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부소방서 119구조대원 노명호 소방교

매일 오후 3시40분께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남부소방서 별관 2층은 때 아닌 개구쟁이들의 웃음소리로 떠나갈 것 같다. 어린이들은 빗자루를 들고 10평 남짓한 공간을 청소하면서도 마냥 즐거운 표정들이다. 이들이 모인건 매일 오후 4시부터 남부소방서가 특수시책으로 인근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어린이유도교실’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정각 4시가 되면 어린이들은 도복으로 갈아 입고 언제 그랬냐는듯 진지한 모습으로 바닥에 끓어 앉고 사범인 남부소방서 119구조대원 노명호 소방교(32)가 입장한다. 어린이들은 노소방교의 구령에 맞춰 예를 갖춘 뒤 이어딛기, 걷기, 전방회전낙법, 업어치기 등의 동작을 1시간30분간 익힌다. 훈련이 끝나면 어린이들은 도장을 깨끗하게 정리한 뒤 노소방교와 정겹게 인사를 나누고 다시 코흘리개로 돌아간다. 용인대 유도학과 출신인 노소방교가 이처럼 어린이들에게 유도를 전수하기 시작한 건 3년전부터. “처음엔 홍보가 제대로 되질 않아 도장이 텅 비었었는데 지금은 초등학생들은 물론 인근 남동농협 직원들도 배우고 있습니다” 언제 출동할 지 몰라 긴장된 상태에서 근무복 차림으로 어린이들에게 유도를 가르치고 있지만 의외의 성과도 거두고 있다. 그를 통해 유도를 익힌 초등학생 5명이 체육특기자로 중학교에 진학했기 때문이다. 김기호군(12·만월초교 5)은 “소방관 아저씨가 때로는 엄하게, 때로는 자상하게 가르쳐줘 허약했던 몸이 튼튼해졌다” 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두아들 잃은 슬픔 이웃애로 달래는 김만덕씨 부부

새벽 4시30분 첫 차를 타고 고양시 주엽동에 도착, 버스 정거장 가판대의 문을 여는 것으로 김만덕씨(57·여·고양시 백석동 흰돌마을)의 하루는 시작된다. 오후 1시 선천성 소아마비로 2급 장애인인 남편 김월성씨가 찾아온다. 지금의 가판대도 남편이 장애인이어서 얻을 수 있었다. 남편과 교대를 하고 나면서부터 김씨의 본격적인 하루 일과가 시작된다. 같은 마을 영구 임대아파트에 사는 병약한 독거노인들을 도우러 가는 것이다. 어떤날은 병수발을 하고 병원까지 가서 치료가 끝나면 다시 집까지 모셔다 드린다. 차비를 아끼기 위해 백화점 스쿨버스 노선과 시간을 줄줄 외우고 있다. “노인들은 아픈 데가 있어도 혼자서는 병원에 못 가세요. 보호자도 있어야 하고 참지 못할 정도가 아니면 아예 병원에 가실 생각조차 않하시거든요” 김씨가 독거노인들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3년전 흰돌마을 4단지에서 2년간 통장 일을 맡으면서부터. 영구 임대아파트 단지라 유난히 독거노인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아마도 지난 84년 애지중지 키우던 두 아들을 잃었기 때문에 버려지다 시피한 노인들에 대한 사랑이 더욱 각별했는지 모른다. 가슴이 미어져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두 아들은 물에 빠진 어린 아이 8명을 구하고 자신들은 결국 지쳐 익사했다. 현재 김씨가 후원금을 보내는 곳만도 소년의 집, 꽃동네 등 15군데나 된다. 보통사람들은 돈이 있으면 먼저 저축하고 남는 돈을 생활비로 쓰지만 김씨는 우선 후원금을 보내 어려운 사람을 돕고 난 뒤 남는 돈으로 생활을 한다. “물려줄 자식이 있는 것도 아닌데 남겨두면 뭐하나요. 남을 도울수 있을 만큼 저에게 수입이 있다는데 감사할 뿐입니다”/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소아과 30대 선두주자 인하대병원 최연호교수

국내최초로 콘돔을 이용해 위장내 이물질을 고통없이 완벽하게 제거하는 치료기법을 개발해 화제를 모으는등 국내 소아과 의학계에서 30대 선두 주자로 평가받는 인하대병원 최연호 교수(37·소아과). 최교수는 최근 동료인 김순기·홍윤철 교수 등과 함께 위염이나 십이지장궤양의 원인균인‘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이 아동들의 성장장애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견,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교수팀이 세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학술대회에 발표해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 논문에 따르면 10∼15세 아동 3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춘기 아동이 헬리코박터균 감염만 있을 경우 정상적인 경우 보다 키의 성장이 1.4배 줄어든다. 또 헬리코박터 감염과 철분 결핍성 빈혈이 동시에 올 경우엔 키의 성장이 2.2배나 줄어든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시 원인은 모르지만 키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고만 알려져 왔는데 이번 논문으로 이 균이 유발하는 만성적 철분결핍성 빈혈의 부정적 역할이 과학적으로 상세히 밝혀졌다. 이같은 최교수의 연구성과가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의학 권위지인 ADC지(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는 최신호(2월호)에 최교수의 논문을 게재, 최교수는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최교수는 “연구성과가 전국 각 의료진에게 활용돼 철분결핍으로 키가 작아 고민에 빠진 청소년들의 상심이 치유되고 행복한 청소년기를 보냈으면 좋겠다”고 활짝 웃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