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주한미군반환 공여지, 가축매몰지 등 경기도에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오염원을 중심으로 한 도 차원의 토양환경 보전과 관리 정책방향 설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29일 경기개발연구원의 경기도의 토양환경 현황파악 및 정책방향 설정 연구에 따르면 도내 토양오염 우려지역은 국가산업단지, 폐금속광산, 철도기지, 골프장,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주유소, 유독물 제조저장시설, 가축매몰지역, 공장공업지역, 교통관련시설, 원광석고철야적지역, 토지개발지역, 축산농가 등으로 곳곳에 위치해 있다.이 가운데 국가산업단지, 폐금속광산, 주유소 등은 중앙정부가 관리하고 있지만 골프장, 주한미군반환 공여지, 가축 매몰지 등은 도 자체적인 토양오염 실태조사 현황파악과 함께 추가적인 조사와 관리가 요구되는 지역으로 분석됐다.현재 골프장은 용인 26곳, 여주 22곳 등 147개소이며 주한미군반환 공여지는 파주 13곳, 의정부 9곳 등 51곳, 가축 매몰지는 안성 88곳, 용인 43곳 등 총 288개소로 나타났다.경기연은 수도권이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집중된데다 지속적 개발사업으로 우수한 토양생태환경 기반은 약화되고 오염과 피해 우려지역이 늘어나고 있어 도 자체적인 토양환경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정확한 조사지점 선정, 시료채취와 분석 등의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또 경기연은 개발사업 시 표토를 재활용하고 생태면적률을 보완적용하며 토양은행제도를 활성화할 것을 제안했다.이와 함께 토양오염원의 유형, 규모, 위치, 오염물질 발생량 및 특성 등 토양오염원과 그에 따른 오염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인벤토리 구축관리, 관련 부서 연계와 외부 전문가 활용 체계 구축, 녹생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서 토양분야 환경산업의 지원 등을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도·의정
구예리 기자
2010-11-29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