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넘어 세계로… ‘글로벌 티켓’ 잡아볼까

청년 취업난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그렇다면, 이제 눈을 해외로 돌려보는 건 어떨까.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가 해외 진출에 관심 있는 청년을 지원하고자 한국산업기술대 경영학부 교수에게 연구용역을 맡겨 2030 청년이 취업하기 좋은 해외 취업 유망국가를 29일 발표했다. 나라별 특성을 살펴보고, 큰 세계에서 꿈을 펼칠 기회를 잡아보자. 취업하기 좋은 해외 10개국은 독일,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오스트리아, 아랍에미리트(UAE), 일본, 카타르, 호주, 홍콩(가나다순)으로 꼽혔다. 독일은 견고한 산업 성장세를 바탕으로 정보통신(IT), 기계, 자동차 엔지니어 등의 분야에서 인력 수요 높다. 산업 성장세가 견고하고 2025년까지 500만 명의 전문인력을 필요로 한다. 취업비자 발급 조건이 완화돼 외국인 취업이 비교적 쉽다. IT기계자동차 엔지니어 분야에서 인력 수요가 높다. 베트남은 대졸 이상 고급 인력, 관리 인력에 대한 채용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베트남어 혹은 영어 구사가 가능하면 외국인 투자기업, 현지 진출기업에 대한 취업 기회가 커진다. 싱가포르는 IT 분야를 중심으로 해외 인재 유치에 적극적이다. 2015년까지 IT 분야에서 8만 개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고 있고, 우리나라 인력에 대한 인지도 높은 편이다. 홍콩은 취업비자 획득 및 연장이 비교적 쉬우며 우리나라와 경제적 교류가 활발해 현지 진출 기업을 중심으로 채용 수요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오스트리아는 외국인 고급인력 유치 추진으로 전문인력의 취업비자 획득이 쉽다. 특히 유럽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이점으로 국내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다. 물류IT유통요리사 등이 취업 유망직종으로 꼽힌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외국인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약 90%에 달하고 있어 취업비자 획득이 쉬운 편이다. 우리나라가 참여하는 장기 프로젝트가 현지에 다수 진행되고 있어 관리직에 대한 채용 수요가 높다. 이밖에 일본과 미국, 카타르, 호주도 청년이 취업하기 좋은 국가로 선정됐다. 일본은 IT,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고, 미국은 경기 회복세를 타고 외국 인력 채용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며 국내 기업의 현지법인 설립 활발한 게 강점이다. 카타르 역시 외국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취업비자 획득이 쉽고 국내 기업의 현지 진출이 활발한 편으로 분석됐다. 호주는 연간 20만~40만 명의 숙련노동자 이민을 받고 있으며 최장 2년간 워킹홀리데이 체류가 가능해 언어 습득과 취업정보 획득이 쉬운 편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SNSㆍ동호회는 ‘취업 지름길’?

동아리, SNS 등 온오프라인의 사적 모임에 참여하는 청년층의 취업률이 미참여자 보다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530세 5천733명을 대상으로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29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적 모임 참여자(80.0%)가 미참여자(73.9%)에 비해 취업률이 높았고, SNS 참여자(79.8%)가 미참여자(76.0%)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적 모임에 참여하면서 구성원과 다양한 정보 교류가 가능해 노동시장 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부모의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사적 모임과 공적 활동 비율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모임 참여 비율은 부모의 소득이 200만원 미만일 때에 37.5%에 그쳤지만 500만원 이상일 때에 46.9%로 높아졌다. 자선단체 활동은 부모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청년층 참여 비율은 10.6%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200만500만원은 12.1%, 500만원 이상은 16.3%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관계자는 SNS 활동 목적 역시 사적 모임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온라인 특성상 정보 교류가 실시간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직업능력개발원이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직장 병행자 제외)의 고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열은 77.7%가, 사회계열은 66.5%가 비정규직으로 취업했으며, 비정규직 취업자 중 75% 이상이 전업 시간강사인 것으로 분석됐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인재를 찾습니다] 여천NCC, 기술ㆍ제조생산 분야 등 전문기능직 인턴 外

