 제외된다. 이들 공원용지는 장기 미집행시설로 시가 폐지하고 축소계획을 관리계획에 반영한다. 반면 반월호수공원은 38만1천여㎡가 추가 지정되는 등 공원별로 증감이 이뤄진다. 최근 부곡지구 인근 초평지구 개발에 따라 송부로와 군포로를 연결하는 도로 1.2㎞가 신설되고 송정지구와 42번국도를 연결하는 700여m 도로도 개설된다. 이외에도 산본시장 인근 어린이공원에 주차장 신설, 군포역 광장 확장, 당동지하차도 주변 교통광장 조성 등이 계획된다. 시 관계자는 지역 개발수요 등의 변화에 따라 계획적이고 체계적 개발을 위해 관리계획 재정비안이 마련됐다며 주민공람 후 행정절차에 따라 도시관리계획이 수립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군포복합 생활스포츠타운 벚꽃동산 내 애완견 놀이공간 놓고 주민 갈등

군포시가 조성한 군포복합 생활스포츠타운 내 벚꽃동산에 애완견 전용놀이공간을 놓고 주민들이 폐지와 존치를 주장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14일 군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4월 군포복합 생활스포츠타운 내인 군포로 339 벚꽃동산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 애완견을 위한 전용 놀이공간을 조성하고 무릎 높이의 울타리를 설치한 후 애완견과 견주들이 함께 입장해 자유롭게 이용토록 했다. 이런 가운데, 이곳을 찾는 애완견과 견주들이 증가하면서 군포복합 생활스포츠타운과 벚꽃동산을 찾는 주민들과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반발도 늘고 있다. 시청 홈페이지에는 애완견을 위한 전용 놀이공간 폐쇄를 주장하는 의견과 존속시키자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벚꽃동산 인근인 당동2지구 삼성마을(아파트) 주민 A씨는 아이와 함께 벚꽃동산을 산책하다 애완견 전용 놀이공간 인근에서 만난 개로 인해 아이가 놀라 다시는 벚꽃동산을 가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한적한 외곽이 아닌 아파트단지와 체육시설 등이 인접한 벚꽃동산에 애완견 전용 놀이공간은 어울리지 않는다며 목줄을 하지 않거나 배변을 방치하는 경우도 있어 불안하고 불쾌하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반해 애완견주인 C씨는 애완견 등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1천만명에 이르고 있고 대다수는 배변 처리 등의 문제에 있어 환경과 타인을 배려하고 있다며 벚꽃동산 전체를 이용하는 것도 아닌데 애완견 등 반려동물을 위한 조그만 공간도 허용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군포복합 생활스포츠타운을 관리하고 있는 군포도시공사는 벚꽃동산 입구에 소중한 이웃도 함께 산책하는 공간이라며 목줄 사용과 애완견 용변처리 등을 당부하는 현수막을 게시하고 있다. 군포도시공사 관계자는 평소에 벚꽃동산 내 애완견 출입이 많아 울타리로 분리해 마련한 공간이라며 삼성마을 주민 대표 등 찬반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