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농업기술센터, 제3회 도시농부학교 개강

광주시농업기술센터(소장 김학진)는 농촌지도사와 함께하는 재미있는 텃밭 농사를 모토로 제3회 도시농부학교를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도시농부학교는 중부면 하번천리에 위치한 주말농장에서 지난 4일 개강식을 시작으로 6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11회에 걸쳐 진행되며 흙 가꾸는 법, 퇴비 만드는 법, 농기계 이용법 등 친환경 텃밭 농사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2011년 처음 문을 연 도시농부학교는 농업기술센터의 지원 아래 광주시 도시농업연구회(회장 심은숙)를 결성,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올 해는 청소년 농부 프로젝트, 꼬마손 농부되기 등 유아, 청소년들이 흙을 만지고, 작물을 가꿔볼 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김소장은 이번 도시농부학교가 생명의 소중함과 가치를 일깨우고, 광주시의 생태 가치를 시민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올해는 특히 전체 프로그램을 농촌지도사가 직접 강의하며 실습에 참여함으로써 시민 만족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사람과 자연이 상생하는 청정도시를 미래상으로 제시하고 있어 도시농업의 역할이 나날이 커질 것으로 보고 이에 맞춰 게릴라 텃밭조성, 텃밭학교, 팜스쿨 등 다양한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경안천 인근 불법성토 알고보니 국유지

팔당호 상류 경안천 인근 지역이 불법 성토로 말썽(본보 3일자10면)을 빚고 있는 가운데 불법 성토된 토지는 국유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불법 성토된 토지의 면적도 기존에 알려진 500㎡ 보다 넓은 3천500㎡인 것으로 확인됐다. 8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광주시 장지동 131의 1 일대 7천827㎡는 국토교통부 소유의 국유지로 광주시가 관리하고 있으며 국유지를 점용사용하려면 국유재산법에 의거 관리 주체와 대부 계약을 맺고 사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광주시 장지동 131의 35 일대 토지주 8명은 성토를 하며 관련 절차를 무시하고 하천과 인접해 있는 국유지 중 일부인 3천500㎡를 불법으로 성토했다. 이러한 가운데 성토된 농지 인근 주민들은 불법으로 성토를 하며 배수로를 훼손해 토사 유출 피해가 우려 된다며 반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장지동 일대 주민 37명은 지난 5일 시에 진정서를 제출 성토는 기본적으로 정확한 우수 계산하에 배수로를 확보한 후 이뤄져야 하는데 장지동 131의 35 일대는 주먹구구식으로 흄관을 매설, 지반 침하는 물론, 지반 이탈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장마철 토사가 유출될 경우 성토된 토지와 인접한 수십동의 비닐하우스와 상류지역인 장지동 일원의 농경지가 침수되는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주민 대표 A씨는 상습 침수지역으로 비만 오면 불안해 하고 있는데 무분별한 성토로 주민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배수펌프 설치 등 근본적인 침수 피해를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현장 확인을 통해 제방 법면 일부 국유지가 무단으로 성토된 것으로 확인했다며 원상복구 명령과 함께 변상금 부과 등 강력 조치할 것이며 주민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관계 부서와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토지주 대표 L씨는 배수관을 묻으면서 의도치 않게 국유지를 성토하게 됐다며 시로부터 원상복구 명령이 내려진 만큼 정해진 시일 내에 원상 복구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