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 고교생 3.7% ‘중도포기’

경기지역 전문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율이 일반계 고교생들보다 2.6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9년 3월부터 지난해 2월 말까지 전체 전문계 고교생 11만532명 가운데 3.7%인 4천12명의 학업을 중도 포기했다.이는 전체 35만929명 가운데 1.4%인 4천876명이 학업을 중단한 일반계 고교생의 학업중단율의 2.6배에 달하는 수치다.특히 전문계 고교생들의 가사 문제나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학업 중도 포기율이 일반계 고교생들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문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 사유는 학교생활 부적응(57.0%), 가사(25.0%), 유학과 공교육 거부 등 기타(14.2%), 질병(3.1%) 등의 순이었다.반면, 일반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 사유는 학교생활 부적응(45.2%), 유학 등 기타(31.6%), 가사(14.1%), 질병(7.8%) 순으로 분석됐다.학교생활 부적응과 가사로 인해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학생 비율이 일반계 고교생보다 전문계 고교생이 10%p 이상 높았다.한편, 도내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율은 2007년 6천545명에서 2008년 7천900명, 2009년 8천533명, 지난해 8천888명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반계 고교보다 전문계 고교에 상대적으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많아 학업 포기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해 인성지도, 진로지도, 장학금 확대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수원 중학교 급식에 웬 ‘개구리 반찬’

학교 급식에 진짜 개구리 반찬이수원의 한 사립 중학교 저녁 급식의 반찬으로 나온 열무김치에 청개구리가 섞여 있는 것을 학생이 발견, 학교측이 김치 납품업체를 교체하는 소동이 발생했다.그러나 학교측은 사건 당일 급식중단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서 상당수의 학생들이 문제의 김치를 먹은 것으로 알려져 빈축을 사고 있다.또 공동급식소를 사용하는 한울타리 내 고교생 400~500여명도 같은 회사의 김치로 저녁식사를 했지만 이 같은 사실을 교육청에 보고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1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5시30분께 수원시 Y중학교 저녁 급식에 반찬으로 나온 열무김치에서 청개구리가 포함된 배식을 받은 한 학생이 발견했다.이 학생은 즉시 급식 조리원에게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그러나 조리원 등 관계자는 급식중단을 하지 않은 채 문제의 김치를 폐기한 채 급식을 진행했다.더욱이 이 학교와 공동급식을 하는 Y고등학교에도 이같은 사실을 통보하지 않은 채 전날 사용하고 남은 배추김치를 사용, 오후 6시30분께부터 고교생 400-500여명이 식사를 했다.또 학교측은 수원교육지원청 및 경기도교육청에 사고발생을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Y중학교는 같은 재단인 고등학교와 공동으로 E급식업체에 위탁해 급식을 실시하고 있으며 해당 김치는 E업체와 계약을 맺은 충남의 한 업체에서 납품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학교측은 사고발생 다음날인 31일 교직원 회의와 급식위원회를 개최, E급식업체에 김치 납품업체를 교체해달라고 요구, 이틀 뒤인 이날부터 새로운 업체가 김치를 납품하고 있다.Y중학교 교장은 31일께야 사고 발생사실을 알았고 곧바로 회의를 소집, 김치업체 교체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학부모 전원에게 사과 가정통신문도 발송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Y중의 급식사고를 전혀 보고받지 못했다면서 사고발생 즉시 급식중단을 하지 않고 이틀씩이나 같은 회사의 급식이 진행된 것이 사실이라면 문제가 있는 만큼 적절한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랜디던 美 워싱턴주 교육감, 군포 한얼초교 수업 참관

