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도시공사 사장 또 사퇴 ‘위기설’

지난 5월 제7대 용인도시공사 사장에 취임한 김탁현 사장이 3개월 만인 4일 자진 사임하겠다는 뜻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사장은 이날 측근들에게 지난 3개월간 힘들었다. 사장 자리에서 물러나겠다. 오늘 시장 보좌관을 만나 입장을 설명하겠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장은 서울대와 카이스트 대학원을 졸업하고 삼성물산에서 오랜 기간 아파트와 쇼핑센터, 산업단지 등 부동산 개발업무를 담당, 경영난을 겪는 도시공사를 회생시키는 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앞서 용인도시공사는 지난 3월 이연희 전 사장이 취임 1주일 만에 자진 사임, 64 지방선거 용인시장 예비후보로 나섰다가 새누리당 경선에서 탈락했다. 지난해 12월에도 유경 전 사장이 역북지구 사업 난항에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하는 등 불과 8개월 사이 사장 3명이 사퇴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도시공사는 최근 용인시가 도시공사 자본금 632억원을 증자, 공사의 부채비율을 448%에서 267%로 낮추고 역북지구 용적률도 220%에서 230%로 상향조정, 역북지구 개발사업에 호재를 맞았지만 잇따른 최고경영자의 사퇴로 다시 위기에 봉착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역북지구 전체 매각대상 토지 24만7천여㎡ 가운데 5만9천㎡(23.9%)밖에 판매하지 못해 자금난에 시달려온 도시공사는 6월 말 기준 부채가 4천196억원에 달한다. 특히 500억원은 시의회 채무보증(최대 800억원)을 받아 올 연말까지 일시 차입한 것이어서 역북지구 매각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공사는 부도위기를 맞게 된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용인시, ‘미검사 어린이놀이시설’ 현장 안전지도 강화

용인시는 어린이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검사 어린이놀이시설 현장지도 강화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설치검사 미이행 취약분야 놀이시설 현장 중점 지도관리를 펼치는 한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주요의무(설치검사ㆍ안전교육ㆍ보험가입 등)를 독려하고 설치검사 홍보가 미흡한 공동주택 및 어린이집 등에 대한 홍보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어린이집, 공동주택 안전관리 미이행 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총괄팀과, 시설관리부서 및 놀이시설 검사기관으로 구성된 합동 지도반을 편성해 놀이시설 관리주체에 안전관리 의무사항 중점지도와 독려 등 안전지도 컨설팅을 운영한다. 주요 지도내용으로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제도 의무부과 사항 안내 및 안전교육 등 독려 ▲공동주택 및 어린이집 등 중점 홍보 ▲설치정기검사 불합격시설 이용금지 조치 이행 여부 확인 등이다. 이밖에 시는 안전점검의 날 행사 시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관리 의무사항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노후 및 비의무 대상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리주체에 보수 및 철거조치할 것을 통보할 예정이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용인시, 읍·면지역에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앞으로 용인지역 읍ㆍ면지역의 시설물에도 교통유발부담금이 부과될 전망이다. 용인시는 교통유발부담금의 단위부담금 연차적 인상 및 읍ㆍ면지역의 시설물에 대한 부과기준 등을 담은 개정 조례를 공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례 개정은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부담금 현실화를 위해 20년 만에 관련 법령을 개정해 단위부담금을 연차적으로 인상한 것에 따른 후속조치다. 교통유발부담금은 도시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교통량을 유발시키는 시설물에 대해 원인자 부담원칙에 따라 부과하며, 각층의 바닥면적 합계에 단위부담금과 교통유발계수를 곱해 산정한다. 개정조례의 적용을 받는 부담금은 내년 10월에 최초 부과되며, 읍ㆍ면지역 524곳의 신규 대상지가 발생해 총 19억여원의 부담금 수입이 발생한다. 동 지역의 수입도 단위부담금 인상으로 2억 원 증가해 2020년 이후에는 연간 40여억 원의 추가수입을 거둘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다만, 주거용 건물전체(주상복합건물은 주거용 부분만 면제), 종교시설, 유치원, 초ㆍ중ㆍ고등학교, 대학교, 사회복지지설, 공장, 여객터미널 및 고속도로 휴게소 등은 교통유발부담금 면제 대상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유발부담금의 인상은 교통량 감축 활동을 유도해 교통량을 줄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증대된 부담금 수입으로 주차장 및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 교통민원해소 및 시민들의 편익이 크게 증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권혁준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