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이준엽 교수팀, 세계 최고 효율 청색소자 개발

단국대학교 이준엽 교수팀은 아몰레드(AMOLED)로 알려져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을 갖은 청색소자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OLED 디스플레이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발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동안 적색 및 녹색발광소자에서는 양자효율 20%를 넘는 고효율 소자가 개발되어 양산에 적용되고 있으나, 청색소자의 효율은 양자효율 10% 미만으로 효율이 매우 낮아 소비전력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같은 청색소자의 효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교수 연구팀은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신규 발광물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2009년기존 소자의 효율을 대폭 개선한 18.4%의 양자효율을 갖는 청색소자를 개발한데 이어 올해 기존 소재의 구조를 개선한 신물질을 이용해 25.4%의 양자효율을 갖는 세계 최고 효율의 청색OLED 소자를 개발했다.이같은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의 2월10일 인터넷 속보판에 게재됐다.이 기술은 기존 청색소자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아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이 기술이 양산되면 현재 스마트폰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AMOLED 소자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OLED TV의 소비전력 개선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용인=강한수기자 hskang@ekgib.com

국가 경쟁력 ‘업’… 국내 대표 산학협력단 자리매김

대학의 사회적 책무가 중요시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대학 내 산학협력단의 역할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활발한 연구활동을 통한 우수 학술논문 발표와 특허실용신안 등 지적재산권의 출현, 기술이전 등 산학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타 대학 산학협력단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는 곳이 있다. 지난 2004년 설립된 이후 국내 대표 산학협력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이 바로 그 곳이다. 특히 세계 최초의 나노 신소재인 그래핀 대면적 합성법 등 글로벌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과 연구비 관리 정부인증기관 3회 연속 선정 등은 성대 산단의 우수한 역량을 여실히 보여주는 실례다. 올해 새로 부임한 김현수 산학협력단장의 지휘 아래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소개한다.작년 정부민간기업서 2천억 연구비 유치 기술이전 수입은 25억 5년새 10배 성장 지역 기업과 교류해외학자 유치 강화국가 新성장동력 견인 제2의 도약 꿈꿔■ 비상하고 있는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산학협력단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는 크게 권위적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총 연구비 규모, 지적재산권의 보유 및 출원 등을 들 수 있다. 설립 이듬해인 지난 2005년 SCI, SCI(E), SSCI등의 세계 저명 학술지에 3천여편의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한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은 지난 2007년 3천927편을 논문을 게재한데 이어 지난 2009년 모두 4천93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매년 20%이상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특히 지난 2009년 NATURE지에 게재된 홍병희 교수의 세계최초 나노 신소재 그래핀의 대면적 활성법 논문의 경우 세계 유수의 학자들에의해 433회 이상 인용되는 등 연구의 우수성을 크게 인정받고 있다. 홍교수가 연구한 신소재 그래핀은 현재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의 속도로 전자 이동이 가능, 차세대 반도체 원료로 각광받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할 만하다.이와 같은 연구 성과에 힘입어 성대 산단은 지난해 정부와 지자체 민간기업 등으로부터 모두 1천951억에 달하는 연구비를 유치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875억원의 연구를 따냈던 지난 2005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특히 지난 2007년과 2009년에 이어 3회 연속 연구비 관리 정부인증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의 연구비가 얼마나 투명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실례다.이와 함께 성대 산단은 산학협력단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꼽히는 지적재산권 관련 분야에 있어서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지난 2005년 132건의 특허를 출원하기 시작한 성대 산단은 지난 2007년 313건, 지난 2009년 476건에 이어 지난해 508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와 함께 실제 등록된 특허수 역시 지난 2005년 66건, 지난 2009년 155건에 이어 지난해 239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이러한 지적재산권 분야의 성장에 힘입어 성대 산단은 지난 2005년 2억1천700만원 규모에 불과하던 기술이전 수입을 지난해 25억2천만원 규모로 10여배 이상 성장시키는 쾌거를 이룩했다.이인우 산학기획팀장은 무궁무진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발굴해내는 것이 산단 본연의 역할이라며 오는 2020년까지 25억원 규모의 기술이전료 수입을 330억원 규모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2의 도약 준비하는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이 진행하고 있는 주요 사업으로는 WCU(World Class University) 육성 사업과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사회적기업아카데미 등을 들 수 있다.먼저 WCU 육성사업은 미래 국가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신성장 동력분야에 잠재력을 가진 해외학자를 유치, 국내학자와의 공동연구를 가능케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성대 산단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8천650억원을 지원, 국내 교수와 유명 해외학자 간 공동연구를 통한 국제적 연구네트위크 강화를 통해 대학의 연구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 주관으로 추진되는 대형 정부프로젝트인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의 중점 추진을 위해 매년 33억의 예산을 투입, 지역내 기업들과의 R&D 교류 및 산학협력 역량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이를 위해 산단은 산학협력 중심 교수평가, 산학연계 기술개발, 인력양성, 기술사업화 등 산학협력 관련 지표에 대한 평가를 강화, 운영하고 있다.이와 함께 경기도삼성등과 연계, 창의적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설립한 사회적 기업아카데미와 중소기업청과 경기도, 수원시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창업보육사업 등은 성대 산학이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으로 꼽힌다.이같은 주요사업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은 현재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올해 산학협력단장으로 부임한 김현수 부총장의 지휘 아래 단장격인 이순원 화학과교수와 최재붕 기계공학과 교수를 각각 연구본부장과 산학협력본부장으로 추대, 좀더 광범위하면서도 세분화된 조직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이후 성대 산단은 기술지주회사와 신사업 추진 관련 전담부서인 미래전략본부를 개설, 오는 2020년까지 연간 1천500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관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이인우 산학기획팀장은 부총장이 산학협력단장으로 부임하고 그 산하에 단장격인 이순원 교수와 최재붕 교수가 배치된 것 만으로도 산학협력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면서 치밀한 계획수립과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통해 대학 발전을 선도하는 첨병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역사필수과목 지정 ‘혼선’