▲여천NCC, 기술ㆍ제조생산 분야 등 전문기능직 인턴 여천NCC가 전문기능직 인턴사원을 모집한다. NCC는 나프타를 열분해하여 석유화학 기초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모집부문은 기술ㆍ제조 생산 및 공무 지원이다. 인턴기간 9개월을 거쳐 우수 수료자는 입사절차를 거쳐 채용한다. 자격요건은 고졸 이상이며 전공 제한은 없다. 공무 직무는 관련 분야 경력자에 대해 서류 전형 시 우대한다. 접수기간은 다음 달 7일(목) 오후 5시까지다. 채용절차는 서류전형, 필기/인ㆍ적성 검사, 면접 및 신체검사를 거쳐 채용한다. 지원방법은 여천NCC(주) 홈페이지를 통해 하면 된다. 자세한 문의는 02-6050-2300으로 하면 된다. ▲리더스, 보호필름 코팅 op생산직 사원 리더스(HR)는 보호필름 코팅 op생산직 사원을 모집한다. 위치는 동탄산업단지이며 모집 직종은 생산. 조립. 가공. 포장. 검품 분야 정규직이다. 담당업무는 보호필름 생산 op보조다. 자격요건으로는 학력ㆍ경력 모두 무관하다. 또 개인 차량소지자는 우대한다. 근무시간은 주간고정 또는 주야 2교대이며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며 연장근무도 있다. 급여는 240만원~260만원(ot포함)이며 기본급여 166만원 + 잔업/특근. 야간 별도다. 지원은 이메일이나 전화 상담을 통해 하면 된다. 이메일 주소는 skylee4910@naver.com이며 기타 자세한 문의는 031-373-1142번으로 하면 된다. ▲동화세상 에듀코, 마케팅 기획ㆍ학습지 교사 등 정규직 동화세상 에듀코에서 교육과 마케팅에 관심 있는 인재를 수시 모집한다. 모집 분야는 마케팅 기획, 온라인마케팅, 학습지 교사, 아웃바운드 tm, 인바운드이며 정규직이다. 전형방법은 온라인 입사지원으로 이뤄지며 1차 서류 합격자에 한에 문자로 개별 통보한다. 근무지역은 하남시이며 근무형태는 주5일 근무로 급여는 신입 3개월까지 월급 100만원 +인센티브이며 이후 연봉을 재조정한다. 자세한 문의 사항은 http://www.educo.co.kr 이나 070-7490-0510으로 하면 된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취업톡톡] 대형ㆍ중견건설사 신입ㆍ경력 채용 봇물

채용 비수기에도 낙심하지 말자.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대형ㆍ중견 건설사의 채용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패기 만만한 신입은 물론 탄탄한 실력을 갖춘 경력자도 모집해 눈길을 끈다. ■GS건설, 전기철도 분야 경력사원 GS건설이 전력부문 전기철도 분야 경력사원을 모집한다. 모집직무는 SE, 검수설비, 궤도, 영업(불어), 전력, 전차선 등이다. 공통자격요건은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 또는 그 이상의 학력 소유자, 병역필 또는 면제자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등이다. 내달 10일까지 회사 채용 홈페이지(www.gsconst.co.kr)에서 온라인 입사지원하면 된다. ■우미건설, 안전 분야 등 신입ㆍ경력 우미건설이 신입ㆍ경력사원을 모집한다. 모집분야는 안전, 모델하우스(사무경리) 등이며 내달 1일까지 회사 채용홈페이지(www.woomi.co.kr)에서 온라인으로 입사지원하면 된다. 응시자격(안전)으로 경력직은 현장경력 2년 이상, 신입은 4년제 정규대학 기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로 안전 관련학과 전공자, 공인 안전 자격증 소지자이어야 한다. 산업위생관리 자격증 소지자는 우대한다. ■삼성중공업, 해외 분야 경력사원 삼성중공업 토건팀이 해외분야 경력사원을 모집한다. 모집분야는 건축, 토목, 전기, 기계 등이며, 입사지원서는 건설워커에서 내려받아 작성하고 나서 내달 15일까지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응시자격은 나이지리아 경력 3년 이상,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 없는 자, 기본적인 OA조작 가능하며, 기초 수준의 외국어(의사표현) 가능한 자 등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한국 '생계형 창업' 비중 40% 육박… 주요 선진국 중 최고

