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 규모 확대

광주시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규모를 확대한다. 어린이급식 내실화를 위해서다. 시는 이를 위해 전년 대비 2억1천400만원 증액된 8억4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에 따라 센터는 전문인력을 기존 13명에서 17명으로 충원, 운영하게 돼 센터 사업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어린이 급식소에 대한 위생ㆍ안전관리 순회 방문지도가 연 2회에서 4~6회로 확대돼 정기적인 방문이 늘어나는 등 급식 안전의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센터는 급식시설에 대한 위생지도는 물론 어린이 성장발달단계에 맞는 영양성분 균형을 갖춘 식단과 조리법 등을 제공하는 등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도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예산 증액에 따른 규모운영을 위해 사무실과 어린이체험관을 동원대 인문사회관으로 이전해 리뉴얼했다. 370곳에 지원하는 위생ㆍ영양ㆍ안전관리 지원에 대한 지역사회 홍보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신동헌 시장은 여성의 사회진출 및 정부의 무상 보육정책으로 보육시설 이용률이 늘어남에 따라 안심하고 내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급식문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어린이급식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위생ㆍ영양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광주시 태전동에 공동육아나눔터 개소

광주시는 15일 태전동에 광주시 공동육아나눔터를 개소,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 광주시 공동육아나눔터는 e편한세상 태전2차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내 위치해 있으며 운영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다. 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이하의 자녀 및 부모 등으로 광주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회원 가입 후 해당 프로그램을 신청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공동육아나눔터는 부모들이 모여 양육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자녀를 함께 돌보는 활동을 통해 가족 기능을 강화해 나가는 공간이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품앗이 활동 및 이웃과의 소통을 통해 육아부담을 덜 수 있는 열린 공동체 공간으로 초등돌봄교실, 공간이용, 품앗이 활동, 상시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초등돌봄교실은 맞벌이가구의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초등학생 저학년(1~3학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 자율 및 특별활동으로 이뤄지며 공간이용은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장난감도서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품앗이 활동은 최소 2가정 이상이 모여 함께 육아를 하는 그룹을 지원하며 부모 참여형 및 창의놀이 위주로 이뤄지는 상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신동헌 시장은 맞벌이 가구를 위한 초등자녀 돌봄서비스도 포함돼 자녀양육 부담 경감과 품앗이 문화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 공동육아나눔터는 광주시, 신한금융그룹 및 아이들과 미래재단의 지원을 받아 초등돌봄교실, 놀이실, 프로그램실 등 104㎡의 공간이 조성돼 있으며 광주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현장] 광주 문형리 시도 15호선 수년째 공사로 몸살

하루 이틀도 아니고 수년째 공사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불편을 감수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14일 오전 11시께 광주시 오포읍 능평교차로 시도 15호선 능평교차로~오포물류단지 도로확장구간. 이곳에서 만난 오포읍 주민 A씨는 구간구간 도로가 확장된 곳에 세워져 있는 각종 차량들로 불편이 크다고 하소연했다. 이 일대는 대형 덤프트럭부터 버스와 승용차 등 각종 차량들이 점령하고 있고, 도로변 구간구간에는 PE 드럼(안전시설물)이 세워져 있고, 공사자재와 폐자재 등이 어지럽게 쌓여 있다. 도로주변 곳곳에 쌓여 있는 공사자재와 확장된 구간 도로변에 아무렇지 않게 세워져 있는 각종 차량들로 운전자들의 안전도 위협하고 있다. 광주시 오포읍 문형리 시도 15호선 확장공사가 지연되면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이다. 오포물류단지가 추진하는 시도 15호선 능평교차로~오포물류단지 1.4㎞구간 도로 확장공사는 2차선을 4차선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지난 2018년 3월 착공해 올해 말 준공할 예정이다. 도로 주변에는 주택과 크고 작은 공장 수십 곳이 밀집돼 있고, 시안과 삼성공원묘지 등 대형 장묘시설과 중견기업인 주성엔지니어링 등도 자리하고 있다. 또 개발 압력이 높아지면서 도로주변으로 상가들도 늘고 있다. 주민들은 대형 차량 차주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차량을 세워놓고 있지만 단속이 이뤄졌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영업용 차량을 제외하고는 경찰서 심의 등을 거쳐 교통단속구간으로 지정돼야 스티커 발부 등 단속에 나설수 있다며지속적인 계도 등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해 나가는 한편, 사전 도로준공과 CCTV설치 가능여부 등도 관련부서 등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행법상 영업용 버스나 화물차량(1.5t) 등은 허가를 받으려면 반드시 차고지(주기장)를 확보돼야 하고, 차고지를 벗어나 오전 0시부터 4시까지 한 시간 이상 한 장소에 고정 주차하면 과징금 대상이다. 광주=한상훈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