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안전지대 아니다

초중고교와 마찬가지로 인천지역 유치원들도 안전사고 사각지대인데다, 유치원 5곳 가운데 1곳은 학교안전공제회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14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이상민 의원(자유선진대전유성)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유치원 내 안전사고는 3천280건으로 지난 2008년에 비해 19.6% 증가했다.지난 2008년의 경우, 지난 2007년에 비해 전국평균 증가율이 2.5%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의 안전사고율은 지난 2008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셈이다.인천지역은 지난해 전체 유치원 368곳에서 245건의 안전사고가 발생, 지난 2008년 보다 22.5% 늘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특히 지난 2006년 161건에서 지난 2007년 159건으로 줄다 지난 2008년 200건, 지난해 245건 등으로 20% 이상 늘었다.원인은 95% 이상이 원생 부주의에 의한 것이며 교과수업시간(34.4%)에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 교사들의 방심과 원생들에 대한 안전교육의 부실함을 드러냈다.하지만, 통계상 사고 원인 대부분이 학생 과실로 분류돼 있어 교육지원청과 교육과학부가 사고 원인을 세분화, 통계를 작성하고 사고원인 분석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이와 함께 인천지역 유치원 368곳 가운데 69곳(18.7%)이 학교안전공제회에 가입하지 않아 안전사고 발생시 보상이 제대로 이뤄질지가 의문이다.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부산, 대구, 대전 등지의 모든 유치원들이 공제회에 가입된 것과는 대조적이다.이 의원은 학교안전공제회에 가입하지 않은 유치원의 안전사고까지 추정할 경우 더욱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초중고교와 달리 유치원은 신고하지 않으면 통계 작성이 어려운 실정으로 유치원 내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송도 제2캠퍼스 부지 제공 약속 지켜라”

인천대 교수협의회는 12일 대학부지 제공 약속을 지켜라 제하의 성명을 통해 인천시에 대해 송도국제도시 내 제2캠퍼스 부지 제공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교수협의회는 시는 지난 2008년 11월 시의회로부터 동의받아 인천대 법인화와 관련, 송도국제도시 11공구에 10만평 이상의 부지를 대학에 제공하기로 하고 이 사실을 교육과학기술부와 국회 등에 공식 통보했다며 시장이 바뀌었다고 이를 지키지 않는 건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이들은 시가 11공구에 대학부지를 제공하지 않으면 영국 플리머스대와 벨기에 겐트대 등 인천대가 유치협정을 맺은 세계 유수 대학연구소들로부터 신뢰를 잃게 된다며 이는 인천대 국립화에 찬성해 서명한 시민 130만명의 기대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덧붙였다.인천대는 시가 지난 2008년 약속한 시립대 법인화 이후 지원계획을 근거로 송도국제도시 11공구에 50만㎡ 규모의 제2캠퍼스 부지를 조성원가로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그러나, 시는 연내 매립공사를 시작할 계획인 송도국제도시 11공구 넓이가 당초 계획한 10.24㎢에서 7.02㎢로 줄어들자 송도국제도시 11공구의 기본 구상인 기업 유치를 위한 용지가 부족하다며 대학부지 제공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미인가 대안학교 관리·운영 ‘허술’

운영단체 사전 검증 어려워 심사강화철저한 사후관리 체계마련 시급인천지역 탈선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을 돕는 미인가 대안학교의 관리운영체계가 아직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미인가 대안학교란 제도권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교를 자퇴하거나 가출한 청소년들이 검정고시 등을 준비하면서 사회적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기관으로 인가 대안학교와는 역할과 특성 등이 다르다.12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공모를 통해 미인가 대안학교를 운영할 단체 2곳을 선정, 연간 4천5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해 운영을 지원해주고 있다.그러나 최근 미인가 대안학교 2곳 가운데 1곳은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못하고 문을 연지 1년여만에 결국 문을 닫았다.더욱이 이 대안학교 대표는 보조금을 개인용도로 사용했다 경찰에 입건됐다.인천 중부경찰서는 12일 시로부터 받은 보조금 9천만원 가운데 1천300만원을 개인 대출금을 갚는데 사용한 혐의(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로 A 대안학교 대표 장모씨(47)를 불구속 입건했다.이런 가운데, 미인가 대안학교는 이미 학교와 제도권 교육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다보니 일반적인 교육 이외에도 인성교육이나 심리치료 등 부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하지만 현재 미인가 대안학교 공모절차는 학생정원 최대 20명, 교실 2곳, 사무실, 정교사 1명 등 외형적인 조건만 따지다보니 미인가 대안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단체인지 사전에 검증하기도 쉽지 않다.이 때문에 미인가 대안학교를 공모할 때 청소년시설 운영경력 등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보조금 유용과 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사후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시는 우선 내년초 미인가 대안학교를 운영할 단체를 추가 공모하기로 하고 사전에 운영능력이 있는 단체인지를 철저하게 검증하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미인가 대안학교 1곳은 오랜 기간 동안 탈선 청소년을 돌봐온 경험이 있는 단체가 맡고 있어 매우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대안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있는지 여러가지 방면으로 검토한 뒤 대안학교 운영을 맡기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김미경기자 kmk@ekgib.com

방과후학교 대형교육업체가 장악

인천지역 방과후학교 시장을 소수의 대형 교육 관련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보환 의원(한화성)이 인천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지역 각급 학교 467곳의 방과후학교 수업을 맡고 있는 외부 강사 479명 가운데 교육 관련 기업 소속 강사 수는 274명(57.2%)에 이르고 있다.이들이 소속된 교육 관련 기업은 대교, 웅진싱크빅, 아이야이엔씨, 에듀박스 등 7곳이었다.특히 이들 교육 관련 기업 가운데도 대교와 웅진싱크빅 소속 강사가 52.1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지역 내 전체 학교 468곳 가운데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는 고교 1곳을 제외한 467곳(99.8%)이고 참여 학생 비율도 71.2%(29만326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박 의원은 사교육을 지양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방과후학교가 오히려 교육 관련 기업의 배를 불려주는 꼴이 되고 있다며 눈으로 보이는 당장의 참여도에만 의미를 둘 게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방과후학교 만족도는 초등학교 86.5%, 중학교 67.2%, 고교 75.4% 등 평균 76.8%로 나타났다.이는 전국 평균(65.3%)과 서울(64.4%), 경기(62.4%) 등보다는 높지만 대구(83.2), 부산(79.6%), 울산(74.8%) 등보다는 낮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