한국 '생계형 창업' 비중 40% 육박 주요 선진국 중 최고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 비중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글로벌 기업가활동 모니터'(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가 펴낸 '글로벌 리포트 2013'에 따르면 한국의 42개월 미만 초기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 비중은 36.5%였고, 소득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한 기회추구형 창업은 51.1%로 집계됐다. 한 해 전 조사와 비교하면 생계형 창업은 1.5% 포인트, 기회추구형 창업은 5.1% 포인트 각각 증가해 고부가가치형 창업의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EM이 꼽은 26개 혁신경제국(Innovation-driven Economies)의 생계형 창업 비중 평균인 18.2%에 비해 생계형 창업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데다 30%를 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독일(18.7%)프랑스(15.7%) 등 서유럽국가 대부분은 10%대로 비교적 건실한 창업생태계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페인(29.2%)대만(28.7%)일본(25%)그리스(23.5%)체코(22.7%)포르투갈(21.4%)미국(21.2%) 등은 비교적 높은 생계형 창업 비율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와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특히 우리가 창조경제의 모델로 삼는 이스라엘도 17.4%에 불과해 눈길을 끈다. 이에 대해 벤처업계 관계자는 "생계형 창업 비중을 줄이고 고부가가치 창업을 활성화하려면 결국 적절한 직업교육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젊은 예비 창업가뿐만 아니라 조기 퇴직자의 재교육에도 신경쓰는 창업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생계형 창업 비중 주요 선진국 중 최고

쉿! 선배들 입 열었다 우리회사, 툭~ 털어놓고 말해볼까?

취업 전 기업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싶은 게 구직자들의 공통된 마음이다. 그러나 한정된 정보 탓에 기업의 문화까지 속속들이 알 순 없다. 이제 그 궁금증을 조금이라도 풀어보자. 국내 기업 평가 사이트 ㈜잡플래닛(www.jobplanet.co.kr)에 국내 1만 2천여 기업의 직원들이 직접 기업의 속사정을 털어놓고 있다. 잡플래닛에 나온 생생한 회사의 속사정을 파헤쳐봤다. ■삼성ㆍLG계열사 등 전ㆍ현직 종사자 2천749명 부문별 기업평가 잡플래닛은 최근 삼성, 현대, SK, LG 계열사 전현직 종사자 2천749명이 남긴 기업 평가 및 후기를 급여 및 복지, 승진 가능성, 일과 삶의 균형, 사내문화, 경영진 등의 분야로 나누어 분석(최고 5점)했다. 그 결과 급여 및 복지는 현대모비스(4.5)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SK텔레콤(4.36), 현대자동차(4.21), 현대위아(4.15), 삼성전자(4.1) 순으로 집계됐다. 일과 삶의 균형 분야에서는 SK 그룹의 계열사들이 상위 1,2,3위를 모두 차지했다. SK 이노베이션(4.83)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SK 커뮤니케이션즈 (3.90), SK 에너지(3.88)가 뒤를 이었다. 사내문화 항목에서는 SK커뮤니케이션(4.0), LG화학(3.81), SK텔레콤(3.74), LG CNS(3.70)이 상위에 올랐다. ■국내기업- 삼성 확실한 성과보장 현대차 군대식 기업문화 구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내 1위 기업 삼성은 소개팅이 많이 들어오는 회사라는 댓글이 달렸다. 또 노동력을 칼같이 현금으로 되돌려준다., 성과에 따른 확실한 보상을 회사의 장점으로 꼽는 의견도 많았다. 반면, 야근이 너무 많아 야근수당만으로도 생활할 수 있는 회사, 높은 업무 강도 탓에 급격한 인간관계 축소를 겪게 된다는 업무강도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LG전자 직원들은 장점으로 사람들끼리의 문화를 꼽았다. 단점으로는 위에서 이상한 아이디어를 가져다가 안 팔릴 상품 만드는 거는 중단해야 한다는 푸념이 나왔다. 현대자동차 직원은 기업문화가 군대식이고 노사 갈등이 심하다고 평가를 했다. ■IT외국계-구글 자유로운 문화 성장 가능성은 글쎄 외국계 기업은 자유로운 조직 문화가 장점으로 꼽혔지만, 성장 가능성이 작다는 점이 단점으로 제기됐다. 구글코리아 직원들은 자유로운 근무시간과 수평적인 관계, 자발적인 업무 환경 등의 분위기가 잘 갖춰져 있다고 장점을 적었다. 단점으로는 한국 시장의 한계로 한국 오피스 내에서 크게 성장하기 어렵다고 푸념했다. 국내 1위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는 회사 건물도 좋고 시설이 훌륭하다는 점을 꼽았지만, 창업주가 일과 삶의 밸런스를 찾는 분이면 그런 회사로 가라고 말할 정도로 업무 강도가 강하다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인재를 찾습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주) 영업ㆍ마케팅사업기획 경력사원 外