속보경기도교육청이 역사 관련 교과를 고등학교 필수 이수과목으로 지정(본보 4일자 13면)한 것과 관련 교육과학기술부가 필수교과 지정은 교과부장관 권한이라며 표현의 수정을 요구,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6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교과부는 지난 3일 오후 늦게 필수과목 지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3조 2항 및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교과부 장관의 권한으로 돼 있다며 경기도교육청의 역사교육 필수 이수과목 지정 취지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자체적으로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은 현행법 위반이라는 내용의 의견을 도교육청 관련부서에 통보했다.이에 따라 교과부는 도교육청이 이번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개정을 통해 마련한 한국사 또는 동아시아사 중 한 과목을 필수 이수과목으로 지정한다는 문구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그러나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교육감이 필수 이수과목을 지정하는데 제한 규정이 없으며, 법적 문제도 없다는 입장이다.다만, 표현상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만큼 도 교육과정협의회를 열어 가급적 등의 단어를 추가해 해당 문구를 수정하겠지만 두 역사과목 중 한 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이수토록 한다는 기존 방침은 고수하겠다고 도교육청 관계자는 설명했다.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경기도교육청이 필수 과목으로 지정한다는 단정적 표현을 가급적 등의 표현을 넣어 수정한 뒤 많은 학교들이 이수하도록 지도하거나 권장한다면 문제될 것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도교육청, 단설유치원 설립 ‘뒷짐’

