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역점 사업인 중학교 및 유치원 무상급식이 도교육청의 전면 시행 계획과 달리 올해부터는 31개 시군 중 54%인 17개 시군에서만 시행된다.특히 지난해 9월부터 도교육청 예산으로 도내 모든 시군에서 시행되던 만5세 무상급식이 지자체의 예산확보 미흡으로 14개 지자체에서는 중단될 위기에 처하면서 반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2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과 지자체의 대응투자로 올해부터 도내 31개 지자체 전체 초등학교에서 무상급식이 실시되지만 유치원(만5세)과 중학교는 도내 17개 시군에서만 시행된다.중학교 무상급식의 경우 광명, 여주, 오산, 광주, 이천, 용인, 의정부, 동두천, 양주, 구리, 남양주, 파주, 연천, 가평 등 14곳에서는 실시되지 않으며 평택, 김포, 시흥은 3학년만 실시한다.또 수원, 성남, 안양, 과천, 안산, 의왕, 화성, 양평, 안성, 고양 등 10개 시군은 2~3학년만 실시되며 부천, 군포, 하남, 포천 등 4곳은 1~3학년 모두 실시되는 등 제각각이다.게다가 유치원 무상급식의 경우 도교육청이 지난해 9월부터 75억7천여만원의 예산을 전액 부담해 운영돼왔지만 평택, 군포, 여주, 광주, 하남, 이천, 용인, 안성, 의정부, 동두천, 양주, 연천, 포천, 가평 등 14개 시군은 올해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이에 따라 무상급식이 실시되지 않거나 일부에서만 시행되는 지자체, 특히 중단될 위기에 처한 지자체 학부모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이에 구희연 친환경학교급식을위한 경기도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친환경무상급식은 아이들에게 밥을 제공한다는 차원을 넘어 농촌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것이라며 토목이나 건설사업에 치중돼 있는 예산을 전면 재검토해 지자체는 무상급식 예산을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박수철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교육·시험
오영탁 기자
2012-01-02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