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초월읍 오수관로 설치ㆍ오포읍 노후 차집관로 정비사업 준공

광주시가 초월읍 산이리 234 일원(대주파크빌아파트~곤지암천) 오수관로 설치사업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4월 착공한 오수관로 설치사업은 6억원의 예산을 들여 총 572m의 오수관로를 신설했다. 이 사업을 통해 그동안 하수처리 구역인데도 오수관로 부재로 불편을 겪던 산이리 대주파크빌아파트 주민 등 300세대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오포읍 오산천에 매설된 노후화된 차집관로 정비사업도 완료했다. 차집관로는 오수를 공공하수처리시설로 보내는 관로로 지난 4월 착공, 사업비 5억원을 들여 총 800m를 교체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오산천 하상에 매설된 차집관로의 노후화 및 상태 불량 등으로 인한 침입수(하천수, 지하수 등) 차집관로 유입 차단 및 오수 하천 유출을 방지해 오포 공공하수처리시설 처리능력 증대와 하천수질 개선 등이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신설된 오수관로와 개선된 차집관로로 공공하수처리시설로의 안정적인 하수 이송이 가능하게 됐다며 사업 준공 이후에도 지속적인 공공하수시설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불명수 유입을 차단, 불필요한 예산 낭비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광주=한상훈기자

국민권익위“나눔의집 시설 측,내부고발 직원들에 불이익 조치”

국민권익위가 후원금 운용 논란을 빚고 있는 나눔의 집 내부 고발 직원들이 신청한 공익신고자 보호조치를 받아들였다. 내부 고발 직원들의 법률대리인인 류광옥 변호사는 25일 김대월 학예실장 등 나눔의 집 내부 고발 직원들의 공익신고자 보호조치 신청에 대해 권익위가 사실상 전면 인용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류 변호사는 나눔의 집 시설 측이 내부 고발 직원들의 사회복지정보시스템 접속을 차단한 부분과 법인회계 담당 업무를 이관하고 근무 장소를 옮기라고 한 부분에 대해 권익위는 모두 불이익 조치로 판단하고 원상 회복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내부고발 직원들에 대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접근 금지, 점심 식대 반환 요구 등도 문제가 있다고 보고 권익위가 취소를 요구했다고 류 변호사는 덧붙였다. 권익위는 다만 나눔의 집 시설 측이 내부 고발 직원들을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고소한 부분과 영상 촬영을 통해 감시하고 있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선 수사가 진행 중이고 사생활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판단을 유보했다고 류 변호사는 전했다. 앞서 내부 고발 직원들은 지난달 초 나눔의 집 시설 측의 업무 배제 등에 반발, 권익위에 공익신고자 보호조치를 신청했다. 공익신고자 보호법은 공익신고자가 공익신고를 이유로 불이익 조치를 받은 때에는 권익위에 보호조치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권익위의 원상회복 요구 등에 대해 나눔의 집 시설 측은 30일 이내 이행해야 하며 불복할 경우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광주시, 올해 경기도 사회적경제 창업오디션에 2팀 선정

광주시는 올해 경기도 사회적 기업 창업오디션 공모사업에 2개 팀이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창업오디션은 사회적 경제기업의 유망한 창업아이템을 발굴하고 예비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 사회적 경제센터가 추진했다. 시ㆍ군의 사회적 경제 창업교육 수료 또는 수료 예정자만 참여할 수 있다. 광주시는 7개 팀이 지원해 1차 서류심사(예선)에서 6개 팀이 통과, 코로나19로 인한 2차 화상 면접심사를 통해 최종 2개 팀이 선정됐다. 선정된 2개 팀에게는 사업개발비 700만원 지원과 함께 창업을 위한 전문적 컨설팅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광주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 경기도 사회적 경제 창업오디션에 참여해 주신 창업교육 수료생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경제 창업교육을 기반으로 사회적 경제기업이 많이 창업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오는 10월 예비 사회적 기업가의 창업아이디어가 성공적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사회적 경제 창업교육 심화과정을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화상교육으로 운영된다. 광주=한상훈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