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난민센터, 주민들 반발에 개소 무기한 연기

동두천시 보산동에 만들어진 난민센터가 정식 운영을 앞두고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진통을 겪고 있다. 15일 동두천 난민센터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역 난민을 대상으로 사목 활동을 해온 가톨릭 의정부교구는 올해 난민센터 설립을 추진해 최근 보산동에 센터를 완공, 지난달 29일 축복식에 이어 지난 9일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하려 했다. 지상 2층 면적 약 250㎡ 규모의 센터는 주로 난민 가정을 비롯한 외국인 어린이와 청소년 공부방과 함께 난민들 국가별 모임 장소 등으로 쓰일 예정이었다. 센터가 만들어진 보산동은 과거 동두천에 주둔한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한 지역이다. 현재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하지만 센터 운영 소식에 반발한 주민들이 이달 초 시청을 항의 방문하며 센터 운영은 시작도 전에 제동이 걸렸다. 주민들은 센터에 난민들이 많이 모여 있으면 주민들이 위협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며 사전에 주민들 의견을 제대로 듣지도 않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주민들이 반발하자 교구 측은 9일 개소식을 무기한 연기하고 현재 건물에 붙어 있던 가톨릭 난민센터 명패도 떼어진 상태다. 난민센터 관계자는 주민들의 우려와 반발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난민이 지역에서 주민과 공존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이해와 양해가 필수적이라며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협의가 될 때까지 센터는 운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양주혁신교육지구 지역교육협의회 개최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교육장 박정기)은 10일 교육지원청 제3회의실에서 2020 양주혁신교육지구 시즌Ⅱ 사업의 심의의결을 위한 지역교육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양주혁신교육지구 지역교육협의회에서는 양주혁신교육포럼과 2019 양주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육공동체 요구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0 양주혁신교육지구 사업 계획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양주별산대 관아지 향교 ▲왕실의 혼이 깃든 회암사지박물관 ▲조소앙 김삿갓 임꺽정 등을 활용한 버들고을 역사기행 ▲장흥예술특구와 연계한 4차 산업혁명 대비 프로그램 ▲서부지역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작은 학교 큰 꿈 키우기 ▲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발산할 미래로 자율동아리, 양주의 주인공은 바로 나 등 버들고을 양주시 만의 지역 특색을 반영한 20개의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제안되어 눈길을 끌었다. 박정기 교육장은 양주시 만의 지역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들을 좀 더 특화해 혁신교육의 지역화 및 다양화를 이뤄가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양주혁신교육지구는 지난 1월 경기도교육청과 양주시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 53개 학교를 대상으로 총 26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동두천소방서ㆍ농협, 태풍피해 점검 및 농촌어르신 말벗활동 봉사

동두천소방서(서장 정상권)는 9일 탑동동 소재 동점마을을 찾아 제13호 태풍 링링에 따른 피해상황과 소방안전 시설 등을 점검하고 가을 수확기 안전사고 예방 교육과 어르신 돌봄 시스템 보완을 위한 의견수렴 활동을 펼쳤다. 또 취약보호 계층에게 주택용 소방장비(소화기 및 단독 경보형감지기 등)를 전달했다. 농협중앙회 동두천시지부(지부장 남상식)와 동두천농업협동조합(조합장 정진호) 임직원도 이날 소방서와 함께 한가위 음식인 송편과 떡을 비롯한 九九 Day(꼬꼬데이 9월9일)를 기념해 전통시장에서 특별 주문한 닭강정을 마을 어르신들께 대접하며 점심식사를 겸한 간담회를 열었다. 정상권 서장은 농촌 어르신들의 야외활동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된다. 가을걷이의 경우 이동전화를 필히 소지하고 2인1조로 작업해야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다.며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 홍보계도활동의 지속적인 전개를 약속했다. 남상식 지부장은 농촌 활력의 절실한 시기를 맞아 돌봄(말벗) 활동 등 마을활력 증진을 우;한 다양한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진호 조합장은 초고령화 시대에 안전사고 사전방지 돌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확보된다면 어르신들은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회적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두천=송진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