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우리마을메이커협동조합’, 마을기업 지정

하남시는 우리마을메이커협동조합이 2020년 행정안전부 신규 마을기업으로 지정됐다고 29일 밝혔다. 마을기업은 지역주민이 지역 각종 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주민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공동체의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하고 운영하는 마을단위의 기업이다. 해마다 공모를 통해 현지실사와 적격검토, 1차심사(경기도), 2차심사(행정안전부)를 거쳐 행정안정부 장관이 지정하고 지자체가 관리 감독한다. 마을기업이 되기 위한 4대 필수 요건은 공동체성과 공공성, 기업성, 지역성이다. 신규마을기업으로 지정되면 사업계획에 따라 5천만원 이내의 보조금(자부담 20% 필수)을 지원하고 별도 신청과 심사를 통해 둘째해(3천만원 이내), 셋째해(2천만원 이내)에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우리마을메이커협동조합은 지난 2017년 교육에 관심있는 학부모의 모임인 하남프렌즈와 지난해 하남어울림교육공동체를 통해 마을활동가들과 과학교육전문가들 9명이 원도심의 과학기술교육의 부족과 신도시와의 교육격차해소를 목적으로 설립됐다. 마을주민들을 위한 오픈 교육공간 우리마을 메이커 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콘텐츠 부족과 신도심과의 격차문제를 학부모들 스스로 역량을 발전시키고 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여준영 우리마을메이커협동조합 대표는 구성원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큰 도움을 받았다며 받은 도움을 다시 나눠줄 수 있는 마을기업으로 성장,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4.15총선 우리가 뛴다] “하남의 나쁜 정치와 싸우겠다”, 하남 이창근 후보..동반 집단탈당 비판

미래통합당 이창근 하남시 국회의원 후보는 29일 당내 전ㆍ현직 시ㆍ도의원, 당원 등의 집단 탈당과 관련,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하남의 나쁜 정치와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애초부터 전현직 시도의원 등은 당적을 보유한 상태에서 제3자 뇌물수수 혐의 등으로 1심 재판에 넘겨져 징역 1년형의 실형을 선고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무소속 출마한 이현재 후보를 지원하는 등 해당 행위를 일삼아 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들은 공정한 경선을 통해 공당의 후보가 선출된 상황에서도 자신들의 책임을 망각한 채 많은 당원들에게 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이현재 의원을 돕자고 독려하는 등 갖은 해당 행위와 통합을 저해하는 일을 일삼아 왔다고 덧붙혔다. 이 후보는 통합당 탄생 의미와 배경을 되새기며 하남에서도 진정한 통합을 이루고자 묵묵히 인내하고 참아왔다고 전제한 뒤 (탈당)이들이 그동안에 보여준 통합에 반하는 해당 행위에 대해 미련 없이 오로지 국민과 시민만 바라보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후보는 이러한 하남의 나쁜 정치와의 싸움에 결코 굴하지 않고, 오직 국민과 시민만을 바라보고 가겠다. 최근 자신에 대한 사법기관의 고발사건과 관련해서는 법적 대응을 준비중이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한강청, 노후 환경기초시설 개선에 198억 원 추가 지원

한강유역환경청은 환경기초시설 노후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평군 등 23개 지자체에 한강수계기금 198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추가지원은 코로나19 조기극복을 위한 정부의 민생ㆍ경제종합대책 일환으로 시행한다. 198억 원 지원을 통해 개ㆍ보수가 시급한 96개 노후 환경기초시설의 적기 정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원대상 23개 지자체에 198억 원을 전액 배정하는 등 즉시 집행에 착수, 지역경제 활력 제고는 물론 노후 환경기초시설의 운영 효율을 높여 한강수계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환경기초시설은 상수원 수질개선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정비가 시급한 기술진단 1~2등급 시설 위주로 추가 지원된다. 한강청은 각 지자체의 시설별 노후 현황과 기술진단 결과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했다. 시도별 지원규모는 경기도 141억 원(협잡물처리기 교체사업 등 139건), 충북 27억 원(반응조 분리막 교체사업 등 48건), 강원 23억 원(폄프장 스크린 교체사업 등 21건), 서울 7억 원(산기관 개선사업 1건)이다. 최종원 한강청장은 이번에 배정된 자금이 신속 집행돼 지역경기 회복에 도움을 주고, 적기에 노후 환경시설을 정비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집행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