경기도교육청이 2일부터 이틀간 개최하는 국제혁신교육 심포지엄 참석차 방한한 랜디던 미국 워싱턴주 교육감은 1일 한국 교육에 대한 나의 평가는 오바마 대통령의 평가와 같다고 밝혔다.이날 오전 군포시 한얼초등학교를 돌아본 랜디던 교육감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교육의 우수성에 대해 수차례 호의적으로 평가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이어 그는 한국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의 학업성취도가 국제적인 수준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이와 함께 그는 한얼초교 학생들의 수업을 참관한 뒤 미국에서는 매일 10% 정도 학생이 결석한다며 한국 학생들은 결석률이 매우 낮다고 하는데 학생들이 학교를 오고 싶어하는 것 같아 놀랍고 감동받았다고 소감을 밝혔다.그는 또 테크놀러지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수업을 보면서 한국이 IT 강국이라는 것을 다시 느꼈다며 워싱턴주 학생의 20%가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고 있는데 이는 학교가 지루하고 학교에 어른이 없으며, 돌봐주고 이끌어줄 멘토가 없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특히 그는 국제적으로 비교해도 미국 학생들이 공부를 잘 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미래를 위해 필요한 수학과 과학은 학업수준이 낮다며 그래서 미국교육도 변화가 필요하고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랜디던 교육감은 이날 영재과학고인 경기과학고 등을 둘러본 데 이어 김상곤 경기도교육감과 면담을 가졌으며 2일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내일 2012학년도 대입 수능 모의평가 시행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수능시험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2일 전국 2,165개 고등학교와 265개 학원에서 일제히 시행된다. 이번 모의평가를 통해 대입 수험생들은 오는 11월 10일 치러지는 2012학년도 수능시험 출제 경향과 난이도, EBS 연계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교육과정평가원은 이번 모의평가 채점 결과와 문항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2학년도 수능시험 난이도를 조정할 예정이다.앞서 평가원은 지난 3월 발표한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을 통해 "영역별 만점자가 1% 수준이 되도록 출제하겠다"고 밝혔다.평가원은 2일 "이번 모의평가와 EBS 수능교재 및 강의 연계율을 70% 수준으로 유지했다"고 설명했다.이번 모의평가는 5개 영역별로 1교시 언어, 2교시 수리, 3교시 외국어(영어), 4교시 사회/과학/직업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으로 나뉘어 치러진다. 1교시 시험은 오전 8시 40분 시작되며, 모의평가 응시생들은 시험 시작 30분 전인 오전 8시 10분까지 고사장에 입실해야 한다.2교시부터 5교시까지는 시험 시작 10분 전까지 입실하면 된다.이번 모의평가에는 언어영역 응시자 기준으로 재학생은 61만 1,200명, 졸업생은 8만 8,659명이 지원했다.수리영역 '가'형은 21만 1,539명, '나'형은 48만 734명, 외국어(영어)영역은 69만 7,789명이 응시한다.또, 사회탐구영역은 38만 1,499명, 과학탐구영역은 24만 3,928명, 직업탐구영역은 7만 3,068명,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7만 9,051명이 시험을 치를 예정이다.평가원은 전산 처리로 채점을 마친 뒤, 그 결과를 오는 22일(수)까지 수험생에게 통보할 예정이다.실제 수능시험 때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와 디지털카메라, MP3, 전자사전, 카메라 펜, 전자계산기, 라디오, 휴대용 오디오플레이어 등 모든 전자기기는 시험실 반입이 금지된다.시험 시간 중 시험실 내에서 휴대전화 등 무선통신기기는 사용 여부를 불문하고 소지한 것만으로도 부정행위로 간주된다. OMR답안지 작성은 반드시 컴퓨터용 사인펜으로만 표기해야 하며, 기타 연필 등 다른 필기구를 사용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한편, 모의평가는 컴퓨터용 사인펜 등을 별도로 지급하지 않는다.

고교 체육수업 줄자… 운동장도 줄어

경기지역 일선 고교의 운동장 및 체육관 등 체육공간 면적이 10년 전에 비해 15%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3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학교당 평균 체육공간은 초등학교(1천145곳) 7천221㎡, 중학교(574곳) 7천603㎡, 일반계 고교(288곳) 7천843㎡ 등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 2000년 학교당 평균 체육공간에 비해 초등학교는 1.4%, 중학교는 8.3%, 고등학교는 무려 15.3%나 감소한 수치다.또 이 기간 전체 교지 면적 대비 체육공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도 초등학교는 36.0%에서 35.9%로 0.1%p, 중학교는 48.0%에서 45.6%로 2.4%p, 일반계 고교는 38.3%에서 33.8%로 4.5%p 감소했다.그러나 학생 수가 점차 감소하면서 학생 1인당 체육공간 면적은 초등학교가 7.4㎡에서 9.7㎡로, 중학교는 8.1㎡에서 9.1㎡로 증가했다. 학생수가 아직 증가하고 있는 고교의 1인당 체육공간 면적만 7.2㎡에서 6.4㎡로 줄었다.이 같은 체육공간 감소로 학생들의 체육활동이 위축되고, 이로 인해 체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각급 학교의 체육공간이 갈수록 감소하는 것은 학교 건축물 면적이 증가하는 데다 교지 내에 주차장과 야외학습장 등 기타 시설 부지들이 많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한편, 올해 입학한 도내 중학생들의 3년간 체육과목 수업시간은 평균 270.04시간이었으나 일반계 고교 신입생의 3년간 체육 수업시간은 176.2시간으로, 중학생보다 34.9%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제22회 경기·인천 사도대상 시상식