무상급식과 함께 무상보육을 최대 공약으로 내건 경기도교육청이 재정난을 이유로 공립 단설유치원 설립엔 뒷짐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단설유치원의 높은 인기에도 불구, 예산 부족을 이유로 들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가까스로 따낸 설립 교부금을 다 사용치 못하고 반납한 데다 올해에는 단설유치원 설립계획을 대폭 축소했기 때문이다.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0곳의 단설유치원을 설립기로 하고 교과부로부터 300억원의 교부금을 받았지만 7곳의 설립만 추진했으며 평택 성동을 비롯해 의정부 녹양양주 송랑남양주 도담가평 등 5곳의 단설유치원이 이달 개교했거나 개교할 예정이다.나머지 수원 광교 및 파주 선유 등 2곳은 설립을 추진 중이다.도교육청은 이달 개원을 완료할 5곳의 단설유치원을 건립해 개원하는 데 교과부 교부금 150억원과 자체 예산 40억원(수원 광교 및 파주 선유 추진 예산도 포함) 등 모두 190억원을 사용했다.결국 도교육청은 지난해 10곳의 단설유치원 건립 교부금을 받았지만 매칭 예산집행에 부담을 느껴 3곳의 설립을 포기, 90억원의 교부금을 사용치도 못한 채 반납한 셈이다.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올해 단설유치원 설립계획을 대폭 축소, 화성 영천안성 백성동두천 사동파주 한가람 등 4곳만을 설립기로 하고 교과부로부터 지난해 사용치 않은 90억원 이외에 1곳의 설립교부금 30억원만을 추가로 교부받았다.특히 도교육청은 올해 본예산에 단설유치원 설립비용으로 129억원(교부금 120억원 포함)을 편성, 지난해 쓴 자체예산 40억원의 2.5%에 불과한 9억원만을 사용할 계획이다.학부모 A씨는 단설유치원 경쟁률이 해마다 수십에서 수백대 일에 달하는 등 인기가 높은 상황에서 받기 힘든 교과부의 교부금을 다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이 말이 되냐면서 도교육청은 시민 및 학부모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단설유치원 건립비용이 막대한 건 사실이라며 단설유치원 설립계획 수립에 예산상의 문제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지만 학생수급 등 다른 요인도 많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지자체 장학재단 ‘주먹구구’ 운영

경기도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장학재단들이 장학기금을 부당하게 지출하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6일 감사원이 공개한 지방자치단체 장학재단 설립운영실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4월 전국 139개 지자체가 예산을 출연해 설립운영한 145개 장학재단의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50여 건의 위법부당행위가 적발됐다.양평 등 전국 8개 지자체의 경우 2006년 이후 지방재정법에 목적과 설립이 법령 또는 조례로 정해진 공공기관에 대해서만 출연금 지급이 가능하도록 규정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례 등에 근거를 마련하지 않은 채 54억3천900만원을 장학재단에 출연한 것으로 드러났다.또한 의정부 장학재단은 이사가 추천했다는 이유로 경찰공무원 자녀 등 34명을 심사없이 장학생으로 선발해 8천641만원을 부당 지급했으며, 이천시민장학회는 2007~2009년 사이에 고교 3학년 담임 격려금으로 4억6천400만원, 외유성 교사 해외연수비로 7천352만원을 각각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다.전국 145개 장학재단의 출연액은 2009년말 현재까지 총 6천167억원에 이르나 139개 지자체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26%에 불과, 장학재단이 지방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감사원은 1995년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상당수 지자체장들이 선거를 의식한 치적 쌓기 일환으로 장학재단을 설립, 1995년 28개에서 2000년 54개, 2009년 145개까지 꾸준히 늘어났지만 운영은 방만하고 부실해졌다고 지적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용인 동백고등학교, 바른 인성 위에 실력 쌓아요

교과교실제로 성적향상과 인성교육 두마리 토끼 잡아요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인 용인 동백고등학교(교장 김유성)는 오는 2014년부터 모든 학교에 전면 도입될 예정인 교과교실제가 이미 정착된 학교다.교과교실제란 학생들이 각기 특성화된 전용교실로 이동해 수업받는 방식으로,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해 내실을 높이고자 고안됐다. 동백고는 바로 그 내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동백고가 지난해부터 교과교실제 시범운영교로 지정된 까닭은 이미 수준별 수업이 활성화돼 있는 등 기반이 갖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비평준화 지역으로 학생들의 학업수준 편차가 심하고 이에 따른 불만이 속출하자 학급 수 까지 늘려가며 수준별 수업을 실시,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통한 노하우가 축적돼 있던 것.이에 따라 지난해부터는 전과목 교과교실제는 물론 아예 국어영어수학 등 6개 학과 zone(구역)을 구성해 교과의 특성을 살리고자 노력했다. 각 교실마다 교육기자재가 갖춰지고, 과목별 특성에 맞춰 분위기가 조성되자 수업의 질이 급상승, 올해 신입생 입학 성적 상위권 학생 수가 지난해 대비 300%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로 지난해 동백고 벤치마킹을 위해 다녀간 교장 등만 1천500여명에 달하며 전국 647개 교과교실 시범운영 교 중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이와 함께 동백고는 창의와 인성교육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학업성적 우수자가 아닌 자기관리를 잘하고, 규칙준수에 철저한 아이들을 뽑아 상을 주고, 나의 비젼 나의 미션이라는 이름의 노트를 전 학년에게 배포, 수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기록하며 스스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교과교실제의 핵심인 자기관리 및 자기주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다.김유성 교장은 무조건적 모방보다는 각 학교의 문화와 여건에 따라 최선의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며 학생은 누구나 한가지씩 잘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교과과정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ekgib.com