■코오롱인더스트리(주) 영업ㆍ마케팅사업기획 경력사원 코오롱인더스트리(주)에서 국내/해외영업, 마케팅사업기획, 지식재산권(특허등)확보 및 검토, 관세사(FTA관련 업무 대응) 부문 정규직 경력사원을 모집한다. 자격요건은 공통으로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이며 영업, 지식재산, 관세사 관련 부문은 경력 3년이상, 사업기획팀은 5년 이상이다. 접수는 http://dream.kolon.com 을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어학성적표, 경력증명서, 자격증사본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다. 접수기간은 오는 29일 오후 8시까지다. 자세한 문의는 ☎ 02-3677-3448로 연락하면 된다. ■ 페어차이드 코리아 반도체, 반도체 생산 기간제 오퍼레이터 담당업무는 반도체 전 공정과 반도체 EPI 생산으로 자격요건은 고졸이상이며 경력 1년 이상이어야 한다. 근무지는 부천으로 근무형태는 주 5일 근무, 통근버스, 기숙사가 제공되며 월200만원 이상이다. 제출서류는 이력서, 자기소개서, 경력증명서다. 이력서에는 연락처, 희망연봉을 꼭 기재해야한다. 접수기간은 다음달 17일까지다. 접수는 인크루트 온라인을 통해 하면 되며 자세한 사항은 ☎032-680-1031로 연락하면 된다. ■그린폴라리스, 경영기획실 정규직 경리사원 근무지역은 서울 강서구 가양3동 경영기획실이다. 모집부문은 경영기획실 경리사원으로 정규직이다. 담당업무는 회사 내부문서 관리. 회사 재무문서 기록관리. 기타회사 운영관리. 그 밖에 단순 업무 지원이다. 자격요건은 학력무관, 경력무관하며 청년인턴 대상자와 연구비 정산 경력자는 우대한다. 접수는 인크루트 온라인을 통해 하면 되며 제출서류는 이력서, 자기소개서다. 접수기간은 오는 25(금)일까지다. 근무형태는 주5일 근무이며 복리후생으로는 연차, 퇴직금, 4대보험이 있다. 자세한 문의는 ☎02-706-2496로 연락하면 된다. ■ 서울우유, 생산기술ㆍ설비보전 등 기능직 사원 서울우유에서 기능직 직원 공개 채용으로 생산기술 및 설비보전 부문을 모집한다. 근무지는 수도권(양주, 용인),경남 거창이다. 자격요건은 초 대졸 이상 경력 소지자로 기능대학ㆍ폴리텍은 포함된다. 기계ㆍ전기ㆍ전자 관련 전공자여야하며 관련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한다. 급여는 초임으로 약 연봉2천800만원이며 자녀학자금 및 경조금, 주택자금, 체육 행사 등이 지원된다. 또 근무형태는 주5일 교대 근무로 이뤄진다. 접수처는 서울우유 홈페이지www.seoulmilk.c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된다. 접수기간은 오는 24(목)일 오후 3시까지며 서류전형 합격자는 31(목) 오후 3시에 발표된다. 자세한 문의는 ☎080-021-5656로 하면 된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성공 창업 꿈꾸는 예비창업자 레스펍 치어스 등 ‘창업 설명회’ 주목

