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화성 재·보궐선거 판도 점차 윤곽

중반전으로 접어든 12·9 안성·화성 재·보궐선거의 판도가 당대당 구도속에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안성시장 재선거에서는 무소속 김정식후보의 건강문제가, 화성군수 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 연대 가능성이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안성시장 재선거는 국민회의 진용관후보와 한나라당 이동희후보가 당대당 대결로 다소 유리한 고지에 올랐으나 무소속 후보들의 추격이 만만치 않아 현재 2강1중2약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는게 선거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같은 구도속에 30일 강력한 무소속 후보였던 김정식후보가 건강문제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12시간여만에 퇴원한 것으로 알려져 김후보의 향후 행보가 선거판도의 새로운 변화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당 공천후보들은 당조직을 중심으로 지지세 확산을,무소속 김정식, 이무역, 한범섭후보들은 당 공천후보들의 자금투입을 견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화성군수 보궐선거 역시 당대당 구도속에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을 거듭, 3강1약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고 현지 선거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따라 자민련 박윤영후보는 최근 합세한 국민회의 조직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한편 여권단일후보임을 내세워 지역교육문제 등 충실한 공약으로 승세를 굳힌다는 복안이다. 한나라당 우호태후보도 당대당 선거구도에서 다소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판단, 준비된 지역일꾼론을 바탕으로 이같은 구도를 계속 유지하면서 여당의 자금투입을 방지하기위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무소속 윤태욱후보 역시 폭넓은 공직생활 경륜이 선거 중반부터 점차 위력을 발휘한다는 판단하에 맨투맨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무소속 홍인화후보는 공직자들과 국민회의 일부 조직의 지지를 바탕으로 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무소속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김창우기자 cwkim@kgib.co.kr

내년 국회의원 세비 대폭인상 비난

사회전반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구조조정을 외면했던 국회가 오히려 은밀하게 세비를 인상하고 보좌관을 늘려 각계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 국회 운영위는 지난 17일 새해 국회소관 예산중 의원 세비를 올해에 비해 무려 14.3% 인상하고, 4급 보좌관 1명 신설에 따른 예산 126억원을 별도 책정하는 등 국회관련 예산을 은밀히 늘린 것으로 30일 밝혀졌다. 구체적인 인상항목은 수당인 복리후생비에서 가계지원비 250%를 신설해 연간 579만원을, 상여금의 기말수당을 현행 280%에서 400%로 대폭 올려 연간 310만원을 증액했다. 또 연간 120%와 100%가 지급되는 관리수당과 명절휴가비를 기본급 인상에 따라 각각 8만1천원과 6만8천원씩 늘렸으며 처우개선비도 3%를 인상해 81만원을 올렸다. 이와함께 현재 국회에서 의원정수 조정이 논의되고 있음에도 제16대 국회를 염두에 두고 299명을 기준으로 1인당 353만3천원의 보좌관 신설예산 126억7천만원을 편성했다. 이에대해 경실련, 전교조, 시민단체, 경제단체, 기업인 등은 국민을 대변해야할 국회가 국민의 고통을 외면한채 자기잇속 챙기기에 급급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수원경실련 노민호사무국장(30)은 “이번 세비인상을 지켜보는 국민들이라면 모두 부당하다는 느낌을 가질 것”이라며 “국회는 세비인상 자체보다는 과연 세비만큼 국민을 위해 일하는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교조 경기지부 김원근 수석부지부장(41)도 “옷로비 사건의 거짓말로 국민을 우롱하고 사회전반적으로 진행된 구조조정까지 외면했던 국회가 은밀하게 세비를 올린 소식은 국민의 희망을 꺾는 것”이라고 강하게 성토했다. 시중은행의 김모과장(40)과 안산시 반월산업단지내 A기업 김모대표이사(50), 인천 A고교 김모교사(34) 등은 “IMF체제이후 모든 국민과 기업체가 임금까지 삭감하며 경제적 어려움을 참고 있는데 정쟁만 일삼던 국회의원들이 자기잇속을 위해 14%나 세비를 올린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것으로 용납될 수 없다”며 “이번 세비인상은 우리의 정치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 같아 아쉬울 뿐”이라고 분개했다. 인천 YMCA 김문영간사는 “길거리의 노숙자와 결식아동이 줄지않고 있는데 국회의원들이 복리후생비를 늘린다는 것은 국민의 대표로서의 자격을 스스로 저버리는 행위나 마찬가지”라고 비난했다./지방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