서해안 시대 이끌 물류전문가 양성

대한민국 최고의 물류특성화 교육 성공모델로 손꼽히는 경기물류고등학교(교장 김상원)는 물류전문 특성화고등학교로 지정된 후 5년여의 짧은 기간에도 70%의 진학율과 40%의 취업률을 나타내며 신흥 명문으로 자리잡고 있다.이같은 성과는 대한민국 최고의 물류특성화교육의 성공 모델 실현을 달성하기 위해 최첨단의 교육시설과 함께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잘 짜여진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21세기 서해안 시대를 선도할 글로벌 물류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기 때문이다.우선 경기물류고등학교는 동북아 물류유통의 허브인 평택항을 중심으로 학교 인근에 위치한 포승산업단지, 현곡산업단지, 향남 바이오 산업단지 등을 이용, 산업체와의 협약 체결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여왔다.또 지역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운영, 평택시 협력 e-러닝 학습 시스템 구축, 산학겸임교사의 활용을 통한 산업현장의 실무 익히기, 현장전문가 초청 특강 등 산학협력을 통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 등으로 학생들의 취업 마인드를 높이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평택항포승산업단지 등과 협약 취업률 높이고중국어수평고시물류관리사반 운영 경쟁력 업교과부 취업기능강화 연구학교 지정 성과 이뤄이와 함께 학생들의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취업캠프, 취업엘리트반, 화상영어 학습, 산업체에 재직 중인 졸업생과의 멘토링, 산업체 체험학습, 서비스 예절교실, 비전캠프 등과 같은 프로그램 운영, 학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였다.더욱이 학생들이 자신의 특기와 적성을 키울 수 있도록 매주 목요일 동아리 활동의 날을 운영하고 있으며 Happy Mind Up 운영으로 행복지수를 높이는 것은 물론 물류인재 양성을 위한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HSK반(중국어수평고시), 물류관리사반, 국제화 마인드 함양을 위한 해외 교류 학습을 운영 하고 있다.이같은 노력으로 2010학년도에는 HSK 자격증 취득 분야에서 역대 전국 최연소의 물류관리사를 배출 하기도 했으며 2011년에는 졸업생 129명 중 40%에 해당하는 52명이 삼성전자, 동우화인켐, 관세사사무소 등 학교 인근 산업체에 사무직ㆍ기술직ㆍ생산직 분야에 취업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구혜경 교사는 인간은 누구나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학습동기는 성공적 교육과 성취의 에너지원이 될수 있다는 교장선생님의 교육관에 따라 학생들은 첨단교육시설과 쾌적하고 아름다운 교육환경 속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구 교사는 취업한 취업생들의 평균 연봉도 2천200만원 대로 4년제 대학 졸업생의 평균연봉을 상회하고 있어 취업생들의 만족도가 높다며 특성화고의 경우 70%가 넘게 나타나는 진학율을 감안하면 물류고의 40%의 취업률은 특성화 고등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교장은 다양한 물류체험 활동과 전문 자격증 취득을 통해 글로벌 물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으로 높은 취업률과 양질의 산업체 취업 결과를 나타내 2010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 요청 취업기능강화 특성화사업 정책 연구학교로 지정 받는 성과를 이루어 냈다고 말했다.한편 지난 1956년 안중상업고등학교로 개교한 경기물류고등학교는 지난 2006년 평택안일물류고등학교료 교명을 변경한 뒤 2008년 제18대 김상원교장 취임 이후 현재 국제물류 유통과와 기업자원 관리과에 총 390명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소셜디자이너' 박원순을 만나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