다양한 성공창업 설명회가 준비돼 있어 예비창업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레스펍 치어스(대표 정한)는 오는 31일 오후 6시 성남시 분당구 정자역 근처 본사 교육장에서 성공창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치어스가 보유한 경쟁력과 가맹점 운영 노하우와 예비창업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최근 생맥주 창업 시장의 트렌드와 점포 입지선정, 개설 시 유의사항 등 실질적인 창업 정보를 소개할 예정이다. 종합외식전문기업 놀부(대표 김준영)도 전국 창업강의 순회를 시작한다. 총 3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1부는 2014년 하반기 창업ㆍ외식동향, 업종별 1등 브랜드 성공노하우, 입지 및 상권분석 사례 등이 소개된다. 2부는 창업자여 정신 차려라를 주제로 예비창업자들이 범할 수 있는 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3부는 창업전문가와 개별상담, 대한민국 대표 외식기업 놀부의 6대 브랜드 소개, 소그룹 상담 및 질의응답 시간으로 마무리된다. 안전창업강의는 오는 22일 광주를 시작으로 23일 부산, 24일 대구, 25일 서울에서 진행된다. 신청은 전화(1899-4892) 또는 홈페이지(www.nolboo.co.kr)를 통해 사전 예약하면 되며, 참가비는 무료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취업톡톡] ‘스타트업’ 채용문 활짝

구직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취업준비생들을 닮은 기업이 있다. 바로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대기업과 중소, 중견기업은 아닐지라도 아이디어 하나로 무장해 제2의 구글, 애플을 꿈꾼다. 회사를 키우고 싶은 아이디어 가득한 구직자들은 스타트업 회사에 문을 두드려 보는 건 어떨까. ■데모데이-디자인ㆍ사이트 개발 경력직 스타트업을 위한 포털사이트 데모데이에서 디자인개발자를 모집한다. 담당업무는 서비스 U I 디자인(Web, App, PC), 데모데이 사이트 개발(Back-end, Front-end)이다. 경력 2년 이상의 경력자를 모집하며, 26일까지 이메일(help@demoday.co.kr)을 통해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빈스카이- 패기 넘치는청년 디자이너 빈스카이는 이미지 프로세싱 관련 모바일 앱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이다. 현재 서울 창업센터의 지원을 받아 용산 청년창업플러스센터에 입주해 있다. 디자이너를 모집 중으로 모바일 UI 프로젝트 경험자, 디자인 관련 학과 졸업자 등은 우대한다. 제출 서류는 자유형식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PDF 파일로 제출, 웹은 URL 기재)다. 31일까지 인크루트 채용홈페이지를 통해 지원하면 된다. ■오마이브랜드-경험있는 앱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 개발 경력자를 모집한다. 자격요건은 스타트업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자,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로컬 앱 제외) 개발 및 출시 경험자, Open API 활용 경험자, 상근 출퇴근 가능한 자이다. 기획 능력이 있는 개발자, 글로벌 서비스 경험자, php 개발 경험자 등을 우대하며 서류전형과 면접이 이어진다. 오는 31일까지 이메일을 (my@omybrand.com)통해 접수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