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명 다녀간 ‘파주북소리’ 6일 폐막

파주출판도시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로 열린 책 축제 파주북소리(PAJU BOOKSORI)가 6일 폐막했다. 이번 축제는 책으로 소통하는 아시아(One Asia Through Books)를 주제로 지난달 28일부터 시작해 9일간 50만명이 방문했다. 첫해는 아시아 책의 수도 선포, 지난해 책의 가치를 높이는 국제적 연대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전 세계 16개(13개국)의 책마을이 가입해 있는 세계책마을협회(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Booktowns:IOB)의 회원가입 및 세계책마을 대회, 파주북어워드 제정 및 시상에 이어 파주북소리 2013는 아시아 출판계 인사들과 국내외 200여 개 출판사 및 문화예술 단체가 참여하는 국제문학심포지엄 등 국제적인 행사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 축제기간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방문해 이인재 파주시장, 김언호 공동조직위원장 등 출판인들과 환담 자리를 갖고, 동아시아 출판인회의 심포지엄에 참석 기조연설, 고지도 특별전, 북콘테츠 페어를 둘러보는 등 아시아 최대 책 축제에 큰 관심을 보인 뜻 깊은 축제였다. 올해 북소리축제는 다양한 계층의 방문객들이 각자 수준과 관심에 맞게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대중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유아 독서캠프에 이인재 시장 등 관내 기관장들이 어린이들에게 동화책을 읽어줘 방문객 들에게 큰 호응을 얻는 등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국제적 지식문화 축제로 자리매김 했다는 평가다. 파주북소리조직위 관계자는 지난해 관람객이 45만 명에 이르렀고 올해에는 50만 명이 축제 현장을 찾았다며 파주북소리는 이제 명실공히 아시아를 대표하는 책 축제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고등학생들 ‘전통시장 살리자’ 착한 발걸음

28일 파주 세경고등학교(교장 오순석) 350여 명이 금촌 전통시장을 불시에 습격(?)했다. 시장을 급습한 세경고 학생들은 교내 사투리(사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이곳 전통시장) 동아리. 사투리 회원들은 이날 시장대첩이라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금촌 전통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슬로건인 전통시장이 살아야 지역경제가 삽니다를 새긴 유인물을 시민들에게 배포한 데 이어 500여 명의 서명운동도 함께 벌였다. 이동통신사인 KT IT서포터스의 지원 아래 학생들은 점차 입지를 넓혀가는 대형마트에 맞서 고전하고 있는 전통시장을 살리고자 사투리 동아리가 함께 나서면서 모처럼 금촌시장은 활기가 넘쳤다. 이들은 시장을 견학하고 ▲아름다운 시장 이름 짓기 ▲시장방문 인증 샷 ▲전통시장 휴대폰 광고 찍기 ▲시장약도 그리기 등의 미션을 수행하면서 구슬땀을 흘렸다. 오순석 교장은 침체된 전통시장을 살리고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며 작은 정성이지만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시장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경고 사투리 동아리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동반성장 사회참여 동아리로 사회적 기업 서스넷에서 2013년 사회참여 10대 동아리에 선정됐으며 9월부터는 경기도 교육청 민주시민 교육과 NGO 100대 동아리에 선정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