경기일보사와 경기도인천시교육청이 진정한 스승의 고귀한 덕을 기리기 위해 주관한 제22회 경기인천 사도대상 시상식이 31일 오후 2시 경기도교육복지종합센터 대강당에서 열렸다.경기도와 인천시가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임창열 경기일보 대표이사 회장을 비롯해 김상곤 경기도교육감,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정연호 경기농협 본부장, 이팽윤 인천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김흥식 사도대상 심사위원장(아주대 교수), 수상자 및 가족 등 3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이날 시상식에선 ▲경기 초등부문 정지수 여주 오산초 교장, 안옥연 용인 언동초 교사 ▲경기 중등부문 김광순 안양 관양고 교장, 심정희 광명 하안북중 교장, 김종배 안산 동산고 교장, 송정순 부천 상록학교 교사 ▲교육행정부문 박치원 경기평생교육학습관 총무부장, 박홍선 인천시교육청 총무과장 등이 수상했다.이와 함께 ▲인천 초중등부문 유병철 인천 계양고 교장, 김창진 인천 용마초 교장, 이진형 인천 인송중 교장 등도 수상, 모두 11명의 수상자들이 상패 및 부상을 받았다.특히 이날 수상자들에게는 각각 부부동반 해외여행권도 수여됐다. 이날 임창열 회장은 축사를 통해 한국사회가 급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분석하면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교육의 힘이라며 교육을 위해 헌신하신 수상자들의 공로를 높이 평가한다. 앞으로 선생님을 존경해 참된 교육을 이끌어내는 문화가 형성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상곤 교육감도 경기 및 인천지역 교육발전을 위해 정열적으로 교육의 장을 펼쳐온 수상자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박혜숙박수철기자 scp@ekgib.com 시상식 동영상은 경기닷컴(www.kyeonggi.com) 및 QR코드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도교육감 “장마철 앞두고 방사능비 우려…국내 원전정책 전면 재검토 필요”

방사능비 우려로 휴교조치를 했던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국내 원전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히고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김상곤 교육감은 31일 오전 임직원이 참석한 월례조회에서 이같이 밝혔다.이날 김 교육감은 제2호 태풍 송다가 소멸돼 방사성 물질의 한반도 유입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 것은 참으로 다행이라며 하지만 장마철을 앞두고 방사능비 우려로 학생 안전과 건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일본 총리가 원전발전확대 계획 등 정부에너지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한데 이어 독일 보수연정이 어제 독일 원전 17곳을 2022년까지 전면 폐쇄하기로 결정하는 등 원자력 발전 정책에 대해 세계 각국에서 전면적인 재검토가 일고 있다고 역설했다.특히 그는 우리나라에서도 현재는 물론 미래 세대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원자력 발전 확대 등 에너지 정책 기조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아울러 그는 지난 4월7일 방사선 비 예보에 따라 학교장 재량 휴업 조치를 내린 것을 두고 격려와 비판이 교차됐다면서 하지만 결과적으로 올바른 결정이었고 앞으로도 학생 안전의 문제는 더욱 세심하게 대비할 방침이라고 역설했다.아울러 그는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인체에 축적될 경우 안전을 확신할 수 없는 것이고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치명적인 피해가 올 수 있는 만큼 피폭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된다고 덧붙였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판교 BTL학교들 ‘엉터리’ 조경공사

경기도교육청이 성남 판교지구에 BTL(임대형민자사업) 방식으로 건설한 학교들이 규격 미달의 나무를 식재해 온 것으로 드러나 부실공사 논란이 일고 있다.30일 경기도의회 2010 회계연도 결산검사 대표위원인 윤은숙 의원(민성남4)에 따르면 윤 의원이 성남 판교지구 운중고와 보평고 등 2개교의 교목 311그루를 전수조사한 결과 절반 가량이 정해진 규격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운중고의 경우 소나무, 느티나무 등 96그루의 교목 중에서 규격에 맞는 나무는 47그루에 불과하고 51%에 해당하는 49그루가 지표면 나무직경 규격에서 0.2~6.3㎝가량 모자랐다.이와 함께 보평고는 청단풍, 은행나무 등 검사대상 215그루 중 적격수목은 122그루인 반면, 부적격 수목은 93그루로 43.2%가 규격미달이었다.특히 이들 학교는 최초 식재 시 규격에 미달하는 나무를 심어놓은 뒤 하자보수를 실시하면서 규격에 더욱 미달하는 나무들을 심어온 것으로 밝혀졌으며, 일부 나무는 계획과 달리 아예 식재하지 않았다.이에 대해 윤 의원은 지난해와 올해 식재를 완료한 도내 BTL 사업 해당 학교들에 대해 도교육청, 학부모, 해당지역 도의원 및 교육의원, 조경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윤 의원은 조경업계의 관행상 10%의 마이너스 오차를 감액한 수치에서 미달한 것이어서 최초 식재 당시의 규격미달은 이보다 더 많을 것이라며 미달수량만큼 해당 학교에 낙엽교목 위주로 재식재하고, 감리회사 및 관계자들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