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제보 적중…“강릉서 역대 최대 1조원어치 마약 2t 적발”

세관당국과 해양경찰이 국내에 정박한 외국 선박에서 밀수된 것으로 의심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마약을 적발하고 조사에 들어갔다. 3일 관세청은 해양경찰청과 함께 지난 2일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한 멕시코 출발 노르웨이 국적의 외국 무역선에서 2t 상당의 마약 박스 57개를 적발해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동해해경청과 서울본부세관에 따르면 전날 오전 6시30분경 벌크선(포장 없이 화물을 그대로 싣는 화물선)인 A호(3만2천t급)가 마약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싣고 한국으로 입항한다는 미국 FBI의 정보를 입수하고 해경과 세관 90여명을 투입해 옥계항에 들어온 A호를 수색했다. 선적지가 노르웨이인 A호는 멕시코에서 출발해 에콰도르, 파나마, 중국 등을 거쳐 국내로 입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경과 세관은 선박 내부 특수 밀실 등 선박 전반을 집중적으로 수색했다. 그 결과 해당 선박 기관실 창고에서 마약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발견했다. 합동 검색팀은 선박 기관실 뒷편에 마련된 밀실 내부를 수색해 1㎏ 단위의 마약 추정 물질이 들어있는 박스 57개를 찾았다. 발견된 중량은 2t(톤), 시가로는 1조원 상당에 이르며 동시에 6천700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규모다. 국내에서 유통될 경우 사회적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양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는 중량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기존 최대 기록은 지난 2021년에 적발된 마약 404㎏였다. 동해해경청과 서울본부세관은 해당 선박의 선장과 선원 등 20명을 대상으로 마약의 출처 및 유통망을 파악 중이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해당 물질을 의뢰해 최종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해양경찰청과 관세청은 국제 마약 밀매 조직의 연관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미국 FBI와 국토안보수사국(HSI) 등 관계기관과 공조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김용진 해경청장은 “관세청과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기관들과도 공조를 확대해 마약 밀반입을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안산천, 악취 파란물”…오염 주범은 ‘가정집 수성페인트’

안산 수암동 인근 시화호 상류와 연결된 하천에 악취와 함께 다량으로 방류된 오염물질(경기일보 2일자 인터넷)은 가정집에 보관하고 있던 지정폐기물인 수성페인트인 것으로 확인됐다. 신고를 받고 방제작업을 실시 중인 안산시 관련 부서는 이틀 동안 페인트가 유입된 하천 상류 지점과 약 1.5㎞ 떨어진 하류지점 등 2곳에 방제둑(모래둑)을 설치한 뒤 오염물질을 수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 처리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3일 안산시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50분께 상록구 수암동 670-4번지 일대 우수 토실에서 심한 악취와 함께 파란색을 띤 페인트 종류의 물질이 안산천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신고를 받은 즉시 현장에 출동, 역추적을 실시했다. 추적 결과, 안산천 상류의 한 가정집이 보관하고 있던 수성페인트를 50대 여성 A씨가 우수관로를 통해 방류한 것으로 시는 파악하고 있다. 방류된 수성페인트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된 화학물질로 무단 방류를 금지하고 있는 물질이다. 시는 안산천 오염 방지를 위해 하천의 상류 지역인 벌말천에서 장하교에 이르는 1.5㎞ 구간 두 곳에 모래로 방제둑을 설치, 하천수 유입·출을 차단한 채 양수기를 동원 밤샘 펌핑 작업을 벌였다. 시는 상류에서 60t가량의 오염수를 수거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수거된 오염수는 인근 우수관로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안산천에 방류된 물질은 MSDS(물질안전자료대장)에 등록된 물질인 만큼 시료를 채취하고 생태독성 여부 등을 분석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A씨로부터 확인서를 받은 시는 A씨를 경찰에 고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모르고 버렸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 관련기사 : 코를 찌르는 기름 냄새... 파란 액체로 뒤덮인 '안산천'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402580449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