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계高 비율의 2.6배
경기지역 전문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율이 일반계 고교생들보다 2.6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9년 3월부터 지난해 2월 말까지 전체 전문계 고교생 11만532명 가운데 3.7%인 4천12명의 학업을 중도 포기했다.
이는 전체 35만929명 가운데 1.4%인 4천876명이 학업을 중단한 일반계 고교생의 학업중단율의 2.6배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전문계 고교생들의 가사 문제나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학업 중도 포기율이 일반계 고교생들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 사유는 학교생활 부적응(57.0%), 가사(25.0%), 유학과 공교육 거부 등 기타(14.2%), 질병(3.1%) 등의 순이었다.
반면, 일반계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 사유는 학교생활 부적응(45.2%), 유학 등 기타(31.6%), 가사(14.1%), 질병(7.8%) 순으로 분석됐다.
학교생활 부적응과 가사로 인해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학생 비율이 일반계 고교생보다 전문계 고교생이 10%p 이상 높았다.
한편, 도내 고교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율은 2007년 6천545명에서 2008년 7천900명, 2009년 8천533명, 지난해 8천888명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반계 고교보다 전문계 고교에 상대적으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많아 학업 포기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해 인성지도, 진로지도, 장학금 확대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