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향 장기수 대모 한지흔씨

“통일의 물꼬를 트기 위한 ‘큰 획’을 그었다고 생각합니다” 2일 냉전시대의 피해자 63명이 북으로 보내지는 한켠에 서서 또 다시 이별의 눈시울을 붉히는 비전향 장기수 대모 한지흔씨(53·민권공대위공동의장)의 소감이다. 0.75평 창살아래에 30∼40년동안을 갇혔다 세상 밖으로 나와서도 ‘빨갱이’라고 손사래하며 누구도 거들떠 보지 않았던 비전향 장기수들을 북으로 보내는 한씨는 그래서 감회가 남다르다. 분단의 아픔을 감싸안은 그녀는 자신들이 염원하는 곳으로 떠난 이들을 위해 과천 별양동에 ‘한백의 집’이라는 둥지를 틀 공간을 마련해 주고 자활을 위한 중고물품 가게를 열어 주는등 그들과 늘 함께 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지난 93년 북송된 이인모씨를 비롯, 한백의 집에서 생활했던 김은환(71)·안영기(72)·홍문거(81)·장호(82)씨 등 비전향장기수들과 함께 했던 시절을 아련하게 떠올리고 있었다. “버려진 물건에 새 생명을 주고 일하는 모습, 서로 나눔의 삶을 우리에게 몸소 보여주고 돌아간 분들이다”며 “고통스런 이야기는 하지 말자. 통일에 도움되는 희망적인 말만 하자”고 그분들과 약속했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녀는 “통일은 빨리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조금 더디 되더라도 진정한 통일이어야 한다”면서 “이념·사상·사람이 하나가 되는 그런 통일을 앞당기는 일에 나설 것”이라고 앞으로의 통일운동 방향을 내비쳤다. 과천 중앙동에서 ‘우리집을 못찾겠네요’라는 찻집을 운영하며 그 수익금으로 떠난 분들에게 도움을 준 그녀는 “‘그날’이 오면 간판이 ‘우리집을 찾으셨네요’로 바뀔것”이라고 말했다./과천=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고운문화상 수상자 김석동씨 등 4명 선정

재단법인 고운문화재단은 제11회 고운문화상 수상자로 김석동씨 등 4명을 선정했다. ◇창의부문 ▲김석동씨(47·금융감독위원회 조정총괄담당관)=외환보유고 확충 및 외환수급안정에 기여했으며, OECD에 한국경제의 개혁추진사항 홍보 등 대외 신인도 제고에 이바지해 왔다. 또 코스닥시장의 활성화 전기 마련은 물론, 대우 구조조정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을 해소, 실물경제 회복을 뒷받침 했다. ▲홍흥주씨(48·통일부 남북회담사무국 회담운영부장)=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2차 선발대 단장으로 평양에 파견돼 정상회담을 차질없이 준비했으며, 제1차 남북장관급 회담에 대비, 철저한 준비와 회담운영에 따른 제반업무 추진으로 성공적 개최에 기여했다. ◇정의부문 ▲윤현배씨(54·병무청 감사담당관)=병역 실명제 도입으로 새로운 병역문화 창달에 기여했으며, 정부 각 부처중 최초로 병무민원처리 실시간 공개시스템 구축·운영으로 병무민원 행정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봉사부문 ▲지영환씨(33·국립경찰대학 수사보안연수소 교무담당)=청소년 범죄예방교육 실시와 자원봉사활동 및 무의탁 노인 보호, 도서보급, 공무원 제안제도 참여, 청소년선도위원 가족만들기에 공헌하는등 경찰 홍보에 기여해 왔다. 한편 고운문화상은 수원대학교와 수원과학대학, 고운문화재단을 설립한 고운 이종욱 박사가 국가와 사회에 기여한 공직자들의 공적을 빛내기 위해 지난 90년 제정, 매년 1회 수상자를 선발하고 있으며 이번 수상식은 오는 25일 오후 6시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갖는다./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