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생계형 창업' 비중 40% 육박… 주요 선진국 중 최고

한국 '생계형 창업' 비중 40% 육박… 주요 선진국 중 최고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 비중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글로벌 기업가활동 모니터'(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가 펴낸 '글로벌 리포트 2013'에 따르면 한국의 42개월 미만 초기 창업 가운데 생계형 창업 비중은 36.5%였고, 소득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한 기회추구형 창업은 51.1%로 집계됐다.

한 해 전 조사와 비교하면 생계형 창업은 1.5% 포인트, 기회추구형 창업은 5.1% 포인트 각각 증가해 고부가가치형 창업의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EM이 꼽은 26개 혁신경제국(Innovation-driven Economies)의 생계형 창업 비중 평균인 18.2%에 비해 생계형 창업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데다 30%를 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독일(18.7%)·프랑스(15.7%) 등 서유럽국가 대부분은 10%대로 비교적 건실한 창업생태계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페인(29.2%)·대만(28.7%)·일본(25%)·그리스(23.5%)·체코(22.7%)·포르투갈(21.4%)·미국(21.2%) 등은 비교적 높은 생계형 창업 비율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와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특히 우리가 창조경제의 모델로 삼는 이스라엘도 17.4%에 불과해 눈길을 끈다.

이에 대해 벤처업계 관계자는 "생계형 창업 비중을 줄이고 고부가가치 창업을 활성화하려면 결국 적절한 직업교육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젊은 예비 창업가뿐만 아니라 조기 퇴직자의 재교육에도 신경쓰는 창업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생계형 창업 비중 주요 선진국 중 최고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