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면 영양성 빈혈을 겪는 30~40대 여성이 늘어나 주의가 요구된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영양성 빈혈에 대해 지난 2010~2014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등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8월에 영양성 빈혈을 겪는 여성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진료인원은 2010년 약 37만5천명에서 2014년 약 39만6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만1천명(5.7%) 증가했다. 총진료비 역시 2010년 약 250억원에서 2014년 약 295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5억원(17.8%) 늘었다. 특히 영양성 빈혈 진료 환자 대부분은 여성으로, 4명 중 1명은 40대로 가장 많은 연령대를 차지했다. 2014년 진료인원 중 40대는 10만3천명(25.7%), 30대 6만명(15.0%), 10세 미만 5만5천명(13.8%) 순이다. 이처럼 영양성 빈혈이 여성, 특히 30~40대에서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임신, 출산, 월경 등으로 철결핍을 겪기 때문이다. 영양성 빈혈은 적혈구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낮아지는 빈혈의 일종이다. 철, 비타민, 엽산 등의 영양소가 결핍돼 나타난다. 호흡곤란, 어지러움, 쇠약감, 창백한 피부 등이 증상을 보인다. 방치하면 부정맥과 심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또 바캉스를 앞두고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면서 불충분한 식사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진단은 혈액검사를 통해 가능하며, 치료방법은 철분, 비타민, 엽산을 음식물이나 보충제, 주사 등으로 보충하는 것이다. 평소 철분, 비타민, 엽산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평가원 관계자는 다이어트로 식사량을 줄이더라도 철분, 비타민, 엽산 등의 영양소가 결핍되지 않도록 건강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류설아기자
건강·의학
류설아 기자
2015-07-19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