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재정난에 관변단체 ‘허리띠 졸라매기’

용인시가 경전철사업으로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으면서 시내 관변단체들이 줄줄이 정례행사를 취소하고 있다. 용인문화원은 오는 10월로 예정된 제26회 처인성문화제 관련 예산 9천만원을 전액 반납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용인문화원은 고려 말 대몽항쟁 당시 남사면 처인성 전투에서 부락민들이 몽고군대를 대파한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처인성문화제를 개최해 왔으나, 최근 용인경전철 문제와 관련해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음에 따라 지난 23일 이사회를 열고 처인성문화제 전면 취소를 결정했다. 앞서 지난 24일에는 광복회 용인시지회가 다음달 15일 개최하려고 했던 815 광복절 기념행사를 열지 않기로 하고 관련 예산 600만원을 시에 반납했다. 광복회 용인시지회는 지난해를 시작으로 매년 815 광복절 기념행사를 하기로 했으나, 시 재정위기를 감안해 올해만 행사 개최를 포기했다. 이에 앞서 시내 읍면동 20곳에서도 시 재정난 극복 동참을 위해 2억에 달하는 동민의 날 행사 예산을 시에 반납한 바 있다. 시 관계자는 행안부에서 올해부터 지방채 발행에 따른 채무관리계획 기준안에 민간이전경비를 지난해보다 30%가량 절감하라는 방침이 있었는데 민간에 이미 지급된 예산은 환수하기 어려웠던 게 사실이나 최근 여러 단체가 자발적으로 예산을 반납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장비업자들 “市가 해결 나서라”

용인시가 추진 중인 수지레스피아 내 리틀야구장 설치 공사가 시공사 부도로 중단된 가운데 현장에서 일하던 포크레인덤프트럭 기사들이 시공사로부터 장비대금 4천600만원을 받지 못했다며 시에 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29일 시에 따르면 전국건설기계경기도연합회 소속 회원 15명은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풍림아파트 앞에서 수지레스피아 리틀야구장 공사 체불금 지급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10일부터 지난 3월 30일까지 현장에 포크레인, 덤프 등 장비를 투입해 공사를 벌였으나 시공사로부터 장비대금 4천600만원을 받지 못했다며 시에 체불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이 참여한 공사현장은 수지구 죽전동 1003의 43 일원 수지레스피아 내 체육시설 공사로,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이곳에 리틀야구장과 인라인스케이트장 등을 조성 중이다. 시는 앞서 지난해 10월 공개입찰을 통해 K건설과 공사계약을 맺고, 선급금 8천700여만원을 지급해 공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공정이 70%가량 진행된 지난 3월 말까지 K건설이 포크레인 및 덤프 등 장비대금을 전혀 지급하지 않자 기사들이 장비를 동원해 현장을 점거, 공사가 전면 중단됐다. 장비기사들은 앞서 1월 말에도 공사를 중단한 바 있으나, 하도급 업체인 I건설이 장비대금 일부를 지급하면서 2월 중순께 공사를 재개했다. 하지만 지난 5월 원도급사인 K건설이 부도 처리되면서 결국 사업이 중단됐고, 시가 다른 건설사과 재계약을 체결하면서 중장비 기사들은 체불금 4천600만원을 떼일 처지에 놓이게 됐다. 엄시복 성남시굴삭기연합회장은 K건설이 일을 벌여놓은 채 선급금만 챙기고 달아나 전혀 연락이 되지 않고 있다며 이제껏 돈 한푼도 못 받고 공사를 해왔는데 시에서 해결책을 내놔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난 3~4월 2회에 걸쳐 원도급사에 선급금을 지급하라고 통보했으나, 해결되지 않은 것 같다며 체불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용인=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용인시, 지방세 확인·납부 스마트폰으로 OK

이번 달부터 용인에서 스마트폰으로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게 된다. 용인시는 SK텔레콤을 이용 중인 시민의 경우 이번 달부터 스마트폰 요금청구서 애플리케이션인 스마트 청구서를 통해 재산세 수납이 가능하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이동통신사의 요금청구서 애플리케이션에 지방세 고지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시는 지난 5월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통신보안성 검토를 마치고 지난달부터 SK텔레콤을 통해 자동차세에 대한 스마트폰 통합 청구서 서비스를 시행해오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지방세 납부를 원하는 시민은 T스토어와 플레이 스토어, 앱스토어 등에서 무료로 스마트청구서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은 뒤 고지서 수신에 동의하면 된다. 시는 스마트청구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익한 시정정보를 안내하는 등 소통의 창구로도 활용하는 한편, LG텔레콤과 KT에서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대로 스마트폰 지방세 수납 시행을 확대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생활이 복잡해지는 만큼 여러 사정으로 주소지에서 세금고지서를 받지 못하거나, 고지서를 분실하는 등 여러 이유로 안타깝게 가산금을 물거나 단순 체납자가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납부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해 한층 더 스마트하고 편리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용인시, 서봉사지 문화재보호구역 확장 추진

용인시가 고려 후기 불교유적인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보물 제9호)의 문화재보호구역을 서봉사지 일원까지 확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시는 수지구 신봉동 산 110 일원에 자리한 현오국사탑비의 문화재보호구역을 현재 1천599㎡에서 추가로 확장해 주변 서봉사지에 대한 정비에 나설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서봉사지는 고려 말에 창건돼 조선 태종 대 천태종의 자복사(국가의 복을 비는 사찰)로 지정된 사찰이 있던 용인의 대표적인 불교유적지로, 지난 2009년 수원대학교 박물관의 사역지표 조사 결과 현오국사탑비 주변 뿐 아니라 인근 광교산자락까지 약 8만1천㎡에 달하는 넓은 사역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보물로 지정된 현오국사탑비 일원 1천599㎡를 제외한 서봉사지 사역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아 학술발굴조사 등 문화재 정비를 위한 예산투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시는 현오국사탑비의 문화재보호구역을 확장해 서봉사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유적 정비를 추진, 그 결과를 토대로 서봉사지에 대한 문화재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3월부터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 용역을 의뢰해 서봉사지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문화재청 산하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르면 올해 안에 문화재 보호구역 확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봉사지 유적정비와 문화재 지정을 위해서라도 발굴조사는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문화재원형의 영구보존대책을 수립해 용인의 문화적 동질성 추구를 위한 상징적인 공간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용인시, 집단민원 방지시스템으로 아파트 민원 확 줄였다

용인시가 집단민원 방지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아파트 등 대규모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피해 등의 고질적인 민원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각종 민원해결을 위해 집단민원 방지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집단민원방지시스템은 입주예정자 참여형 감리제도, 공사현장 민원담당자 지정, 일일 민원사항 점검, 민원 현장 발생시 신속한 민원회의 소집 등을 통해 집단민원의 갈등을 풀어주는 프로그램이다. 그 결과 시는 아파트 공사로 인한 공사장 소음피해 등의 집단민원 12건 중 기흥구 보정동 한화 꿈에그린아파트 공사현장의 소음피해 민원과 동백지구 동문굿모닝힐 인근 아파트 신축에 따른 TV수신장애 등 민원 11건이 해결된 것으로 집계됐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서해그랑블 공사장 소음피해 등의 민원도 당사자가 참여하는 민원회의 정례화를 통해 상당부분 이견이 좁혀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광식 주택과장은 집단민원 해소는 민원인의 불편사항을 공무원, 공사 현장담당자 등이 체감하고 민원인과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등 소통하는 것이라며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이 시스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